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비심리 8년래 최대…집값 상승 기대는 4개월만 꺾여
관련 기사 목록 4개
기사 본문
한은 "한미 관세 협상 타결 등 영향" 부동산 대책에 집값 심리는 소폭 내려 [서울경제] 서울 남산에서 바라본 서울 시내 아파트. 연합뉴스 소비자들의 경제 심리가 한미 관세협상 타결 등에 8년 만에 가장 높은 수준인 것으로 나타났다. 정부의 고강도 부동산 규제 대책 여파로 집값 상승 기대 심리는 4개월 만에 꺾였다. 한국은행이 25일 발표한 ‘소비자동향조사’ 에 따르면 11월 소비자심리지수(CCSI)는 112.4로 전월(109.8)보다 2.6포인트 올랐다. 3개월 만에 반등했으며 2017년 11월(113.9)이후 8년 만에 가장 높은 수치다. CCSI는 현재생활형편·생활형편전망·가계수입전망·소비지출전망·현재경기판단·향후경기전망 6개 지수를 이용해 산출한 지표다. 100보다 높으면 장기평균(2003∼2024년)과 비교해 소비 심리가 낙관적, 100을 밑돌면 비관적이라는 뜻이다. 한은은 소비 심리의 상승 배경으로 한미 관세협상 타결, 3분기 국내총생산(GDP) 성장률 전망치 상회 등을 ...
기사 본문
한은, 11월 소비자동향조사 결과 소비자심리, 2.6P 개선된 112.4 2017년 11월 이후 역대 최고 기록 10·15 효과에 집값 기대도 하락 전환 관세 협상 타결 등으로 인해 소비자심리가 8년 만에 가장 낙관적인 수준까지 개선됐다. 사진은 경북 경주시 경주예술의전당에서 열린 APEC CEO SUMMIT KOREA 2025에 참석한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헤럴드DB] [헤럴드경제=홍태화 기자] 한·미 관세 협상 타결로 소비자심리가 8년 만에 가장 낙관적인 수준까지 올라섰다. 통상 관련 불확실성이 해소되면서 미래 경기에 대한 소비자의 기대감이 커졌기 때문으로 풀이됐다. 10·15 부동산 대책 효과로 주택가격전망지수도 4개월 만에 하락 전환했다. 25일 한국은행이 발표한 2025년 11월 소비자동향조사 결과에 따르면 11월 소비자심리지수(CCSI)는 112.4로 전월 대비 2.6포인트 상승했다. 소비자심리지수가 이처럼 높은 수준을 기록한 것은 2017년 11월(113.9) 이...
기사 본문
한은, ‘2025년 11월 소비자동향조사 결과’ 발표 11월 소비자심리지수 전월대비 2.6p 올라…2개 주요지수 동일, 4개 지수 상승 “경기 더 좋아진다” 향후경기전망 8p ‘쑥’…주택가격전망 3p 하락 향후 1년간 소비자물가상승에 영향 줄 주요 품목…농축수산물·공공요금·석유류제품 순 ◆…한국은행이 25일 발표한 '2025년 11월 소비자동향조사 결과'에 의하면 11월중 소비자심리지수(CCSI)는 112.4로 전월 109.8 대비 2.6p 상승했다. 사진=클립아트코리아 제공 11월 소비자심리지수가 3개월 만에 반등하며 2017년 11월 이후 최고치를 기록했다. 한미 관세협상 타결과 3분기 GDP 성장률의 전망치 상회 등의 영향이다. 한국은행이 25일 발표한 '2025년 11월 소비자동향조사 결과'에 의하면 11월중 소비자심리지수(CCSI)는 112.4로 전월 109.8 대비 2.6p 상승했다. 소비자들의 경제상황에 대한 심리를 종합적으로 나타내는 소비자심리지수(Composite C...
기사 본문
무겁게 눌려있던 소비심리가 이달 반등하며 8년 만에 최고치를 기록했다. 한·미 관세 협상 타결로 불확실성이 줄고, 올해 3분기 성장률이 오른 것이 소비심리를 끌어올렸다. 24일 2025 원주만두축제가 열린 원주 시가지 모습. 연합뉴스 26일 한국은행이 발표한 ‘11월 소비자동향조사’에 따르면 소비자심리지수(CCSI)는 전월보다 2.6포인트 오른 112.4로 집계됐다. 지난 8월 이후 석 달 만에 오름세로 방향을 바꿨다. 2017년 11월(113.9) 이후 가장 높은 수치다. 지난 11일부터 18일까지 전국 2500가구를 조사한 결과다. CCSI는 소비자의 경기 판단, 생활 형편, 지출 계획 등 6개 심리지수를 가중 평균해 산출한다. 이 지수가 100을 넘으면 장기 평균(2003~2024년)보다 심리가 낙관적이라는 의미다. 지난달 한ㆍ미 관세 협상 타결, 반도체를 중심으로 한 수출 호조에 힘입어 3분기 국내총생산(GDP) 성장률(1.2%)이 전망치(1.1%)보다 높게 나온 점 등이 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