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년 수도권 집값 2~3% 상승”… 공급 부족에 상승 압력 유지
관련 기사 목록 4개
기사 본문
23일 오전 서울 남산에서 서울 시내 아파트 대단지 모습이 보이고 있다. 뉴시스 내년 수도권 집값이 2∼3% 상승할 것이라는 전망이 나왔다. 구조적 공급 부족이 지속되면서 가격이 추가로 오를 가능성이 크다는 분석이다. 고하희 대한건설정책연구원 부연구위원은 25일 서울 동작구 전문건설회관에서 열린 ‘2025년 건설·주택 경기 전망 세미나’에서 “수도권은 착공 물량 감소, PF(프로젝트파이낸싱) 리스크, 3기 신도시 공사 지연 등이 겹치며 공급 축소 흐름이 계속되고 있다”며 이같이 밝혔다. 반면 지방은 인구 감소와 수요 약화로 1% 내외 하락 또는 보합을 보일 가능성이 크다고 내다봤다. 고 부연구위원은 올해 주택시장을 두고 “수도권과 지방 간 양극화가 더욱 뚜렷해졌다”고 평가했다. 그는 “수도권은 매수 심리와 거래, 가격 모두 회복세를 보인 반면 지방은 미분양 증가와 수요 부진으로 하락·정체가 이어졌다”고 설명했다. 이날 세미나에서는 내년 건설 경기 역시 제한적 회복에 그칠 것이라는 진...
기사 본문
건설정책연구원 전망 세미나 착공 감소·신도시 지연에 공급난 지방, 미분양·수요 감소로 약세권 전셋값 수도권 3%·지방 2% 상승 건설 경기, 제한적 반등… 2%↑ 예상 내년 수도권 집값이 공급 지연과 매수심리 회복으로 올해보다 2∼3% 오를 것이라는 전망이 나왔다. 지방은 보합 혹은 하락이 예상돼 수도권과 지방의 집값 양극화 현상은 더 심해질 것으로 보인다. 대한건설정책연구원(건정연)은 25일 서울 동작구 전문건설회관에서 ‘2026년 건설·주택 경기전망 세미나’를 열고 이같이 밝혔다. 정부의 규제 강화에 서울 주요 지역에서 전세 매물이 빠르게 줄어드는 반면 월세 비중은 크게 늘어나는 가운데 25일 서울 시내 한 부동산에 인근 아파트 월세·전세 매물 안내문이 붙어 있다. 뉴스1 고하희 건정연 부연구위원은 올해 주택시장은 전 고점 회복 흐름 속에서 수도권과 지방 간 양극화가 심화했다고 평가했다. 그는 “수도권은 매수심리와 거래, 가격이 모두 회복됐지만 지방은 미분양 누적과 수요 약세로 ...
기사 본문
건설투자 올해 9% 급감 뒤 '반등'… 건설산업 저성장 고착 내년에는 건설투자를 중심으로 건설경기가 일부 회복되고 주택시장에서 수도권과 지방 간 양극화가 더욱 확대될 것으로 분석된다. 사진은 김희수 대한건설정책연구원장(가운데)을 비롯한 이날 세미나에 참석한 내빈들의 단체사진. /사진=대한건설정책연구원 건설경기 핵심 지표가 위축된 가운데 내년에는 건설투자를 중심으로 일부 회복세가 나타날 전망이다. 주택시장은 수도권의 상승세와 지방의 하락·정체가 맞물리며 지역 간 격차가 더욱 확대될 것으로 관측된다. 25일 대한건설정책연구원에 따르면 수주·착공 감소 등 선행지표 부진이 이어지면서 올해 연간 건설투자는 약 9% 감소한 264조원에 머무를 것으로 분석된다. 내년에는 약 2%가량 소폭 회복해 269조원을 기록할 것으로 예상되지만 제한적 반등에 그칠 전망이다. 박선구 대한건설정책연구원 연구위원은 이날 오전 서울 동작구 전문건설회관에서 개최된 '2026년 건설·주택 경기전망 세미나'에서 "금리 ...
기사 본문
수도권·지방 집값·전세시장 양극화…공급 불균형 지속 건설경기 소폭 회복 전망…금리·지역 양극화 등 불안 요인 남아 서울시내 아파트 단지 모습. 2025.11.24/뉴스1 ⓒ News1 이호윤 기자 (서울=뉴스1) 김동규 기자 = 내년 수도권 주택시장은 올해보다 2~3% 상승할 것으로 전망됐다. 반면 지방은 수요 약세와 인구 감소 등의 영향으로 보합 내지 하락세가 예상되며, 수도권과 지방 간 양극화가 심화할 것으로 보인다. 전세시장 역시 수도권은 3%, 지방은 2% 상승할 것으로 예상된다. 공급 감소와 기존 세입자의 계약 갱신 증가가 가격 상승을 뒷받침할 것으로 분석된다. 내년 수도권 구조적 공급부족 시작 대한건설정책연구원은 25일 서울 동작구 전문건설회관에서 '2026년 건설주택 경기전망 발표' 세미나를 열고 내년도 주택시장 전망을 공유했다. 발표자로 나선 고하희 부연구위원은 "올해 주택시장은 수도권과 지방 간 양극화가 뚜렷했다"며 "수도권은 매수심리와 거래, 가격 모두 회복됐지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