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대 연체율 가장 높아…'빚 탕감' 캄보디아 유혹 빠졌나
관련 기사 목록 4개
기사 본문
연합뉴스 20대의 가계대출 연체율이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 청년들이 빚 탕감 약속에 속아 캄보디아로 넘어가 범죄에 연루되는 사건이 발생한 가운데 '한계 청년'들의 경제난이 드러난 것으로 보인다. 17일 5개 은행(KB국민·신한·하나·우리·NH농협)의 '연령별 가계대출 현황'을 보면, 올해 6월 말 기준 20대 연령층의 가계대출 잔액은 34조5660억원으로 집계됐다. 대출 규모는 30대 195조4933억원, 40대 221조1409억원, 50대 172조2824억원, 60대 이상 132조1934억원과 비교해 작지만, 20대의 부실 정도가 가장 심각했다. 5개 은행에서 한 달 이상 원리금 연체를 한 20대의 연체율 단순 평균은 0.41%로, 모든 연령층 가운데 가장 높았다. 이어 50대(0.37%)·40대(0.35%)·60세 이상(0.32%)·30대(0.23%) 순이었다. 20대의 연체율은 1년 전(0.39%)과 비교하면 0.02%포인트 더 높아졌다. 신용대출에 있어서도 20대의...
기사 본문
작년 '신용유의' 20대 6만6천명…3년새 25% 증가 곤궁한 삶에 해외로 내몰리는 20대…연체율 가장 높아 (서울=연합뉴스) 강민지 기자. 2023.8.21 mjkang@yna.co.kr (서울=연합뉴스) 신호경 한지훈 민선희 임지우 기자 = 캄보디아에서 납치·감금 등 고초를 겪은 젊은이들 중 일부는 일자리뿐 아니라 빚 탕감 약속에 속아 캄보디아행을 택한 것으로 알려지면서, 최근 청년층의 심각한 경제난이 다시 주목받고 있다. 실제로 20대의 은행 대출 연체율은 다른 연령층보다 높을 뿐 아니라, 결국 제도권 금융에서 밀려나 사채 등에 매달리는 '한계 청년'들도 계속 늘어나는 추세다. 연령 특성상 직업이 아예 없거나 고용이 불안한 가운데 물가와 주거비 상승 압박이 커지면서 어른이 되자마자 빚의 수렁에 빠지는 셈이다. 청년층의 과도한 빚은 금융 불안, 소비위축은 물론 저출산을 부추길 것으로 우려된다. 5대은행 20대 가계대출 연체율 0.41%…전 연령층 중 1위 17일 5개 은행(KB국...
기사 본문
작년 ‘신용유의’ 20대 6만6000명 곤궁한 삶에 해외로 내몰리는 20대…연체율 가장 높아 [연합뉴스] 한국인을 대상으로 납치·감금 등의 악행을 저지른 캄보디아로 몰려간 수많은 젊은이 중에 일자리뿐만 아니라 빚 탕감 약속에 속은 이들이 적지 않은 것으로 알려졌다. 이를 계기로 청년층의 심각한 경제난이 다시 한번 주목받고 있다. 실제로 20대들은 다른 어느 연령층보다 은행 대출 연체율이 높고, 이로 인해 제도권 금융에서 외면받아 사채에 매달릴 수밖에 없는 ‘한계 청년’도 계속 늘어나는 추세다. 이들의 연령 특성상 직업이 아예 없거나 고용은 불안한데 물가와 주거비 상승 압박이 크다. 그런 가운데 어른이 되자마자 빚의 수렁에 빠지게 된다. 이러한 청년층의 과도한 빚은 금융 불안, 소비위축은 물론 저출산을 부추기는 요인으로 작용할 공산이 크다. 20대의 5대은행 가계대출 연체율 0.41%…전 연령층 중 1위 17일 5개 은행(KB국민·신한·하나·우리·NH농협)의 ‘연령별 가계대출 현황’ ...
기사 본문
20~60대 중 유일하게 고용률 감소 은행 대출 연체율은 전연령대 최고 지난달 20대 취업자 수가 1년 전보다 15만 명 가까이 줄어들며 36개월 연속 감소세를 이어갔다. 청년 고용 불안이 장기화되면서 20대의 은행 대출 연체율도 전 연령대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다. 사회에 진출하지도 못한 채 빚에 짓눌리는 청년들이 늘어나고 있는 것이다. 17일 국가데이터처가 발표한 ‘9월 고용동향’에 따르면 지난달 20대 취업자 수는 343만5000명으로 1년 전 대비 13만4000명 줄었다. 고용률도 60.7%로 전년보다 0.2%포인트 하락했다. 20∼60대에서 고용률이 감소한 건 20대가 유일했다. 전체 고용률(63.7%)이 통계 작성 이래 9월 기준 최대를 기록한 것과 대비된다. 청년 고용이 불안한 것은 내수 침체가 장기화하면서 제조·건설업 등 질 좋은 일자리가 계속 쪼그라들고 있는 탓이다. 일자리를 구하지 못한 청년들은 대출 원금, 이자를 상환하는 데 어려움을 겪고 있다. KB국민, 신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