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기사 목록 4개
기사 본문
가상자산 시장에 저가 매수세가 유입되면서 비트코인 등 주요 가상자산 가격이 소폭 반등하고 있다. 24일 글로벌 가상자산 시황 중계사이트 코인마켓캡에 따르면, 이날 오전 7시 40분 비트코인은 개당 8만7740달러로, 24시간 만에 3.66% 상승했다. 지난 17일 9만5000달러 수준이던 비트코인은 금리 인하 기대감이 줄어들면서 지난21일 8만1000달러까지 급락했다. 서울 강남구 업비트 고객센터 전광판. /뉴스1 비슷한 시각 엑스알피는 6.51% 상승한 2.07달러, 비앤비는 2.5% 상승한 852.92달러, 솔라나는 4.1% 상승한 132.56달러를 각각 기록했다. 이번 상승 흐름은 시장이 단기간 급락하면서 저가 매수세가 유입됐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지난 20일가상자산 시장은 일제히 폭락했으나, 지난 21일 미국 뉴욕 연방준비제도 총재의 ‘금리 인하 여지’ 발언이 나오면서 낙폭을 줄였다. 가상자산 가격은 지난 22일부터 반등하고 있다.
기사 본문
■ 머니쇼+ '투자 노하우' - 백훈종 스매시파이 대표 2022년 이후 최악의 매도세를 겪고 있는 비트코인, 최근 고점 대비 가격이 30% 이상 하락하기도 했는데요. 이를 두고 유동성 우려가 계속 제기되는 상황이잖아요? 비트코인 손실을 만회하기 위해 주식을 팔고, 그 돈으로 다시 비트코인을 사는 게 반복되는 상황이죠. 최근은 가상자산 시장 전체가 흐린 눈을 하고 보고 싶은 상황이잖아요. 이런 상황에서 어떻게 대응해야 할지 스매시파이 백훈종 대표 모시고 자세한 이야기 나눠보겠습니다. Q. 9만 달러선을 내준 후 지난주 내내 부진한 흐름 보이던 비트코인, 9만 달러선 재돌파를 시도하는 듯 하지만 역부족인 듯한데요. 지난주 가상자산 시장 전체가 흔들리는 듯한 모습이었어요? - 힘빠진 비트코인…연내 9만 달러선 재돌파 가능할까 - 비트코인, 지난 21일 9만 달러 내주며 하락세 지속 - 가상자산 시장 심리지수, 최근 1년 중 최저치 기록 - 가상자산 공포탐욕지수, '극도의 공포' 수준 지속...
기사 본문
시장을 뒤흔든 지수 퇴출 공포 최근 암호화폐 시장을 강타한 비트코인 급락은 단순한 조정을 넘어 시장 구조적 취약점을 드러내는 사건이었다. 비트코인은 10월 고점 대비 30% 이상 급락했으며, 마이클 세일러가 이끄는 스트레티지(MSTR)는 사상 최고가 대비 60% 이상 폭락하는 등 관련 주식도 동반 하락했다. 이러한 시장 혼란의 진정한 심장에는 MSCI의 주요 지수에서 암호화폐 비중이 높은 기업을 퇴출시키려는 움직임이 자리잡고 있다. 이번 칼럼에서는 MSCI 지수 퇴출 공급이 비트코인과 금융 시장 전체에 미친 구조적 영향을 파헤쳐본다. MSCI 지수 퇴출 논의 - 시장을 뒤흔든 결정적 계기 1. 시장의 논란, MSCI의 '디지털 자산 보유 기업' 분류 기준 금융 지수 공급사 MSCI는 최근 기업 총자산 대비 암호화폐 보유 비중이 50%를 초과하는 기업을 '디지털 자산 보유 기업'으로 분류하고, 이들을 MSCI USA를 비롯한 주요 주가지수에서 제외하는 방안을 협의 중이다. 이 결정은 ...
기사 본문
[서울=뉴시스] '부자아빠'로 알려진 로버트 기요사키 (사진=인스타그램) [서울=뉴시스]김혜경 기자 = 베스트셀러 '부자 아빠 가난한 아빠'의 저자로 유명한 로버트 기요사키가 내년에 금값이 온스당 200달러까지 오를 것이라는 전망을 내놨다. 기요사키는 23일(현지시간) 자신의 엑스(옛 트위터)를 통해 '역사상 가장 큰 붕괴(CRASH)가 시작됐다'는 제목의 글을 올렸다. 그는 "2013년에 나는 (저서) '부자아빠의 예언(Rich Dad’s Prophecy)'에서 역사상 가장 큰 붕괴가 올 것이라고 예측했다"며 "안타깝게도 그 붕괴가 이미 도착했다"고 썼다. 이어 "미국만의 문제가 아니다. 유럽과 아시아도 붕괴 중이다"라며 "AI는 일자리를 없앨 것이고, 일자리가 무너지면 오피스·주거용 부동산도 함께 무너진다"고 전망했다. 또 "지금은 더 많은 금, 은, 비트코인, 이더리움을 살 때"라면서 "그중에서도 은이 가장 좋고 가장 안전하다"고 평가했다. 그러면서 "은은 현재 온스당 50달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