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 3위 인도, 車 보급률 아직 3.4%…"세계 최대 잠재력 보유"
관련 기사 목록 4개
기사 본문
자동차硏, '인도 완성차 시장 현황 및 전망' 인도 연간 車 판매량 525만대, 전년比 60%↑ 차량 80%가 이륜···4륜차 전환 시기 도래 인도 뭄바이의 거리 모습. 연합뉴스 [서울경제] 글로벌 3위 규모인 인도 완성차 시장의 성장 여력이 여전히 크다는 분석이 제기됐다. 연간 500만 대 이상의 신차가 판매됨에도 자동차 보급률이 아직 3.4%에 불과하기 때문이다. 24일 한국자동차연구원의 '인도 완성차 시장 현황 및 전망'에 따르면 인도는 2022년 일본을 제치고 중국·미국에 이어 세계 3위 자동차 시장으로 자리매김했다. 2025년 회계연도(2024년 4월~2025년 3월) 기준으로는 승용차 430만대·상용 95만 대 등 총 525만 대의 신차(사륜차 기준)가 판매돼 2021년 대비 60.8% 증가했다. 그럼에도 2022년 기준 인도의 승용차 보급률은 인구 1000명당 34대로 미국(772대), 유럽연합(560대), 한국(455대) 등을 크게 밑도는 수준이다. 보고서는 14억50...
기사 본문
한국자동차연구원 보고서 인구 대비 자동차 보급율 낮아 “향후 성장 여력 매우 큰 시장” 인도 내수 완성차 시장 신차 판매 추이 표 [한국자동차연구원 제공] [헤럴드경제=서재근 기자] 단일 국가 기준 세계 3위 완성차 시장으로 성장한 인도의 시장 성장 잠재력이 여전히 크다는 분석이 나왔다. 24일 한국자동차연구원의 ‘인도 완성차 시장 현황 및 전망’에 따르면 인도는 지난 2022년 일본을 제치고 중국과 미국에 이은 세계 3위 완성차 시장으로 자리매김했다. 특히, 보고서는 인도가 여전히 인구 대비 자동차 보급율이 낮은 국가로, 향후 성장 여력이 매우 큰 것으로 평가했다. 인도는 자동차 보급 초기 단계의 국가로 보급 비율이 인구 1000명당 34대 수준이다. 이는 미국(772대), 유럽연합(560대), 한국(455대) 등을 크게 밑도는 수준이다. 보고서는 “지난해 기준 약 14억5000명에 달하는 인구와 연간 6% 이상의 경제 성장률을 고려하면, 인도는 자동차 신규 수요 및 기 보급된 2...
기사 본문
중국 대체할 생산·소비지로 부상 이륜차가 많아··· 4륜차 전환 기대 계층화·분절화 사회도 기회요인 현대차 “26종 투입 새 성장 동력” 인도가 미국, 중국에 이은 세계 3위의 자동차 시장으로 성장했지만, 자동차 보급률은 3.4%에 불과해 성장 여력이 크다는 분석이 나왔다. 인도가 중국을 대체할 자동차 생산·소비지로 부상한 가운데 시장 점유율이 줄어든 현대자동차는 2030년까지 26종의 신차를 투입해 인도 시장을 공략할 계획이다. 24일 한국자동차연구원이 발표한 ‘인도 완성차 시장 현황 및 전망’ 보고서에 따르면 2022년 인도의 승용차 보급률은 인구 1000명당 34대에 그쳤다. 미국(772대), 유럽연합(560대), 한국(455대) 등에 견줘 크게 밑돈다. 한국자동차연구원은 “14억 5000명에 달하는 인구와 연 6% 이상의 경제성장률을 고려하면 인도 자동차 시장은 세계 최고 수준의 성장 잠재력을 보유하고 있다”고 밝혔다. 특히 인도는 이륜차 보급률(1000명당 185대)이 높다...
기사 본문
인도 뭄바이 자동차 행렬 [EPA=연합뉴스] (서울=연합뉴스) 홍규빈 기자 = 글로벌 3위 규모로 커진 인도 완성차시장의 성장 여력이 여전히 크다는 분석이 나왔다. 24일 한국자동차연구원의 '인도 완성차 시장 현황 및 전망'에 따르면 2022년 기준 인도의 승용차 보급률은 인구 1천명당 34대에 그쳤다. 미국(772대), 유럽연합(560대), 한국(455대) 등을 크게 밑도는 수준이다. 보고서는 14억5천명에 달하는 인구와 연간 6% 이상의 경제성장률을 고려하면 인도 자동차 시장은 세계 최고 수준의 성장 잠재력을 보유하고 있다고 보고서는 강조했다. 특히 인도는 이륜차 보급률(1천명당 185대)이 높다는 점에서 향후 경제발전에 따라 이륜차 수요가 승용차 수요로 전환될 가능성도 있다. 작년 4월부터 올해 3월까지 인도에서 자동차(사륜차)는 525만9천대 팔렸고 이륜차, 삼륜차 등은 총 2천34만9천대 판매됐다. 인도 사회구조가 지역, 사회계층, 성별, 종교별로 분절화돼있다는 점도 모빌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