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투證 “퇴직연금 ETF 투자 10개월만에 94% 급증”

2025년 10월 18일 수집된 기사: 4개 전체 기사: 18개
수집 시간: 2025-10-18 12:15:43
네이버에서 보기

관련 기사 목록 4개

파이낸셜뉴스 2025-10-17 10:48:20 oid: 014, aid: 0005420715
기사 본문

50대 주도 ‘ETF 직투’…미국 대표지수·AI 테마 인기 한국투자증권의 퇴직연금계좌(DC·IRP)를 통한 상장지수펀드(ETF) 투자 동향. 한국투자증권 제공 [파이낸셜뉴스] 한국투자증권은 퇴직연금 계좌(DC·IRP)를 통한 상장지수펀드(ETF) 투자금액이 최근 10개월 동안 1조6359억원 증가했다고 17일 밝혔다. 지난해 2024년 말 8조4000억원이던 확정기여형(DC)·개인형퇴직연금(IRP) 계좌 적립금은 이달 11조5000억원으로 늘었다. 이 가운데 ETF 투자금액은 1조7486억원에서 3조3845억원으로 약 2배(93.6%) 증가했으며, 계좌 내 ETF 비중도 20.8%에서 29.4%로 8.6%p 상승했다. 한국투자증권은 ETF 직접투자 확산과 관련, 글로벌 증시 강세와 함께 주요국 대표 지수 및 성장 테마형 상품에 대한 투자 수요가 증가한 영향으로 분석했다. 특히 50대 가입자층이 ETF 투자 확대를 주도했다. 미국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500·나스닥100 등 대표지...

전체 기사 읽기

머니투데이 2025-10-18 07:00:00 oid: 008, aid: 0005264654
기사 본문

/사진=게티이미지뱅크 연말을 앞두고 자산운용사들이 일제히 퇴직연금 고객 유치전에 열을 올리고 있다. 해가 바뀌기 전 세액공제 한도를 채우려는 투자자들을 연금상품으로 끌어들이기 위함이다. 18일 금융투자업계에 따르면 삼성자산운용·미래에셋자산운용·한국투자신탁운용(한투운용)·KB자산운용·한화자산운용 등 자산운용사는 4분기에 맞춰 퇴직연금 가이드북을 발간하거나 관련 웹세미나를 진행하는 등 연금 관련 이벤트를 마련했다. 이는 해가 넘어가기 전 절세 혜택을 노리는 투자자를 자사 퇴직연금 상품으로 끌어들이기 위함이다. 연금계좌에 투자하면 세금은 덜 내면서 복리로 수익은 늘리고, 나중에 더 낮은 세율을 적용받은 3단 절세 효과를 누릴 수 있다. 연금저축이나 개인형 퇴직연금(IRP) 등 연금계좌는 보통 연 900만원 한도에서 소득 규모에 따라 13.4% 또는 16.5%의 세액공제를 받을 수 있다. 매년 약 150만원의 세금을 절약할 수 있는 것이다. 김도형 삼성자산운용 ETF컨설팅본부장은 "연금계...

전체 기사 읽기

한국경제 2025-10-17 11:06:20 oid: 015, aid: 0005198186
기사 본문

與, 기금형 퇴직연금 도입 속도 금융권 "원리금 보장 수요 외면" 위기 시 근로자 손실 전가될 수도 사진=게티이미지뱅크 정부·여당이 기금형 퇴직연금 도입을 추진하는 가운데 금융권을 중심으로 우려의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확정급여(DB)형을 가입한 근로자는 기금형 퇴직연금을 도입했을 때 현행(계약형) 대비 손실 가능성만 커지기 때문이다. 일각에선 높은 수익률보다 원리금 보장을 중요시하는 근로자 수요를 외면해선 안 된다는 지적도 나온다. 사업주 파산 땐 근로자 손실 가능성 17일 정치권에 따르면 정부·여당은 이르면 올해, 늦어도 내년까지 기금형 퇴직연금 도입을 추진할 계획이다. 퇴직연금의 저조한 수익률을 개선하기 위한 대안으로 기금형 퇴직연금이 급부상해서다. 더 많은 퇴직연금 자금을 주식시장으로 불어넣어 ‘코스피 5000’을 달성하겠다는 의중도 녹아 있다. 기금형 퇴직연금 활성화는 이재명 정부 국정과제다. 기금형 퇴직연금은 가입자 적립금을 모아 전문기관이 체계적으로 관리 운용하는 방식이...

전체 기사 읽기

이데일리 2025-10-17 09:58:17 oid: 018, aid: 0006140110
기사 본문

[이데일리 이용성 기자] 신한투자증권은 퇴직연금과 연금저축을 합산한 연금자산 순증액이 전년 대비 1조 원 돌파했다고 17일 밝혔다. 이에 따라 연금자산 전체 규모는 8조 원 달성을 목전에 두고 있다. 신한투자증권에 따르면 연금 자산의 증가는 확정기여형(DC형), 개인형퇴직연금(IRP) 고객 유입과 잔고 확대가 주도했다. 퇴직연금 잔고 중 확정기여형(DC형), 개인형퇴직연금(IRP)은 지난해 연말 대비 각각 18%, 38% 증가했다. 특히 1억 원 이상 잔고를 보유한 개인형퇴직연금(IRP) 고객수가 전년 대비 40% 증가했다. 또한 저금리에 대응하는 가입자들의 유입으로 인해 전체 투자자산 중 비원리금상품(펀드·채권) 증가율은 34%로 펀드, 채권이 각각 32%, 58%로 나타났다. 신한투자증권의 연금자산 잔고 및 가입자 증가의 배경에는 고객의 실질 수익률 향상을 목적으로 실시한 ‘조건 없는 IRP 계좌 관리수수료 0%’ 제도와 ‘신한Premier 연금 서비스’가 주효했다는 평가다. 최...

전체 기사 읽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