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韓 화장품 쓸래요"…K뷰티에 열광하더니 수출액 4배 뛴 나라
관련 기사 목록 4개
기사 본문
남미 수출액 4년새 4배 '껑충' 뛴 K-뷰티 신시장 주목 친환경 화장품, 이색 원료 향수 등 맞춤형 전략 필요 사진=연합뉴스 미국과 동남아시아국가연합(ASEAN) 중심이던 'K-뷰티'가 남아메리카를 신시장으로 주목해야 한다는 분석이 나왔다. 24일 한국무역협회 국제무역통상연구원이 발간한 '남미 뷰티 수입시장 분석 및 현지 진출 확대 방안' 보고서에 따르면 지난해 남미의 뷰티 수입은 41억3000만달러(약 6조934억원)로 2021년 이후 연평균 4.7% 가량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 화장품이 전체의 34.9%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했고, 향수(23.1%), 헤어케어 제품(19.4%) 등이 뒤를 이었다. 한국의 뷰티 제품 남미 수출액은 2020년 1530만달러(약 225억원)에서 지난해 7020만 달러(약 1036억원)로 최근 4년 새 4배 이상 증가했다. 남미 뷰티 수입 시장에서 한국의 순위 역시 17위에서 13위로 상승했고, 수입시장 점유율도 같은 기간 0.7%에서 1.6%로 확대...
기사 본문
[서울경제] K뷰티의 수출액이 사상 최대 기록을 경신하며 글로벌 위상이 높아진 가운데 중국 화장품 ‘C뷰티’가 빠르게 성장하면서 맹추격을 하고 있다. 반도체, 전기·전자, 선박 등 국내 수출 주력 업종의 경쟁력이 조만간 중국에 뒤처질 것으로 전망되는 상황에서 소비재인 K뷰티의 아성까지 위협받는 것 아니냐는 우려가 나온다. 23일 한국무역협회에 따르면 올 1~9월 중국의 화장품 수출액은 약 54억 268만 달러로, 전년 동기(49억 5056만 달러) 대비 9.13% 증가했다. C뷰티의 수출 국가도 2022년 200개국에서 올 들어 215개국으로 늘어났다. 반면 국내 화장품의 대중 수출액은 감소하는 추세다. 올 10월까지 한국의 대중 화장품 수출액은 17억 2520만 달러로, 전년 동기(21억 2211만 달러) 대비 18.7% 감소했다. 지난해 연간 대중 화장품 수출액이 전년 대비 10.3% 줄어든 것에 비해 감소율이 2배 가까이 되는 것이다. 이 영향으로 지난해 K뷰티 수출국 1위였던...
기사 본문
무역협회 보고서…"남미 뷰티시장, 연평균 4.7% 꾸준한 성장" 서울 명동의 화장품 매장에서 쇼핑하는 외국인 [연합뉴스 자료사진] (서울=연합뉴스) 김동규 기자 = 미국과 아세안을 중심으로 한국 화장품의 수출 성장세가 두드러지는 가운데 'K-뷰티' 신시장으로 부상 중인 남미에 주목해야 한다는 주장이 나왔다. 한국무역협회 국제무역통상연구원이 24일 펴낸 '남미 뷰티 수입시장 분석 및 현지 진출 확대 방안' 보고서에 따르면 지난해 남미의 뷰티 수입은 41억3천만달러로, 2021년 이후 연평균 4.7% 가량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 품목별로는 화장품이 전체의 34.9%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했고, 향수(23.1%), 헤어케어 제품(19.4%) 등이 뒤를 이었다. 한국의 뷰티 제품 남미 수출액은 2020년 1천530만달러에서 지난해 7천20만 달러로 최근 4년 사이 4배 이상 증가했다. 이에 따라 남미 뷰티 수입 시장에서 한국의 순위 역시 17위에서 13위로 상승했고, 수입시장 점유율도 같은...
기사 본문
한국무역협회 로고./사진=한국무역협회 제공 미국과 아세안을 중심으로 국산 화장품이 각광받고 있는 가운데 '남미'를 K뷰티의 새로운 잠재 시장으로 꼽는 분석이 나왔다. 한국무역협회 국제무역통상연구원이 24일 발표한 '남미 뷰티 수입시장 분석 및 현지 진출 확대 방안' 보고서에 따르면 지난해 남미의 뷰티 수입 물량은 41억3000만 달러다. 품목별로는 화장품이 전체 수입의 34.9%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했으며 향수(23.1%), 헤어케어 제품(19.4%)이 뒤를 이었다. 남미의 뷰티 수입은 2021년 이후 연평균 4.7%의 꾸준한 증가세를 보이고 있다. 국내에서 남미로 가는 뷰티 수출 물량도 호조세를 보인다. 남미로의 수출액은 2020년 1530만 달러에서 지난해 7020만 달러로 4배 이상 증가했다. 이 기간 남미 뷰티 수입시장에서 한국이 차지하는 순위 역시 17위에서 13위로 상승했으며 수입시장 점유율도 0.7%에서 1.6%로 확대됐다. 지난해 남미로 수출된 뷰티 품목 중 화장품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