증시 머니무브 막아라…인터넷은행도 금리전쟁[Today’s PICK]
관련 기사 목록 4개
기사 본문
시중은행에 이어 인터넷전문은행과 저축은행까지 예금 금리를 잇따라 인상하고 있다. 24일 은행연합회에 따르면, 케이뱅크는 최근 ‘코드K 정기예금’의 1년 만기 최고 금리를 연 2.58%에서 2.86%로 올렸다. 카카오뱅크의 1년 만기 정기예금 상품 금리는 지난달 연 2.5%에서 2.85%로 올랐다. 토스뱅크도 이달 3·6개월 만기 정기예금 상품 금리를 0.1%포인트 인상해 연 2.5%대에 진입했다. 김주원 기자 저축은행도 금리 인상 대열에 합류했다. 이날 저축은행중앙회에 따르면, 전국 79개 저축은행의 1년 만기 정기예금 평균 금리는 이달 13~17일 2.6%대까지 떨어졌다가 이날 연 2.71%로 올랐다. 저축은행 관계자는 “연말 고금리 특판 예금 중 만기가 돌아오는 데다 업권이 다 금리를 올리는 추세여서 고객 이탈을 막기 위한 조치”라고 설명했다. 이에 앞서 시중 은행도 고금리 상품을 앞다퉈 내놨다. 이날 기준 5대 시중 은행(KB·신한·우리·하나·NH농협)의 정기예금(1년 만기) ...
기사 본문
5개 저축은행 이자 비용 추이 분석 “건전성 회복 최우선, 대출 축소 영향” 30일 초단기 특판상품만 고금리 적용 이용고객 연령대 4050→2030 확대 ‘예테크족’이 여유 자금을 맡기기 위해 선택했던 저축은행은 이제 그 선택지가 과연 얼마나 매력적인지 다시 살펴봐야 할 시점에 다다랐다. 저축은행의 수신 금리가 눈에 띄게 낮아지고, 시중은행과의 금리 격차는 거의 사라지거나 일각에선 금리 ‘역전현상’도 나타나고 있기 때문이다. 그 배경에는 거시적인 금리 인하 외에도, 각 금융권이 처한 특별한 사정과 전략들이 숨어 있다. 저축은행은 예금 금리를 내리면서도, 동시에 초단기 고금리 적금 특판을 연이어 출시하는 ‘투트랙 전략’을 취하고 있다. ▶수신 확대 어렵지만, 고객군 확보는 중요=시중은행 간 금리 차이가 갈수록 좁혀지고 있다. 보통 시중은행보다 0.5~1.0%포인트 높은 금리로 수신을 유치하는 저축은행이 현재는 그 격차가 거의 0%대로 줄어들었다. 20일 저축은행중앙회와 은행연합회에 따...
기사 본문
최근 시장금리 상승 등으로 시중은행에 이어 인터넷전문은행도 예금상품 금리를 잇따라 올리고 있다. 뉴스1 시중은행에 이어 인터넷전문은행과 저축은행까지 예금 금리를 잇따라 인상하며 연 3%대 정기예금 상품이 속속 출시되고 있다. 시장금리가 상승하는 가운데 최근 활황이었던 증시와 이르면 다음 달 출시를 앞둔 종합투자계좌(IMA) 상품 등으로의 자금 유출을 막기 위한 은행권의 ‘락인(Lock-in)’ 전략이라는 분석이 나온다. 24일 은행연합회에 따르면, 케이뱅크는 최근 ‘코드K 정기예금’의 1년 만기 최고 금리를 연 2.58%에서 2.86%로 올렸다. 카카오뱅크도 지난달과 이달 세 차례 정기예금 금리를 인상했다. 1년 만기 정기예금 상품의 금리는 지난달 연 2.5%에서 2.85%로 올랐다. 토스뱅크도 이달 3·6개월 만기 정기예금 상품 금리를 0.1%포인트 인상해 연 2.5%대에 진입했다. 김주원 기자 경기 침체와 대출 규제로 대출 영업을 축소하며 수신 영업에도 소극적이었던 저축은행도 금...
기사 본문
시중銀 반년만, 저축銀 한달만에 재등장 자취를 감췄던 3%대 정기예금이 다시 등장하고 있다. 저축은행은 한 달, 시중은행은 6개월 만의 일이다. 한국은행의 기준금리 인하 기대가 약해지면서 시장금리가 반등한 데다 증시로의 자금 이동, 연말 대규모 예·적금 만기 등이 겹치면서 예금 유치를 둘러싼 경쟁이 재점화되는 모습이다. 24일 저축은행중앙회에 따르면 OK저축은행은 지난 19일 12개월 만기 기준 정기예금 금리를 연 3.10%로 높였다. 연 3% 이상(12개월 만기 기준) 금리를 제공하는 저축은행 정기예금 상품이 등장한 것은 지난달 24일 이후 처음이다. HB저축은행과 키움YES저축은행도 이날 12개월 만기 기준으로 금리가 3%대인 정기예금 상품을 내놨다. 한 저축은행 관계자는 "기존에도 업계 평균보다 높은 수준의 정기예금 금리를 유지해왔다"며 "이번에 시장 흐름 변화에 맞춰 금리를 조정한 것"이라고 설명했다. 정기예금 금리 3%대 회복은 금융시장의 환경 변화가 직접적인 배경이다. 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