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하이닉스, 3분기 연속 D램 점유율 1위…3위 마이크론 성장세
관련 기사 목록 4개
기사 본문
트렌드포스 "SK하이닉스·삼성전자, 매출 증가·점유율 하락" 고대역폭 메모리(HBM) 시장을 선점한 SK하이닉스가 올해 3분기 연속으로 글로벌 D램 시장 1위를 차지한 것으로 나타났다. 2위는 삼성전자다. 다만 경쟁 심화로 인해 SK하이닉스와 삼성전자의 시장 점유율은 하락했지만 3위인 미국의 마이크론이 점유율을 확대하며 바짝 따라붙는 모양새다. 26일 시장조사업체 트렌드포스에 따르면 3분기 전 세계 D램 시장 매출은 414억달러로 전 분기 대비 30.9% 성장했다. D램 가격의 대폭 상승과 출하량 증가, HBM 생산량 증산량 증가가 매출액 성장으로 이어졌다는 게 트렌드포스의 분석이다. 1위인 SK하이닉스의 3분기 매출은 137억5000만달러로 전 분기 대비 12.4% 증가했지만, 점유율은 5.5%포인트 감소한 33.2%였다. 삼성전자도 전 분기 대비 매출액이 30.4% 늘어난 135억달러였으나 점유율은 0.1%포인트 감소한 32.6%로 나타났다. 3위 마이크론의 매출액(106억500...
기사 본문
1위 SK하닉-2위 삼성 격차 대폭 축소 "D램 경쟁 과열…마이크론 성장 뚜렷" [서울=뉴시스]글로벌 D램 매출 현황. (사진=트렌드포스 제공) 2025.11.26. photo@newsis.com *재판매 및 DB 금지 [서울=뉴시스]이지용 기자 = SK하이닉스가 올해 3분기 전 세계 D램 시장에서 33.2%의 점유율을 기록하며 전 분기에 이어 1위를 유지했다. 단 2위 삼성전자와의 점유율 격차는 크게 줄었다. 26일 시장조사업체 트렌드포스에 따르면 올해 3분기 SK하이닉스의 D램 매출액은 137억5000만 달러(20조2400억원)로 전 분기(122억2900만 달러) 대비 12.4% 증가했다. 하지만 같은 기간 SK하이닉스의 매출 점유율은 38.7%에서 33.2%로 5.5%포인트 하락했다. 2분기까지만 해도 SK하이닉스가 독보적인 1위를 유지했지만, 3분기 들어서 경쟁사들과의 격차가 크게 줄어든 것이다. 2위 삼성전자의 3분기 D램 매출액은 135억 달러(19조8700억원)로 전 분...
기사 본문
3Q D램 시장, 전분기 대비 30.9%↑…"계약 가격 상승" SK하닉 5.2%p↓, 삼성전자 제자리, 마이크론, 3.7%p↑ 경기 이천시 SK하이닉스 본사의 모습. 2024.7.25/뉴스1 ⓒ News1 김영운 기자 (서울=뉴스1) 박주평 기자 = SK하이닉스(000660)가 글로벌 D램 시장에서 3분기 연속 1위를 지켰다. 다만 업체 간 경쟁 심화로 시장 점유율이 5%포인트(p) 이상 하락했고, 3위 미국 마이크론이 점유율을 4%p 가까이 끌어올렸다. 26일 시장조사업체 트렌드포스에 따르면 올 3분기 D램 시장 규모는 전 분기 대비 30.9% 증가한 414억 달러로 나타났다. 범용 D램 계약 가격의 상승, 비트 출하량 증가, 고대역폭메모리(HBM) 공급 확대 등 영향으로 증가 폭이 컸다. 트렌드포스는 "D램 공급업체의 재고는 거의 소진됐고, 비트 출하량 증가율은 많이 감소할 것"이라며 "가격 측면에서 클라우드 서비스 공급업체(CSP)는 조달 비용에 대해 비교적 유연하며, 이에 따...
기사 본문
트렌드포스...SK하이닉스 33.2% 삼성전자 32.7%, 마이크론 25.7% [3분기 글로벌 D램 제조사 매출 및 점유율 (트렌드포스 제공=연합뉴스)] SK하이닉스가 고대역폭 메모리(HBM)시장 선점에 따라 올 3분기까지 3개 분기 연속 삼성전자를 제치고 글로벌 D램 시장 1위를 지킨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그러나 SK하이닉스와 삼성전자의 점유율이 나란히 하락한 가운데 3위 마이크론의 성장세가 두드러졌습니다. 26일 시장조사업체 트렌드포스에 따르면 3분기 전 세계 D램 시장 매출은 414억달러로 전 분기 대비 30.9% 성장했습니다. 이는 D램 가격의 대폭 상승과 출하량 증가, HBM 생산량 증가 덕분이라고 트렌드포스는 분석했습니다. 3분기 SK하이닉스의 매출은 137억5천만달러로 전 분기 대비 12.4% 증가했지만 경쟁 심화로 시장 점유율은 전 분기 38.7%에서 33.2%로 하락했습니다. 삼성전자는 전 분기보다 30.4% 증가한 135억달러 매출을 올렸지만 점유율은 32.6%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