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30대 4명 중 3명꼴 무주택 ‘사상 최대’

2025년 11월 25일 수집된 기사: 4개 전체 기사: 58개
수집 시간: 2025-11-25 05:16:43
네이버에서 보기

관련 기사 목록 4개

세계일보 2025-11-24 20:01:08 oid: 022, aid: 0004085038
기사 본문

주택 소유율 25.8%로 하락 자가 없는 30대 52만7729가구 달해 취업·결혼 지연으로 주택 구입 늦고 집값마저 급등해 ‘주거 난민’ 내몰려 청년층 83.2% “향후 내 집 갖고 싶다” 지난해 서울에 사는 30대 무주택 가구가 관련 통계 작성 이후 가장 많았다. 30대 가구주 4명 중 집주인은 1명꼴에 그쳐 주택 소유율은 역대 최저를 기록했다. 혼인이 늦어지고 1인 가구가 늘어나는 가운데 서울 집값마저 급등해 사회 초년생의 내 집 마련을 어렵게 하고 있다는 분석이다. 24일 국가데이터처의 주택소유통계 등에 따르면 지난해 서울에 거주하는 30대(가구주 기준) 무주택 가구는 52만7729가구로 집계됐다. 이는 전년보다 1만7215가구 증가한 것으로 관련 통계가 작성된 2015년 이후 최대치였다. 서울 30대 무주택 가구는 2015년 47만5606가구에서 2018년 45만6461가구까지 감소한 이후 이듬해부터 6년 연속 늘었다. 24일 서울 잠수교에서 바라본 아파트 단지 모습. 뉴시스...

전체 기사 읽기

연합뉴스 2025-11-24 05:55:00 oid: 001, aid: 0015758052
기사 본문

주택 소유가구는 '20만' 밑으로…주택 소유율 25.8%, 역대 최저 청년 1인 가구 10명 중 8명은 "내 집 마련 필요" 서울 30대 무주택 가구 역대 최대 (서울=연합뉴스) 김주형 기자 = 지난해 서울에 사는 30대 무주택 가구가 관련 통계 작성 이래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난 24일 서울 남산에서 바라본 아파트 밀집 지역이 안개로 뿌옇게 보인다. 2025.11.24 kjhpress@yna.co.kr (세종=연합뉴스) 송정은 기자 = 지난해 서울에 사는 30대 무주택 가구가 관련 통계 작성 이래 가장 많았다. 동시에 30대 가구주 4명 중 집주인은 1명 뿐으로, 주택 소유율이 역대 최저였다. 혼인이 늦어지고 1인가구가 늘어나는 가운데 서울 집값 급등, 공급 부족, 강화된 대출 규제로 사회 초년생의 생애 첫 내 집 마련이 어려웠기 때문으로 보인다. 24일 국가데이터처(옛 통계청) 주택소유통계와 국가통계포털에 따르면 지난해 서울에 거주하는 30대(가구주 기준) 무주택 가구는 52만7...

전체 기사 읽기

MBN 2025-11-24 07:25:08 oid: 057, aid: 0001920611
기사 본문

주택 소유가구는 '20만' 밑으로…주택 소유율 25.8%, 역대 최저 사진=연합뉴스 지난해 서울에 거주하는 30대 무주택 가구 수가 관련 통계 작성 이후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동시에 30대 가구주 4명 중 1명만이 집을 소유한 것으로 집계돼, 주택 소유율도 역대 최저 수준을 기록했습니다. 이 같은 변화는 혼인 시기 지연과 1인 가구 증가 속에서 서울 집값 급등, 공급 부족, 강화된 대출 규제 등이 겹치며 사회초년생의 첫 자가 마련이 더욱 어려워졌기 때문으로 분석됩니다. 오늘(24일) 국가데이터처(옛 통계청)의 주택소유통계와 국가통계포털 자료에 따르면 지난해 서울에 거주하는 30대 가구주 무주택 가구는 52만7천729가구로 집계됐습니다. 이는 전년보다 1만7천215가구 늘어난 수치로, 2015년 관련 통계가 작성된 이후 최대치입니다. 서울 30대 무주택 가구 수는 2015년 47만5천606가구에서 2018년 45만6천461가구까지 감소했다가 2019년부터 다시 증가하기 시작...

전체 기사 읽기

강원도민일보 2025-11-24 09:23:11 oid: 654, aid: 0000152996
기사 본문

주택 소유율 25.8%로 통계 작성 이래 최저 집값 급등·대출 규제에 청년 내 집 마련 '막막' ▲ 서울 시내의 부동산에 붙은 매매 안내문. 연합뉴스 자료사진 지난해 서울에 사는 30대 무주택 가구가 통계 작성 이래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30대 가구주 4명 가운데 집을 가진 이는 1명뿐일 정도로 주택 소유율은 역대 최저를 기록했다. 혼인과 취업 시기가 늦어지고 1인가구가 늘어나는 가운데 서울 집값 급등, 공급 부족, 강화된 대출 규제 등이 겹치면서 사회 초년생의 생애 첫 내 집 마련 문턱이 크게 높아진 영향으로 풀이된다. 24일 국가데이터처(옛 통계청) 주택소유통계와 국가통계포털에 따르면 지난해 서울에 거주하는 30대(가구주 기준) 무주택 가구는 52만7729가구로 집계됐다. 전년보다 1만7215가구 늘어난 것으로, 관련 통계가 작성되기 시작한 2015년 이후 최대치다. 서울 30대 무주택 가구는 2015년 47만5606가구에서 2018년 45만6461가구까지 줄었다가 이듬해...

전체 기사 읽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