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00조를 달러 보증도 없이 어찌 선불로 쏘나요[트럼프 스톡커]
관련 기사 목록 8개
기사 본문
■윤경환 특파원의 트럼프 스톡커(Stocker) 김용범·김정관, 美상무 2시간 회동···17일 무소식 트럼프, "선불" 이어 "韓이 수천억弗 줘야 공정해" 통화스와프는 안 된다면서···美 대두 수입은 요구 구윤철 "설득 불확실"···APEC까지 장기전 가능성 연준 안 통하면 무의미···재계, 정치자금 행사 출동 김정관(왼쪽) 산업통상부 장관이 지난 16일 인천국제공항 제2여객터미널을 통해 미국 워싱턴DC로 출국하기에 앞서 발언하고 있다. 연합뉴스 [서울경제] 이달 31일 경북 경주에서 개막하는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정상회의를 앞두고 급물살을 타는 듯했던 한미 관세 후속 협상이 또 다시 장벽을 만난 분위기다. 현금 비중을 줄인 3500억 달러(약 500조 원) 대미 투자, 무제한 통화 스와프(화폐 맞교환) 체결 등 한국의 요구 사항을 뒤로 하고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선불(upfront)로 받기로 했다”는 주장만 미국인들에게 각인시키고 있어 양국 협상은 평행선만 달리는 모...
기사 본문
■윤경환 특파원의 트럼프 스톡커(Stocker) 베선트 "열흘 내 한미 무역합의···마무리 단계" 통화 스와프는 "연준 몫"···트럼프는 또 "선불" 김용범 "美 양보했으면···외환 영향 이해한 듯" 화폐 맞교환은 어려워···우회방법 쥐어짜는 중 구윤철·위성락도 딴소리···"미국 설득 불확실" 김용범 대통령실 정책실장이 한미 관세 후속 협상을 위해 16일 인천국제공항 제2여객터미널에서 미국 워싱턴DC로 출국하기 전 취재진 질문에 답변하고 있다. 연합뉴스 [서울경제] 지난 7월 30일 큰 틀의 합의 이후 교착 상태에 빠졌던 한미 무역협상이 이달 말 경주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정상회의 전후 타결을 목표로 급물살을 타기 시작했다. 한국의 고위급 무역 실무진들도 미국을 잇따라 찾으면서 협상 조건 막판 조율에 온힘을 쏟는 분위기다. 외교가에서는 한미 양국이 마지막까지 대미 투자 패키지 구체화, 국내 외환시장 안정화 방안 등을 집중적으로 논의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다만 최대 쟁점...
기사 본문
트럼프 '선불' 압박 속, 한국 정부 '10년 분할 투자' 제안 한국과 미국의 관세 협상이 3500억달러(약 486조원) 규모의 대미 투자금 조달 방식을 두고 막바지 조율에 나섰다.사진은 김용범(오른쪽) 대통령실 정책실장과 김정관 산업부 장관이 미국과의 관세협상 후속 논의를 위해 지난 16일 오전 인천 국제공항 제2터미널을 통해 미국으로 출국 전 취재진과 인터뷰를 갖고 있는 모습. /사진=뉴스1 한국과 미국의 관세 협상이 3500억달러(약 486조원) 규모의 대미 투자금 조달 방식을 두고 막바지 조율에 나섰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이 금액을 선불로 지급하라고 압박하고 있지만 이는 국내 외환보유액(약 4163억달러)의 84%에 육박하는 규모여서 한국 외환 시장에 큰 충격을 줄 수 있다는 우려가 제기된다. 이에 한국은 관세 협상을 위해 재계와 정부가 동시 대응하는 '투 트랙 외교'를 가동했다. 이재용 삼성전자 회장 등 4대 그룹 총수들은 미국 출장길에 올라 투자 협력을 논의하...
기사 본문
더스쿠프 주말 이슈 꼬리물기 평행선 달리는 한미 무역협상 3500억 달러 투자 놓고 이견 선불 투자 주장하는 '트럼프' 한미 통화스와프 가능성 낮아 APEC 회의 이전 타결 가능할까 # 진통을 겪던 한미 무역협상이 급물살을 타고 있다. 16일(현지시간) 스콧 베선트 미 재무장관은 "(한미 무역협상에서) 10일 내로 무엇인가를 예상한다"고 밝혔다. 7월말 한미 무역협상 당시 우리나라가 약속한 3500억 달러(490조원)를 미국에 어떻게 투자할지를 두고 어느 정도 합의점을 찾았다는 거다. # 하지만 한미 무역협상이 최종 합의되더라도 고민해야 할 게 한두개가 아니다. 이러든 저러든 490조원에 달하는 막대한 돈을 미국에 쏟아부어야 한다는 건 커다란 고민거리다. 490조원은 우리나라 한해 예산의 70%가 넘는 수준이다. 미국에 투자하는 게 아니라 사실상 '투자 당하는' 거다. 이재명 정부는 국익과 실리를 모두 잡을 수 있을까. 한미 양국이 3500억 달러의 대미 투자를 놓고 막판 협상을 이...
기사 본문
[김정관·러트닉 '120분 회동'] 직접투자 비율·이익배분 구조 등 한미, 핵심문제 최종 합의 못 이뤄 APEC 전까지 줄다리기 이어질듯 마스가 등 주요현안 논의도 속도 美 "中, 한미협력 약화시도" 비판 김용범 대통령실 정책실장과 김정관 산업통상부 장관이 16일(현지 시간) 미국 워싱턴DC 미국 상무부 청사에서 한미 협상을 마친 뒤 건물을 나서고 있다. 연합뉴스. [서울경제]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정상회의를 약 열흘 앞두고 진행된 한미 간 ‘120분 협상’에서는 3500억 달러(약 497조 원) 규모의 투자 구성비가 핵심 의제로 다뤄진 것으로 알려졌다. 직접투자 비율, 투자처 선정 방식, 이익 배분 구조 등 향후 대미 투자 지형에 큰 변화를 불러올 굵직한 이슈들이 아직 해소되지 않았기 때문이다. 양국은 이번 고위급 협상을 마친 뒤 다음 주까지 실무 협상을 계속하며 팽팽한 줄다리기를 이어갈 것으로 전망된다. 김용범 대통령실 정책실장과 김정관 산업통상부 장관, 여한구 산업부...
기사 본문
새벽 협상 이어 러트닉 회동에 촉각…외부일정 취소 '비상태세' 3500억 달러 현금투자 규모·시점 관건 속 '트럼프 리스크' 상수 김용범 대통령실 정책실장과 김정관 산업부 장관이 미국과의 관세협상 후속 논의를 위해 16일 오전 인천 국제공항 제2터미널을 통해 미국으로 출국하고 있다. 2025.10.16/뉴스1 ⓒ News1 이호윤 기자 (서울·워싱턴=뉴스1) 심언기 이강 기자 = 대미 관세 협상팀이 미국 현지에서 협상 타결을 위한 총력전에 돌입한 가운데, 이재명 대통령은 실시간으로 주요 내용을 보고받으며 협상팀과 대응 전략을 숙의하고 있다. 최근 미국 측이 전향적 메시지를 내놓으면서 최종 타결 기대감이 높아지고 있지만, 협상팀은 언제든 돌출할 수 있는 변수에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 일부 자신감을 피력해 온 협상팀도 중대 변곡점을 맞아 신중한 대외메시지를 내는 등 시시각각 판단이 달라지는 모습이다. 17일 대통령실에 따르면 이 대통령은 16일(현지 시각) 김용범 대통령실 정책실장, ...
기사 본문
■ 김정관-러트닉 협상 돌입 한국, 3500억달러 10년 분할하고 미 ESF 활용한 통화스와프 제시 대출·보증 비율 재조정도 꺼내 김용범, 백악관 OMB국장 면담 김정관-러트닉 기싸움 16일(현지시간) 미국 워싱턴DC에서 한·미 관세협상의 ‘키맨’ 김정관(왼쪽 사진) 산업통상부 장관이 백악관 예산관리국(OMB) 방문을 위해 아이젠하워 행정동에 도착했다. 김 장관은 이어 미 상무부 청사를 방문해 하워드 러트닉(오른쪽) 장관을 만나 대미투자 3500억 달러 조율 등을 위한 관세협상에 나섰다. AP 연합뉴스 한·미 관세 협상 후속 협의의 마지막 퍼즐이 될 3500억 달러(약 496조 원)의 대미 투자 펀드 실행 방안에 대해 양국 협상의 ‘키맨’들이 실현 가능한 대안을 두고 막바지 협상을 벌이고 있다. 한국 외환보유액의 80%를 상회하는 금액을 현금 선불로 요구하는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입장을 돌려놓기 위해 한국 측은 ‘원화’를 활용하는 투자 실행 방안을 제시하고 트럼프 행정부를 설...
기사 본문
韓美 대미투자 방식 두고 막판 줄다리기 "현금 20~30% 출자 현실적 타결안 부상" "투자방식·구조 잘 짜면 달러 수요 억제 가능" 김용범 대통령실 정책실장이 16일(현지시간) 미국 워싱턴 상무부 청사에서 한미 협상을 마친 뒤 건물을 나서고 있다. 연합뉴스 관세협상을 매듭짓고자 미국에 간 한국 협상단은 대미 3,500억 달러 투자 펀드의 방식과 구조, 기한 등을 두고 미국과 협상에 집중하고 있다. 투자 구조가 정리돼야 필요한 외화 액수가 산출되기 때문이다. 현금 투자 비중을 5%로 제한하면 외환시장 충격을 피할 수 있어서 우리 정부가 요구한 무제한 통화스와프도 굳이 필요가 없어진다. 우리 정부는 현금 투자 비중을 20~30% 수준으로 올리든, 투자 기한을 최대한 늘리든 우리 외환시장에 충격을 줄이면서 '상업적 합리성'을 갖추기 위한 방식으로 협상을 진행하고 있다. 일단 정부는 미국에 지분(현금) 투자 비율 5%를 요구하고 있다. 3,500억 달러 중 95%는 우리 정부가 보증이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