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흥 나로우주센터에서 누리호 4차 발사 외[주간 이슈 PICK]
관련 기사 목록 8개
기사 본문
[KBS 광주] [앵커] 한 주간의 주요 이슈를 확인하는 '주간 이슈 PICK' 순서입니다. 우리나라가 개발한 발사체 누리호의 4차 발사가 오는 27일 고흥 나로우주센터에서 진행됩니다. 본격적인 김장철을 맞아 사랑나눔 김장대전도 시작됩니다. 김기중 기자의 보도입니다. [리포트] 고흥 나로우주센터에서 오는 27일 새벽 1시쯤 누리호 4호기가 첫 야간 발사에 도전합니다. 4차 발사는 3차 발사 이후 2년 6개월 만입니다. 누리호 4호기에는 중형 위성 1기와 큐브 위성 12기가 실리며 3차 발사 때보다 위성의 무게가 두 배 가까이 늘었습니다. 2025 사랑나눔 김장대전이 오는 28일부터 다음 달 14일까지 광주김치타운에서 열립니다. 김장대전에서는 광주·전남에서 생산된 배추와 고춧가루 등으로 직접 김치를 담그거나 완제품을 살 수 있습니다. 김장김치 가격은 10킬로그램 기준으로 6만6천 원에서 7만 원입니다. 전라남도가 오늘(24일) 함평군 손불면에서 3.77킬로미터 구간의 농로를 왕복 2차...
기사 본문
줄기세포 성장·단백질 항암제 바이오 신약 가능성 확인 한화에어로스페이스 주도 전남 고흥 나로우주센터에서 한국항공우주연구원 연구진이 오는 27일 누리호 4차 발사에 탑재할 차세대중형위성3호(가운데)와 아래쪽 좌우에 달린 큐브위성 12기를 점검하고 있다. 한국항공우주연구원 제공 한국형발사체 누리호의 네 번째 발사가 오는 27일로 다가왔다. 주탑재위성인 차세대중형위성3호와 부탑재위성인 큐브위성 12기를 싣고 우주로 향한다. 이번 누리호 발사에서 한국은 우주 의료·바이오 기술 연구를 처음 시도한다. 줄기세포 성장과 단백질 기반 항암제 개발 가능성을 확인하는 위성 탑재체가 누리호에 실린다. 이번 4차 발사부터 2027년 6차 발사까지 한화에어로스페이스가 ‘체계종합 기업’으로 참여한다. 누리호 제작에 참여한 300여 개 기업을 관리하는 역할이다. 발사 지휘와 관제, 통제는 여전히 나로호·누리호 개발과 1~3차 발사의 주역인 한국항공우주연구원이 맡는다. 단별 조립 역시 1~3차와 마찬가지로 한...
기사 본문
조립 완료→발사→위성 분리까지 전 과정 공개 고도 600㎞ ±35㎞·승교점 시각 충족 여부가 핵심 누리호 4차 발사 초읽기 (서울=연합뉴스) 고흥 나로우주센터 조립동에서 지난 19일 연구진들이 누리호 4차 발사 총조립을 수행하고 있다. 누리호는 오는 27일 네 번째 발사를 앞두고 있다. 2025.11.20 [한국항공우주연구원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photo@yna.co.kr (서울=연합뉴스) 조승한 기자 = 누리호 4차 발사가 사흘 앞으로 다가왔다. 나로우주센터에서 24일 조립을 끝내는 누리호가 앞으로 어떤 과정을 거쳐 우주에 위성을 올리는지, 발사 성공 기준은 무엇인지 등을 놓고 관심이 쏠린다. 25일 발사대로 이송…기립 후 점검 거쳐 27일 새벽 발사 한국항공우주연구원에 따르면 총조립이 완료된 누리호는 발사 사흘 전인 24일 발사대 이동차량인 무인특수이동차량(트랜스포터)에 오르는 작업에 들어간다. 발사 이틀 전인 25일 오전에는 조립동에서 트랜스포터로 제2발사대로 이송하...
기사 본문
발사 이틀 전인 내일 이송 시작 무진동 차량으로 시속 1.5㎞ 이동 날씨가 관건…당일 기상 촉각 발사 뒤 234초에 ‘페어링’ 분리 제대로 안 되면 궤도 투입 어려워 3단에 걸친 ‘단 분리’도 중요해 발사 807초 뒤 지구 궤도 올라 큐브위성 차례로 밀어내는 과정 예기치 못한 일 예의주시해야 지난 19일 전남 고흥 나로우주센터 조립동에서 한국항공우주연구원 연구진 등이 누리호 1~3단을 완전히 이어 붙이는 작업을 실시하고 있다. 우주항공청 제공 한국이 독자 개발한 발사체 누리호의 4번째 우주행이 마침내 오는 27일 실시된다. 한국항공우주연구원(항우연) 등 연구진은 1~3단으로 나뉜 누리호 기체를 일렬로 이어 붙이는 전체 조립 작업을 지난주 전남 고흥 나로우주센터에서 마쳤다. 세 조각으로 나뉘어 있던 누리호가 길이 47m, 즉 아파트 16층 높이와 맞먹는 거대한 덩치의 ‘완전체’가 된 것이다. 각종 부품과 위성 탑재 역시 끝난 만큼 누리호는 지구 중력을 뿌리치고 우주로 날아오를 ‘결전의...
기사 본문
오늘 이송 차량 실려 발사대 이동 기립·연료 충전·최종 점검 이뤄져 바람·번개 등 기상 상황 변수될 듯 고흥 나로우주센터 조립동에서 지난 19일 연구진들이 누리호 4차 발사 총조립을 수행하고 있다. 한국항공우주연구원 제공 ‘뉴스페이스’ 시대의 서막을 열 누리호의 네 번째 비행이 막바지 준비에 들어갔다. 본체 1~3단을 결합하는 총조립 작업이 완료됐고, 발사 예정 시점을 이틀 앞둔 25일부터는 발사체 이송과 기립, 연료 충전, 최종 점검이 순차적으로 이뤄진다. 발사 시각은 27일 0시55분 전후가 유력하지만 비, 바람, 번개 등 기상상황이 변수로 작용할 수 있다. 모든 조건이 충족돼 우주길이 열리면 13개 위성을 품은 누리호의 임무가 본격적으로 시작된다. 우주항공청과 한국항공우주연구원에 따르면 누리호는 25일 오전 무인특수이동차량(트랜스포터)에 실려 조립동에서 1.8㎞ 떨어진 발사대로 이동한다. 수평으로 누운 발사체가 세워지면 ‘탯줄’ 역할을 하는 엄빌리컬 타워와 연결해 연료와 산화제...
기사 본문
한화 주도 첫 제작…강화된 점검도 정상 수행 중형위성 3호 포함 13기 탑재·페어링 마무리 조립 완료→발사→위성 분리까지 전 과정 공개 별다른 문제 없다면 27일 밤 12시 55분께 발사 고흥 나로우주센터에서 누리호 3단 페어링 작업을 진행하는 모습. 한국항공우주연구원 제공 한국형발사체 누리호가 24일 총조립을 완료하고 사흘 앞으로 다가온 4차 발사 준비를 사실상 마친 것으로 알려졌다. 24일 우주항공청과 한국항공우주연구원(항우연)에 따르면 누리호는 이날 발사대 이동 전 최종 점검을 마치고 언제든 발사가 가능한 상태를 갖추게 됐다. 전날까지 진행된 총조립 과정은 별다른 문제 없이 순조로웠던 것으로 전해졌다. 이번 누리호 조립은 항우연이 제작을 주관했던 1·2·3차 발사와 달리 한화에어로스페이스가 처음 제작을 총괄 주관했다. 이와 관련, 박종찬 항우연 한국형발사체고도화사업단장은 첫 민간 주도 제작의 우려를 해소하기 위한 점검 작업이 앞선 발사보다 많았다고 밝히기도 했다. 연구진과 작업...
기사 본문
한화 주도 첫 민간제작, 강화된 점검도 정상 수행 중형위성 3호 포함 13기 탑재·페어링 마무리 ▲ 고흥 나로우주센터 조립동에서 지난 19일 연구진들이 누리호 4차 발사 총조립을 수행하고 있다. 누리호는 오는 27일 네 번째 발사를 앞두고 있다. 한국항공우주연구원 제공 한국형발사체 누리호가 24일 총조립을 마치고 4차 발사를 위한 준비를 사실상 완료한다. 발사까지는 사흘이 남았으며, 누리호는 언제든 발사체 이동 절차에 돌입할 수 있는 상태가 됐다. 우주항공청과 한국항공우주연구원(항우연)은 이날 "발사대 이송 전 최종 점검을 마쳐 기체가 발사 준비 단계에 진입했다"고 밝혔다. 우주항공청에 따르면 전날까지 이어진 총조립 과정은 별다른 문제 없이 순조롭게 진행됐다. 이번 4차 발사는 이전 발사에서 제작 총괄을 맡았던 항우연 대신, 한화에어로스페이스가 처음으로 제작을 총괄 주관했다. 이 때문에 제작 단계에서 점검 항목이 늘었고, 박종찬 항우연 한국형발사체고도화사업단장은 "첫 민간 주도 제...
기사 본문
오전 1시 첫 심야발사…위성 고도 600㎞ 안착이 최종 성공 기준 우주 자기장·오로라 관측 등 과학 임무 수행 지난 19일 전라남도 고흥 나로우주센터 조립동에서 연구진들이 누리호 4차 발사 총조립을 수행하고 있다. (한국항공우주연구원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2025.11.20/뉴스1 (서울=뉴스1) 윤주영 기자 = 27일 첫 심야발사를 앞둔 누리호 4호기가 24일 최종 점검을 마치고 25일 발사대에 장착된다. 탑재 중량은 3차 대비 2배 수준인 1톤에 육박한다. 총 13기의 위성을 목표 궤도에서 순차 사출시켜야 한다. 누리호는 과거에도 여러 기술적 이슈로 임무에 실패하거나 연기된 전적이 있다. 기술적 변화를 감안하면 이번 발사는 더 도전적이다. 제작을 총괄한 한화에어로스페이스(012450)가 한국항공우주연구원으로부터 제대로 기술을 전수받았는지도 관건이다. 이날 항우연에 따르면 오늘 최종점검을 마친 누리호는 25일 발사대로 이송·장착된다. 발사 전날인 26일부터는 연료·전기 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