서울강남고속버스터미널 60층 재개발…"승하차장은 지하 이전"
관련 기사 목록 4개
기사 본문
[앵커] 강남 한복판에 있는 서울고속버스터미널이 새롭게 변신합니다. 낡은 모습은 벗고 60층 넘는 복합 시설로 탈바꿈합니다. 소음과 매연 방지를 위해 버스 승하차장은 지하로 갑니다. 구자형 기자입니다. [리포트] 낡은 간판엔 페인트칠이 떨어져나갔고, 곳곳에 철문이 내려진 빈 점포가 보입니다. 지난 1981년 지어진 서울고속버스터미널은 노후된 건물에, 부지의 절반 이상을 차지하는 버스 승하차장과 주차장으로 인해 일대가 슬럼화됐다는 지적을 받아왔습니다. 인근 주민들은 밤낮을 가리지 않고 오가는 고속버스에 불편함을 호소합니다. 인근 주민 "항상 그 불편을 느끼고 거기가 항상 차가 많으니까 (경적) 소리도 견디고, 아파트 근처에 매연도 물론 납니다." 하루 약 2만 명이 이용하는데다, 3개 지하철이 지나다보니 주변은 지하까지도 늘 혼잡합니다. 서울시는 낡고 혼잡한 터미널을 복합시설로 재개발하겠다는 계획을 내놨습니다. 축구장 20개 면적에 이르는 기존 터미널 건물과 주차장 부지에 녹지를 갖춘...
기사 본문
서울시, 복합 개발 구상안 공개 서울시가 26일 공개한 서울 서초구 서울고속버스터미널 복합 개발 사업의 조감도. 토지주인 신세계센트럴과 서울고속버스터미널이 서울시에 제안한 것이다. 지은 지 49년 된 터미널을 허물고 최고 60층 이상 주상 복합과 입체 환승 센터, 공원 등을 조성한다는 계획이다. /서울시 지은 지 49년 된 서울고속버스터미널이 최고 60층 이상 주상복합단지로 탈바꿈할 전망이다. 터미널은 지하로 옮겨 지하 터미널에서 바로 경부고속도로를 탈 수 있게 설계할 계획이다. 서울시가 동서울종합터미널, 상봉터미널, 옛 양재화물터미널 등 낡은 터미널을 잇따라 복합 개발하는 가운데 서울 최대 터미널인 서울고속버스터미널에 대한 개발 밑그림이 나온 것이다. 서울시는 26일 이러한 내용의 서울고속버스터미널 복합 개발 구상안을 공개했다. 토지주인 신세계센트럴과 서울고속버스터미널이 서울시에 제안한 사업 계획이다. 서울시는 “이 그림을 놓고 토지주와 협상에 본격 착수한다”고 밝혔다. 서울고속버...
기사 본문
서울시, 복합개발 본격 추진 기존 경부·영동·호남선 지하화 지상엔 문화·주거·업무 시설로 도쿄 상징 아자부다이힐스처럼 서울 새로운 거점으로 재탄생 고속버스터미널 개발 조감도. 서울시는 26일 서울고속버스터미널 용지를 사전협상 대상지로 선정하고 신세계센트럴, 서울고속버스터미널과 사전협상에 착수한다고 밝혔다. [서울시] 건설된 지 50년이 넘어 노후화되고 있던 서울고속버스터미널이 60층 이상의 복합시설과 녹지, 한강으로 이어지는 보행로를 포함한 일본 도쿄의 ‘아자부다이힐스’와 같은 새로운 거점으로 재탄생한다. 서울시는 26일 서초구 서울고속버스터미널 용지를 사전협상 대상지로 선정하고 신세계센트럴, 서울고속버스터미널 등 민간사업자가 제안한 대규모 복합개발에 대한 사전협상에 본격 착수한다고 밝혔다. 서울고속버스터미널은 서울 중심부에 위치한 대규모 용지로 한강 남쪽의 유일한 트리플 역세권(지하철 3·7·9호선) 입지에 도심·공항으로의 연결성이 뛰어나고, 한강변에 위치해 개발 파급력이 매우 클...
기사 본문
터미널은 지하로…지상부 업무·판매·숙박·주거 복합개발 고속터미널 복합개발 구상안 [서울시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서울=연합뉴스) 정수연 기자 = 서울시는 서초구 서울고속버스터미널 부지 복합개발과 관련해 ㈜신세계센트럴, 서울고속버스터미널㈜와 본격적인 사전 협상에 착수한다고 26일 밝혔다. 면적 14만6천260.4㎡에 달하는 부지를 개발하는 사업으로 시는 지난 9월 두 사업자를 사전협상 대상지로 선정했다. 한강 이남 유일의 3·7·9호선 '트리플 역세권'으로 도심과 공항까지 접근성이 좋아 개발 파급력은 상당할 전망이다. 서울고속버스터미널은 1970년대 경부고속도로 개통과 함께 '아침은 서울, 점심은 부산' 시대를 열며 대한민국의 시공간 개념을 바꾼 국가 대표 교통거점으로 시작했다. 이후 2000년대에는 센트럴시티 복합개발을 통해 업무·숙박·상업·문화 기능을 더하며 강남의 일상과 소비, 문화를 이끌어왔다. 그러나 50년 가까이 되는 노후한 건축물과 부지의 절반 이상을 차지하는 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