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형 GA 열 중 셋은 내부통제 미흡…사이버사고 관리는 '위험'

2025년 11월 26일 수집된 기사: 4개 전체 기사: 12개
수집 시간: 2025-11-26 07:45:44
네이버에서 보기

관련 기사 목록 4개

아시아경제 2025-11-26 06:00:00 oid: 277, aid: 0005684524
기사 본문

대형 GA 중에서도 설계사 규모 따라 내부통제 격차 전산시스템 운영, 준법감시활동 '위험'…해킹에 노출 금감원 "전산 구축·소비자보호 잘하면 가점" 독려 설계사 500명 이상 대형 법인보험대리점(GA) 열 중 세곳은 내부통제가 취약하거나 위험한 상태인 것으로 조사됐다. 전산시스템 구축·운영 실태에도 적신호가 켜진 것으로 드러났다. 26일 금융감독원이 발표한 '대형 GA 2024년도 내부통제 실태 평가 결과' 자료에 따르면 평가대상 75개사의 평균등급은 3등급(보통)으로 2023년과 같았다. 1~3등급(우수·양호·보통) 비율은 70.6%, 4~5등급(취약·위험) 비율은 29.3%였다. 4~5등급 비율은 전년 대비 9.8%포인트 하락했다. 대형 GA 내에서도 규모가 작은 기업일수록 내부통제가 취약한 것으로 조사됐다. 설계사 수 500명 이상~1000명 미만 GA 25곳 중 13곳(52%)이 4~5등급이었던 반면 1000명 이상~3000명 미만 GA 중 4~5등급은 30곳 중 9곳(30%...

전체 기사 읽기

뉴시스 2025-11-26 06:00:00 oid: 003, aid: 0013621464
기사 본문

대형 GA 2024년도 내부통제 실태 평가 결과 [서울=뉴시스] 서울 여의도 금융감독원 전경. (사진=뉴시스 DB) photo@newsis.com [서울=뉴시스]권안나 기자 = 대형 법인보험대리점(GA)의 내부통제 실태가 '보통' 수준으로 나타났다. 특히 회사 규모가 작거나 보험회사나 본점 등의 통제를 받지 않는 지사형일수록 관리가 더욱 잘 되지 않는 것으로 조사됐다. 26일 금융감독원이 발표한 '대형 법인보험대리점(GA)의 2024년도 내부통제 실태 평가' 결과에 따르면, 대형 GA 75개사의 지난해 내부통제 실태가 평균 '3등급(보통)' 수준으로 나타났다. 금감원은 소속 설계사 규모 500인 이상의 대형 GA가 내부통제를 자율적으로 강화하도록 2022년부터 내부통제 실태를 평가하고 있다. 등급은 1등급(우수)에서 5등급(위험)까지 5개로 나뉜다. 그동안의 시범평가 이후 1등급과 2등급에 해당되는 대형 GA가 소폭 증가하는 등 대형 GA의 내부통제 실태는 다소 개선되는 양상을 보...

전체 기사 읽기

뉴스1 2025-11-26 06:00:00 oid: 421, aid: 0008625048
기사 본문

지사형 GA '취약·위험' 비중 47.1%…자회사형, 오너형 보다 높아 "GA 판매비중 확대 걸맞게 금융사 상응하는 내부통제 마련 유도할 것" 26일 금융감독원은 법인보험대리점(GA)의 2024년도 내부통제 실태 평가 결과를 발표했다.ⓒ 뉴스1 (서울=뉴스1) 박재찬 보험전문기자 = 대형 법인보험대리점(GA) 75개사는 내부통제 등급으로 평균 '보통' 수준의 등급을 받았다. 다만 설계사 수 500~1000명 이하의 GA는 절반 이상이 '취약·위험' 등급을 받아 회사 규모에 따라 내부통제가 차이를 보였다. 26일 금융감독원은 법인보험대리점(GA)의 2024년도 내부통제 실태 평가 결과를 발표했다. 대형 GA 75개사의 지난해 내부통제 실태를 평가한 결과, 평균적으로 '3등급'으로 보통 수준으로 평가됐다. 그동안의 시범평가 이후 1~2등급 해당 대형 GA가 소폭 증가하는 등 대형 GA의 내부통제 실태는 다소 개선되는 양상을 보였으며, 평가대상 중 1~2등급(우수·양호)은 29개사로 38...

전체 기사 읽기

머니투데이 2025-11-26 06:00:00 oid: 008, aid: 0005283136
기사 본문

75개사 중 우수·양호 등급은 29개사...첫 평가에 '관대한 기준 적용' GA 내부통제 실태 평가 결과/자료=금융감독원 금융감독원이 대형 법인보험대리점(GA)의 2024년도 내부통제 실태를 평가한 결과 평균 수준이 '3등급(보통)'으로 나타났다. 전체 75개사 중 22개사는 '취약·위험' 등급을 받았다. 설계사가 많은 대형 GA이면서 본사의 지점 통제가 강할수록 등급이 높았다. 26일 금감원에 따르면 대형 GA의 2024년도 내부통제 실태 평가 결과 평균 3등급으로 평가됐다. 이번 평가는 2022년부터 시범평가로 운영하던 GA 내부통제 평가를 올해 처음 본평가 방식으로 실시한 것이다. 평가 대상은 소속 설계사가 500명 이상이고 영업기준 작성과 준법감시인 선임 의무가 있는 대형 GA 75곳이다. 평가 등급은 1~5등급(우수, 양호, 보통, 취약, 위험)으로 분류한다. 우수·양호 등급(1~2등급)은 총 29개사였고 보통(3등급) 24개사, 취약·위험(4~5등급)은 22개사였다. 연도...

전체 기사 읽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