롬바드(Lombard)·스토리(Story), 비트코인 기반 IP 인프라 구축을 위한 전략적 파트너십 체결
관련 기사 목록 4개
기사 본문
비트코인 디파이(DeFi) 플랫폼 롬바드(Lombard)와 지식재산(IP)을 온체인 자산으로 전환하는 레이어1 블록체인 스토리(Story)가 전략적 파트너십을 체결했다. 양사는 이번 협력을 통해 비트코인 담보 기반 금융 인프라를 IP 산업에 접목했다. 이로써 전 세계 크리에이터들이 자신의 창작물을 보다 투명하고 공정하게 수익화할 수 있는 새로운 패러다임을 제시한다. 최근 디지털 콘텐츠 산업이 빠르게 성장하고 있지만, 여전히 많은 창작자들은 플랫폼 중심의 폐쇄적 구조 속에서 불투명한 정산 과정과 지연된 보상 문제를 겪고 있다. 이번 협력을 통해 비트코인이라는 신뢰도 높은 자산을 기반으로 정산 시스템을 재설계할 수 있다. 누구나 국경 없이 창작물의 가치를 보유하고 거래할 수 있는 환경을 마련한다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 스토리는 저작권, 데이터, 창작물 등을 온체인에서 프로그래머블 형태로 전환해 자동으로 라이선스 발행, 리믹스, 수익 분배가 가능하도록 설계된 블록체인이다. 여기에 롬바드의...
기사 본문
롤러코스터 탄 비트코인…관세 전쟁·글로벌 금융 불안에 가격 ‘널뛰기’ 트럼프發 무역전쟁에 비트코인 ‘흔들’ 미국 지방은행 대출 부실도 겹쳐 안전자산인 금으로 유동성 이동 10월 금리 인하 여부 주목 사진=연합뉴스 비트코인 가격이 롤러코스터를 타고 있다. 이달 초만 해도 금리 인하 기대감으로 국내외 가상자산 시장에서 비트코인 가격이 최고치를 기록하는 등 오름세를 보였지만, 미·중 관세 갈등과 글로벌 금융시장 불안이 확산하자 약세를 면치 못하고 있다. 가격 변동성이 커지면서 ‘하락장 진입’과 ‘단기 조정’ 여부를 두고 엇갈린 분석이 나오고 있다. ○관세 전쟁 확산에 불확실성 커져 18일 국내 암호화폐 거래소 업비트에 따르면 비트코인 가격은 최근 1억7000만원 선을 밑돌고 있다. 비트코인 가격은 지난 8일 1억7800만원대로 치솟았지만, 15일부터 1억6000만원 대로 내렸다. 해외 시장도 상황은 비슷하다. 코인마켓캡에 따르면 비트코인은 10만8000달러선에서 거래 중이다. 이달 초 1...
기사 본문
사진=셔터스톡 <이수현의 코인레이더>는 한 주간 가상자산(암호화폐) 시장의 흐름을 짚고, 그 배경을 심층적으로 해설하는 코너입니다. 단순한 시세 나열을 넘어 글로벌 경제 이슈와 투자자 움직임을 입체적으로 분석하며, 시장의 방향성을 가늠할 수 있는 인사이트를 제공합니다. 주요 코인 1. 비트코인(BTC) 사진=코인마켓캡 비트코인이 이번주 내내 하락세를 이어가며 11만달러 아래로 내려갔습니다. 17일 현재는 코인마켓캡 기준 10만7000달러대에서 움직이고 있는데요. 하락세에 영향을 미친 가장 큰 원인은 미·중 갈등 재점화였습니다. 지난 10일(현지시간)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중국의 희토류 수출 통제에 맞서 100% 관세를 추가 부과하겠다고 발표하면서 양국 갈등이 본격화됐습니다. 이후 트럼프 대통령이 완화적 발언을 했다가 다시 강경 발언을 내놓으며 시장 불안을 키웠습니다. 전날(16일)에는 중국 상무부가 "갈등의 원인은 미국"이라며 강경한 입장을 내놓으면서 비트코인은 10만7000달러선까...
기사 본문
美中 갈등 재점화에 11만달러선 붕괴 선물 시장 대규모 청산에 회복 어려워 지지선은 ‘11만달러’…정책 모멘텀 주목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15일(현지 시간) 백악관 집무실에서 발언하고 있다. 사진=뉴시스 [파이낸셜뉴스] 비트코인이 17일 일주일간 10% 하락한 10만8000달러선으로 약세다. 금세 해결될 것으로 예상된 미중 무역 갈등이 재고조된 것이 영향을 줬다. 글로벌 가상자산 전문가들은 11만달러선을 지지선으로 꼽으며, 이에 따라 반등과 하락 국면이 갈릴 것으로 전망했다. 글로벌 가상자산 정보 플랫폼 코인마켓캡에 따르면 비트코인은 이날 오전 10시 30분 기준 전일대비(24시간 기준) 1.95% 내린 10만8000달러선에 거래 중이다. 일주일 전과 비교해 10.68% 하락했다. 비트코인은 이날부터 11만달러선 아래로 내려간 뒤 회복하지 못하고 있다. 비트코인은 원화마켓에서 1억6600만원선에서 거래되고 있다. 글로벌 가상자산 시황 비교 플랫폼 크라이프라이스 기준 한국 프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