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U, 뷰티 특화 편의점 확대… “내년 1000점 이상 늘릴 것”

2025년 11월 25일 수집된 기사: 4개 전체 기사: 26개
수집 시간: 2025-11-25 04:09:07
네이버에서 보기

관련 기사 목록 4개

조선비즈 2025-11-24 08:23:12 oid: 366, aid: 0001125356
기사 본문

CU는 편의점의 새로운 성장 카테고리 중 하나로 적극 육성하고 있는 화장품 라인업을 대폭 늘리고 내년 뷰티 특화 편의점을 1000점 이상 늘리겠다고 24일 밝혔다. /BGF리테일 제공 CU의 뷰티 특화 편의점은 뷰티 전용 매대를 갖추고 스킨, 로션과 같은 기초 화장품부터 세럼, 리들샷, 립틴트, 수분 크림, 마스크팩, 트러블 패치 등에 이르기까지 최대 300여 종에 이르는 제품을 판매한다. 뷰티 특화 편의점은 대학가, 유흥가, 오피스가 등 가성비 화장품에 대한 수요가 높은 입지를 비롯해 도시보다 상대적으로 화장품 구매처가 부족한 지방 권역에 이르기까지 폭넓게 들어서고 있다. CU의 전년 대비 화장품 매출 신장률은 2023년 28.3%, 2024년 16.5%, 2025년(1~11월) 21.4%를 기록하며 꾸준한 성장세를 이어가고 있다. CU의 화장품 매출 중 약 70%는 1020 세대가 차지했다. 최민지 BGF리테일 생활용품팀 MD는 “편의점 화장품 시장이 날로 커지면서 발 빠른 상품...

전체 기사 읽기

동아일보 2025-11-25 03:02:21 oid: 020, aid: 0003676766
기사 본문

편의점 업계가 뷰티 카테고리 육성에 속도를 내고 있다. 화장품 라인업을 넓히고 특화 점포를 늘리면서 업계 간 경쟁이 한층 치열해지는 분위기다. 편의점 CU는 내년 뷰티 특화 매장을 1000곳 이상 확대할 계획이라고 24일 밝혔다. CU는 올해 7월 첫 뷰티 특화 편의점을 선보인 후 현재 500여 곳을 운영 중이다. 점포에서는 전용 매대를 설치해 기초 화장품, 립틴트, 트러블 패치 등 최대 300여 종의 제품을 판매하고 있다. GS리테일이 운영하는 GS25는 9월부터 매출 성장 잠재력이 높은 500여 개 점포에 건강·뷰티 전용 특화 매대를 도입했다. 해당 매대에서는 기초 제품, 색조 등 화장품 30여 종을 평균 3000원대에 판매하고 있다. 세븐일레븐은 지난해 9월 패션·뷰티 콘텐츠를 메인으로 내세운 ‘동대문던던점’을 열었다. 올해는 3000원대 가성비 콘셉트의 선크림, 마스크팩 등을 선보이며 뷰티 상품군을 강화하고 있다.


비즈워치 2025-11-24 17:27:07 oid: 648, aid: 0000042076
기사 본문

새 먹거리 찾기 본격화 초저가·소용량 앞세워 뷰티·건기식·의류 확대 /그래픽=비즈워치 포화 상태에 다다른 편의점 업계가 새 돌파구를 찾고 있다. 기존 식품 중심의 상품 구성에서 벗어나 뷰티·건강기능식품(건기식)·의류 등 비(非)식품군에 '다이소형 초저가·소용량 모델'까지 도입하고 있다. CU·GS25·세븐일레븐 등은 이같은 전략 수정을 통해 '근거리 라이프스타일 플랫폼'으로의 전환을 꾀하고 있다. 편의점의 변신 편의점 매대가 색조·기초 화장품으로 빠르게 채워지고 있다. 과거 프레시푸드(FF) 등 식품 판매 중심이었던 것과는 확연히 달라진 모습이다. 트렌드에 민감한 젊은 고객이 몰리는 편의점 채널 특성을 고려해 다양한 니즈를 흡수하려는 전략이다. 편의점의 이런 변화는 '다이소'와 닮아있다. 앞서 다이소는 유명 제조사와 협업한 5000원 이하 화장품으로 큰 인기를 끌었다. 다이소의 성공 공식을 본 편의점들은 너도나도 다이소의 '소용량 초저가' 모델을 도입했다. GS리테일이 운영하는 편의...

전체 기사 읽기

데일리안 2025-11-24 09:10:15 oid: 119, aid: 0003028611
기사 본문

입지 및 고객 유형 분석 통해 주요 상권에 뷰티 특화점 도입 화장품 매출 신장률 두 자릿 수...1020세대 매출 비중 70% ⓒBGF리테일 [데일리안 = 최승근 기자] CU가 편의점의 새로운 성장 카테고리 중 하나로 적극 육성하고 있는 화장품 라인업을 대폭 늘리고 내년 뷰티 특화 편의점을 1000점 이상 늘리겠다고 24일 밝혔다. 최근 국내외 화장품 시장이 꾸준히 성장함에 따라 CU도 지난해부터 본격적으로 차별화 상품들을 잇따라 출시하고 있으며 특히, 입지 및 고객 유형 등에 대한 분석을 바탕으로 전국 주요 상권에 뷰티 특화 편의점을 도입하고 있다. CU의 뷰티 특화 편의점은 대학가, 유흥가, 오피스가 등 가성비 화장품에 대한 수요가 높은 입지를 비롯해 도시보다 상대적으로 화장품 구매처가 부족한 지방 권역에 이르기까지 폭넓게 들어서고 있는 중이다. 해당 점포들은 뷰티 전용 매대를 갖추고 스킨, 로션과 같은 기초 화장품부터 세럼, 리들샷, 립틴트, 수분 크림, 마스크팩, 트러블 패치...

전체 기사 읽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