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윤철 “국민연금, 환율 상승 대응 일시적 동원 목적 아냐”
관련 기사 목록 4개
기사 본문
정부, 국민연금 새틀 구축 ‘약 700조원(2024년)→771조원(2025년 8월)’. 국민연금의 해외투자 평가액이 올해 들어 약 70조원 증가하면서, 원화 약세를 자극하고 있다는 분석이 나왔다. 외환당국은 달러당 원화값이 1460원대로 하락한 이유로 국민연금의 해외투자를 꼽고, 국민연금 운용 방식을 변경해 외환시장을 안정시키겠다는 뜻을 내비쳤다. 구윤철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은 26일 기자간담회 자리에서 원화값 안정을 위한 ‘뉴 프레임워크’라는 새로운 키워드를 꺼내 들었다. 구 부총리는 “국민연금의 수익성과 외환시장 안정을 조화롭게 하기 위해 국민연금 ‘뉴 프레임워크’ 구축을 위한 논의를 개시했다”고 강조했다. 구 부총리는 “외환시장 규모 대비 큰 연금의 해외투자가 단기에 집중되면 물가 상승과 구매력 약화로 인한 실질소득 저하 등 국민경제에 부정적 영향을 줄 수 있다”며 “원화로 평가되는 기금 특성상 외환시장 안정이 수익성에도 상당한 영향을 미치는데, 단기적으로 비중 변동폭...
기사 본문
(상보) (서울=뉴스1) 임세영 기자 = 정은경 보건복지부 장관이 24일 서울 종로구 정부서울청사 별관 국제회의실에서 열린 제6차 국민연금기금운용위원회 회의에서 모두발언을 하고 있다. 2025.11.24/뉴스1 Copyright (C) 뉴스1.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이용 금지. /사진=(서울=뉴스1) 임세영 기자 국민연금이 국내 주식 투자를 통해 좋은 실적을 낸 것이 원화 약세에 일조하는 역설적 상황이 벌어졌다. 국내 증시 상승이 차익실현과 해외 주식 매수라는 자산 배분으로 이어지면서 달러 수요를 구조적으로 뒷받침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26일 국민연금과 금융투자업계에 따르면 국민연금 기금은 지난 8월 말 기준 1320조원 안팎을 운용한다. 이 가운데 국내 주식은 약 196조원으로 비중은 14.8%이며 해외 주식은 약 486조원으로 36.8%에 달한다. 같은 시점 중기 자산배분 계획상 목표 비중은 국내 주식 14.9%, 해외 주식 3...
기사 본문
경제부총리, 환율 불안에 외환시장 관련 긴급 기자간담회 "4자협의체, 장기적인 연금 안정성 높이기 위한 대안 마련" "단기에 연금 해외투자 집중되면 국민 경제에 부정적 영향" "외환시장 안정성은 연금 수익성에도 상당한 영향 미쳐" "투기적 거래, 일방향 쏠림 현상 주의 깊게 모니터링" "외환시장 변동성 지나치게 확대되면 단호하게 대처" [세종=뉴시스] 강종민 기자 = 구윤철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이 26일 세종시 정부세종청사에서 열린 출입기자 간담회에서 외환시장 등 최근 경제상황을 설명하고 있다. 2025.11.26. ppkjm@newsis.com [세종=뉴시스] 안호균 임하은 기자 = 구윤철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자관은 최근 외환 당국과 국민연금 간의 4자 협의체 구성 배경과 관련해 "국민연금의 수익성과 외환시장 안정을 조화하기 위해 국민연금 '뉴 프레임워크' 구축을 위한 논의를 개시했다"고 밝혔다. 구윤철 부총리는 26일 오전 정부세종청사에서 외환시장 관련 기자간담회를 열...
기사 본문
"국민연금 규모 급증하며 외환 변동성 확대…4자 협의체, 수익성과 외환 안정 조화 위한 논의" 기획재정부 제공 구윤철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이 최근 국민연금의 해외투자 확대에 따른 외환시장 영향 등을 점검하는 4자 협의체를 구성한 데 대해 "국민연금 수익성과 외환 시장 안정을 조화하기 위해 국민연금의 '뉴 프레임 워크' 구축을 위한 논의를 개시했다"고 설명했다. 구 부총리는 26일 오전 정부세종청사에서 가진 기자간담회에서 '뉴 프레임워크' 논의에 대해 "환율 상승에 대한 일시적 방편으로 연금을 동원하기 위한 목적이 전혀 아니다"라며 "기금 수익성을 훼손하지 않으면서도 장기 시계에서 연금을 안정적으로 지급할 수 있도록 근본적인 대안을 마련하고자 한다"고 강조했다. 정부는 국민연금 모수개혁이 성공하고 기금 규모가 급증하면서 해외 자산 투자 역시 급격히 늘어나 외환 변동성이 확대되고 있다고 보고 있다. 구 부총리는 "국민연금의 해외 투자 확대 과정에서 외환시장에 미치는 영향 확대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