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담치킨' 나명석 프랜차이즈협회장 "산업 다시 태어나도록 하겠다"

2025년 10월 18일 수집된 기사: 4개 전체 기사: 14개
수집 시간: 2025-10-18 18:10:28
네이버에서 보기

관련 기사 목록 4개

디지털데일리 2025-10-17 19:40:06 oid: 138, aid: 0002207187
기사 본문

[ⓒ한국프랜차이즈산업협회] [디지털데일리 유채리 기자] 나명석 제9대 한국프랜차이즈산업협회장 당선인이 "산업 내부의 문제와 과오를 성찰해 윤리경영과 정도경영을 확립하고 동반성장의 기반을 만들 것"이라는 포부를 밝혔다. 나 당선인은 17일 진행한 기자간담회에서 이같이 말하며 "K-프랜차이즈의 글로벌 진출, 성공한 가맹점 사업자의 이야기, 협력업체와의 성장 등 산업의 긍정적 서사를 지속적으로 발신하며, 프랜차이즈의 진짜 얼굴을 보여줘 산업이 다시 태어나게 만들고 싶다"고 덧붙였다. 그가 꼽은 프랜차이즈 산업의 문제는 일부 본부의 불공정한 행위, 투명하지 못한 계약, 무분별한 출점으로 인한 예비 창업주의 피해, 점주에게 전가된 불합리한 부담 등이다. 특히 최근 문제로 제기되고 있는 경기 침체와 인건비 상승으로 인한 가맹점주들의 어려움에 대해서는 윤리위원회를 설치하고 가맹본부의 윤리 인증제와 자율상생조정위원회를 운영하겠다고 말했다. 이를 통해 문제가 발생하기 전에 협회가 먼저 점검하고, 자...

전체 기사 읽기

매일경제 2025-10-17 14:23:09 oid: 009, aid: 0005574611
기사 본문

나명석 프랜차이즈산업협회장 인터뷰 ‘가맹점주 분과위’ 신설해 의견 청취 “윤리위 두고 윤리경영 이수 의무화” 국내 프랜차이즈 산업이 위기와 전환의 기로에 서 있다. 가맹점주와 본사 간의 갈등, 일부 브랜드의 갑질 논란, 법·제도 미비 등이 맞물리며 업계 전반에 대한 신뢰가 흔들리고 있다. 특히 가맹사업법 개정안이 패스트트랙에 오르며 업계의 위기의식은 한층 고조되는 분위기다. 이런 가운데 제9대 한국프랜차이즈산업협회장으로 나명석 자담치킨 회장이 당선됐다. 17일 서울 서초구 aT센터에서 매일경제와 만난 나 회장은 “산적한 과제가 많지만, 신뢰 회복이 가장 시급하다”고 강조했다. 자담치킨 창업주이기도 한 나 회장은 프랜차이즈 업계의 자정과 반성, 그리고 혁신을 강하게 주문했다. 아울러 협회 산하에 가맹점주 분과위원회를 신설해 점주들의 고충을 신속히 처리하겠다는 계획도 밝혔다. 다음은 일문일답. 나명석 프랜차이즈협회장(자담치킨 사장). 2025.10.17 [한주형기자] ― 현재 프랜차이즈...

전체 기사 읽기

더팩트 2025-10-18 00:01:18 oid: 629, aid: 0000435059
기사 본문

제9대 한국프랜차이즈산업협회장으로 당선 나 회장 "치킨 '슈링크플레이션' 무리수, 그만큼 절박하다는 뜻" 나명석 제9대 한국프랜차이즈산업회 협회장이 지난 17일 당선인 기자간담회에서 기자들과 대화를 나눴다. /문화영 기자 "협회 내 윤리위원회를 신설해 가맹점 피해가 없는 공정한 산업을 만들겠습니다. 또 글로벌 위원회를 강화해 K-프랜차이즈들의 해외 진출 지원을 강화할 것입니다." 제9대 한국프랜차이즈산업협회(KFA) 협회장에 당선된 자담치킨 나명석 회장은 지난 17일 서울 서초구 코트라 IKP(외국기업창업지원센터)에서 진행된 당선인 기자간담회에서 이렇게 말했다. 이날 나 회장은 당선 소감과 함께 향후 국내 프랜차이즈 성장을 위한 협회 측 계획에 대해 이야기했다. 한국프랜차이즈산업협회는 지난 1998년 프랜차이즈산업의 건전한 발전을 위해 회원 상호간의 친목과 정보교환을 통한 자주적인 경제활동의 조장과 올바른 프랜차이즈 사업문화를 이룩함으로써 회원의 경제적 지위 향상과 국민경제의 균형 ...

전체 기사 읽기

아시아경제 2025-10-18 07:30:00 oid: 277, aid: 0005666159
기사 본문

가맹비만 받아도 이득 포화상태에도 '점주 모시기' 로열티·광고 분담금·수수료 등 점주 부담 명목 다양 편집자주 한국에서 프랜차이즈 창업은 '빚'을 내는 일에서 시작된다. 자영업자들은 가맹점 확대에 혈안이 돼 있는 프랜차이즈들의 '소자본 창업' 미끼에 걸려 대출 강권의 덫에 갇힌다. 대출로 시작한 자영업자들은 매출이 나도 이익을 손에 쥐기 어렵다. 조금이라도 영업이 부진하면 버티지 못하고 파산하는 구조다. 자영업자들이 프랜차이즈 창업 과정에서 어떻게 '소자본 창업'의 미끼를 물게 되는지, 무리한 대출이 얼마나 위험한 결과를 가져오는지를 들여다봤다. 프랜차이즈 본사는 어떻게 이익을 얻을까. 가맹비는 본사 수익의 시작점이다. 새 가맹점주는 계약을 체결할 때 본사에 가맹비를 내는데, 보통 300만~500만원 선에서 시작하고, 인지도가 높은 프랜차이즈는 1000만원 이상으로 시세가 형성돼 있다. 18일 아시아경제 취재에 따르면 경기 불황에도 불구하고 프랜차이즈 창업박람회에 참가하는 업체는 계...

전체 기사 읽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