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뷰티, 이번엔 남미다" 4년간 수출 규모 4배 성장..점유율↑
관련 기사 목록 4개
기사 본문
무협 '남미 뷰티 수입시장 분석 및 현지 진출 확대 방안' 보고서 對남미 뷰티 수출 2020년 1530만불→2024년 7020만불 점유율도 0.7%→1.6%로 확대 "친환경 화장품·숏폼 마케팅·이색 원료 향수 등 맞춤형 전략 필요" [파이낸셜뉴스] 미국과 아세안을 중심으로 이어지는 우리나라 화장품 수출 성장세가 남미 시장에서도 부각되고 있어 K-뷰티에 대한 주목도가 높아지고 있다는 평가다. 남미로의 우리나라 화장품과 향수 등 뷰티 수출 규모가 최근 4년간 4배 이상 증가하는 등 남미 현지에서의 K-뷰티 수요가 꾸준히 늘어나고 있다는 분석이다. 한국무역협회 국제무역통상연구원이 24일 발표한 '남미 뷰티 수입시장 분석 및 현지 진출 확대 방안' 보고서에 따르면, 2024년 남미의 뷰티 수입은 41.3억 달러로 2021년 이후 연평균 4.7%의 꾸준한 증가세를 보이고 있다. 품목별로는 화장품이 전체 수입의 34.9%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했고, 향수(23.1%), 헤어케어 제품(19.4%...
기사 본문
작년 브라질-칠레 등 1034억원 규모 시장 점유율 0.7%서 1.6%로 늘어 서울의 한 백화점에서 시민이 화장품을 고르고 있는 모습(자료사진). 2023.4.16 뉴스1 ‘케이팝 데몬 헌터스’ 등 한류 콘텐츠 열풍에 힘입어 화장품, 향수 등 ‘K뷰티’ 상품의 남미 지역 수출이 최근 4년 새 4배 이상 늘어난 것으로 집계됐다. 한국무역협회 국제무역통상연구원이 24일 발간한 ‘남미 뷰티 수입시장 분석 및 현지 진출 확대 방안’ 보고서에 따르면 지난해 남미 지역에 수출된 한국 뷰티 관련 상품은 7020만 달러(약 1034억2000만 원) 규모로 4년 전인 2020년 1530만 달러(약 225억4000만 원) 대비 4.6배로 불어났다. 국가별로는 브라질이 전체의 45%인 총 3156만 달러어치를 수입했다. 이어 칠레(1628만 달러), 콜롬비아(662만 달러), 페루(561만 달러), 아르헨티나(288만 달러) 순으로 비중이 높았다. 가장 인기가 많은 제품은 화장품이었다. 2020년 화장...
기사 본문
[서울경제] K뷰티의 수출액이 사상 최대 기록을 경신하며 글로벌 위상이 높아진 가운데 중국 화장품 ‘C뷰티’가 빠르게 성장하면서 맹추격을 하고 있다. 반도체, 전기·전자, 선박 등 국내 수출 주력 업종의 경쟁력이 조만간 중국에 뒤처질 것으로 전망되는 상황에서 소비재인 K뷰티의 아성까지 위협받는 것 아니냐는 우려가 나온다. 23일 한국무역협회에 따르면 올 1~9월 중국의 화장품 수출액은 약 54억 268만 달러로, 전년 동기(49억 5056만 달러) 대비 9.13% 증가했다. C뷰티의 수출 국가도 2022년 200개국에서 올 들어 215개국으로 늘어났다. 반면 국내 화장품의 대중 수출액은 감소하는 추세다. 올 10월까지 한국의 대중 화장품 수출액은 17억 2520만 달러로, 전년 동기(21억 2211만 달러) 대비 18.7% 감소했다. 지난해 연간 대중 화장품 수출액이 전년 대비 10.3% 줄어든 것에 비해 감소율이 2배 가까이 되는 것이다. 이 영향으로 지난해 K뷰티 수출국 1위였던...
기사 본문
무역협회 보고서…"남미 뷰티시장, 연평균 4.7% 꾸준한 성장" 서울 명동의 화장품 매장에서 쇼핑하는 외국인 [연합뉴스 자료사진] (서울=연합뉴스) 김동규 기자 = 미국과 아세안을 중심으로 한국 화장품의 수출 성장세가 두드러지는 가운데 'K-뷰티' 신시장으로 부상 중인 남미에 주목해야 한다는 주장이 나왔다. 한국무역협회 국제무역통상연구원이 24일 펴낸 '남미 뷰티 수입시장 분석 및 현지 진출 확대 방안' 보고서에 따르면 지난해 남미의 뷰티 수입은 41억3천만달러로, 2021년 이후 연평균 4.7% 가량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 품목별로는 화장품이 전체의 34.9%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했고, 향수(23.1%), 헤어케어 제품(19.4%) 등이 뒤를 이었다. 한국의 뷰티 제품 남미 수출액은 2020년 1천530만달러에서 지난해 7천20만 달러로 최근 4년 사이 4배 이상 증가했다. 이에 따라 남미 뷰티 수입 시장에서 한국의 순위 역시 17위에서 13위로 상승했고, 수입시장 점유율도 같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