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출 어려워 이사 못가… 전월세 41%가 재계약

2025년 11월 25일 수집된 기사: 4개 전체 기사: 14개
수집 시간: 2025-11-25 05:17:09
네이버에서 보기

관련 기사 목록 4개

동아일보 2025-11-25 03:02:30 oid: 020, aid: 0003676770
기사 본문

10·15 대책후 40일간 3.1%P 늘어 10·15 대책 이후 40일간 서울 아파트 전월세 거래 중 계약갱신요구권을 이용해 기존 계약을 갱신한 거래가 전체 거래의 40%를 넘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출 규제와 실거주 의무 강화로 이사가 어려워지며 기존 집에 머무르려는 세입자가 늘어난 것으로 보인다. 24일 국토교통부 실거래가 시스템에 따르면 지난달 16일부터 이날까지 40일간 체결된 전월세 계약 2만1241건 중 갱신계약은 8702건(41%)이었다. 대책 시행 직전 40일(9월 6일∼10월 15일)간의 전월세 계약은 2만3497건으로 이 중 갱신계약은 8899건(37.9%)이었다. 대책 시행 이후 갱신계약 비중이 이전보다 3.1%포인트 높아진 것이다. 이는 10·15 대책으로 대출 규제와 실거주 의무가 강화된 영향으로 보인다. 이번 대책으로 1주택자가 수도권 및 규제지역에서 전세 대출을 받는 경우 이자상환분에 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DSR)이 적용된다. 규제지역 내에서 3억 원 초과 아...

전체 기사 읽기

연합뉴스 2025-11-24 08:10:14 oid: 001, aid: 0015758156
기사 본문

강남권은 45→49%로 급증…3중 규제로 지역간·규모간 상향 이동 어려워져 대책 직후 감소하던 전월세 물건도 증가 (서울=연합뉴스) 서미숙 기자 = "10·15대책 후 집주인과 재계약을 하려는 임차인이 많아졌어요. 내년 1∼2월 전세 계약이 이뤄져야 할 시기인데 새로 전세를 찾는 수요는 예전보다 줄었습니다." 지난 주말 노원구 상계동의 한 중개사무소 대표의 말이다. 이 중개사는 "10·15대책의 문제는 단지 내에서 평수를 넓혀가거나 자녀 학교 문제 등으로 다른 지역으로 이동해야 하는 실수요자들까지 거주의 자유와 이동에 제약이 커졌다는 것"이라며 "규제가 적응되기 전까지 재계약 위주로 이뤄지고 신규 계약은 상대적으로 거래가 부진할 것 같다"고 말했다. 서울 남산에서 바라본 서울 시내 아파트 모습 [연합뉴스 자료사진] 24일 연합뉴스가 국토교통부 실거래가시스템의 전월세 거래신고 정보를 분석한 결과 10·15대책 이후 37일간(10월 16일∼11월21일) 체결된 서울 아파트 전월세 계약 ...

전체 기사 읽기

한국경제TV 2025-11-24 08:26:02 oid: 215, aid: 0001231961
기사 본문

정부의 고강도 부동산 대책 이후 서울 아파트 전월세 계약의 절반 가까이가 갱신 계약인 것으로 나타났다. 24일 연합뉴스가 국토교통부 실거래가시스템의 전월세 거래신고 정보를 분석한 결과 10·15대책 이후 37일간(10월 16일∼11월21일) 체결된 서울 아파트 전월세 계약 2만여건 가운데 갱신 계약 비중은 44.4%를 차지했다. 대책 전 37일간의 갱신계약 비중 42.7%에 비해 1.7%포인트 높아졌다. 특히 강남구와 용산구 등 4개구의 갱신계약 비중이 10·15 대책 전 45.2%에서, 대책 후 49.2%로 높아졌다. 이들 지역은 기존에 규제지역과 토지거래허가구역 등 '3중 규제'로 묶여 있었다. 강남권과 용산을 제외한 나머지 21개 구의 재계약 비중은 10·15대책 전 41.8%에서 대책 후 42.7%로 증가했다. 10·15대책 후 1주택자의 전세자금대출에 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DSR)을 적용하고, 규제지역내 3억원 초과 아파트를 취득한 사람은 전세대출이 금지되는 등 전세대출 규제...

전체 기사 읽기

매일경제 2025-11-24 09:02:19 oid: 009, aid: 0005594900
기사 본문

규제로 지역·규모간 상향이동 어려워 강남3구·용산 제외한 나머지 21개 구 재계약 비율 41.8%→42.7% 늘어나 아파트 전월세 물건수도 다시 증가세 남산에서 바라본 서울에 아파트가 즐비하다. [이승환 기자] 10·15대책 후 집주인과 재계약을 하려는 임차인이 눈에 띄게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10·15대책 시행 이후 평수를 넓혀가거나 다른 지역으로 이동을 희망하는 실수요자들까지 거주의 자유와 이동에 제약이 커졌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24일 국토교통부 실거래가시스템의 전월세 거래신고 정보에 따르면 10·15대책 이후 37일간(10월 16일∼11월21일) 체결된 서울 아파트 전월세 계약 2만여건 가운데 갱신 계약 비율은 44.4%를 차지했다. 이는 대책 전 37일간의 갱신계약 비율(42.7%)보다 1.7%포인트 높아진 것이다. 특히 기존에 규제지역과 토지거래허가구역 등 ‘3중 규제’로 묶여 있던 강남구와 용산구 등 4개구의 갱신계약 비율이 10·15 대책 전 45.2%에서, 대책 ...

전체 기사 읽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