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상 최대 수출 K김치, 중국산 수입 더 늘어 4년째 무역적자

2025년 11월 25일 수집된 기사: 4개 전체 기사: 35개
수집 시간: 2025-11-25 03:26:29
네이버에서 보기

관련 기사 목록 4개

동아일보 2025-11-25 03:02:43 oid: 020, aid: 0003676776
기사 본문

10월까지 수출 1950억, 수입 2260억 수출액 2.0% 늘때 수입액 3.1% 늘어 이상기후에 작황 부진 ‘金배추’ 외식업체들 국산김치 엄두 못내 서울 강동구에서 고깃집을 운영하는 김모 씨(36)는 반찬으로 사용하던 국내산 김치를 중국산 김치로 바꾸는 것을 심각하게 고려하고 있다. 올해 내수경기 침체로 가게 매출이 지난해에 비해 20% 넘게 빠지면서 허리띠를 졸라맬 수밖에 없는 상황이 됐기 때문이다. 김 씨는 “하루에 가게에서 소비하는 김치만 20kg에 달하는데 이것만 해도 한 달에 약 300만 원의 비용이 들어간다”며 “연일 매출이 줄어드는 상황에서 김치 비용 부담이 만만치 않은 탓에 가격이 훨씬 저렴한 중국산 김치로 바꾸는 것을 고민 중”이라고 말했다. 한식에 대한 세계적인 인기가 높아지며 올해 김치 수출액이 역대 최대를 기록할 것으로 전망된다. 하지만 누적된 고물가를 버티지 못해 중국산 김치를 사용하는 외식업체가 늘면서 김치 무역수지는 4년째 적자가 이어질 것으로 예상된다....

전체 기사 읽기

오마이뉴스 2025-11-24 10:53:12 oid: 047, aid: 0002495991
기사 본문

겨울과 함께 찾아온 우리집 김장 풍경 "주말에 별일 없지? 그날 김장하기로 했어." 감 수확이 끝나고 한숨 돌리면 기다렸다는 듯 김장 날짜가 잡힌다. 김치 담그는 날은 빼놓을 수 없는 연례 행사이자 한 해의 진정한 피날레를 장식하는 날이기도 하다. 지난 16일. 올해도 어김없이 김장날은 돌아왔다. 날짜가 잡히면 그날 하루는 약속을 잡지 않는다. 온 가족이 총출동해서 김치 대장정을 마무리해야 하기 때문이다. 어머님은 김장 1주일 전부터 미리 대용량의 양념장을 준비하신다. 재료 다듬기부터 시작해 황금 비율 양념장 제조에 이르기까지 분주한 날은 계속된다. 김장철 막이 오르면 일찍 김장을 끝낸 집은 여유롭게 겨울을 시작하고 일부 공공기관에선 김장김치 나눔 행사로 차가운 계절에 온기를 더하기도 한다. 김장이 시작되면 비로소 겨울 한복판에 서 있음을 온몸으로 체감한다. 시댁의 배추김치는 배추농사부터 시작해 모든 과정을 손으로 완성한다. 통통하게 살이 오른 배추를 수확하는 일부터 배추를 소금에 ...

전체 기사 읽기

연합뉴스 2025-11-24 06:01:01 oid: 001, aid: 0015758070
기사 본문

10월까지 김치 수출액 1억3천739만달러…2% 늘어 고물가에 수입액 3% 증가…무역적자 2천200만달러 정부 "김치, 미래 수출형 전략산업으로…세계서 확고한 브랜드로" 마트에 진열된 수입산 김치 [연합뉴스 자료사진] (서울=연합뉴스) 김윤구 기자 = 올해 김치 수출액이 역대 최대를 기록할 것으로 전망된다. 다만 동시에 김치 수입액도 1년 만에 최대치를 경신해 무역 적자가 더 커질 수 있다. 24일 관세청 수출입무역통계에 따르면 올해 김치 누적 수출 금액은 전달 기준으로 1억3천739만달러(약 1천950억원)로 작년 동기(1억3천467만달러) 대비 2% 늘었다. 김치 수입액은 1억5천946만달러(약 2천260억원)로 작년 동기(1억5천459만달러) 대비 3.1% 증가했다. 김치는 수출과 수입액이 동반 증가하면서 무역수지가 2천207만달러 적자다. 이는 지난해 같은 기간(2천1만달러)보다 10.3% 확대된 수치다. 김치 수출액은 지난해 1억6천357만달러로 역대 최고를 기록했다. 이는...

전체 기사 읽기

세계일보 2025-11-24 07:37:09 oid: 022, aid: 0004084850
기사 본문

2025년 김치수출입 역대 최대 김치 수입 증가로 2207만달러 적자 중국산 김치가 국내 산업 위협 지적 '금배추' 영향으로 수입산 사용 증가 올해 김치 수출액이 역대 최대를 기록할 것으로 전망된다. 동시에 김치 수입액도 1년 만에 최대치를 경신해 무역 적자가 더 커질 수 있다. 수입 김치는 100% 중국산이다. 24일 관세청 수출입무역통계에 따르면 올해 김치 누적 수출 금액은 전달 기준으로 1억3739만달러(약 1950억원)로 작년 동기(1억3467만달러) 대비 2% 늘었다. 해당 사진은 기사 특정 내용과 무관. 연합뉴스 김치 수입액은 1억5946만달러(약 2260억원)로 작년 동기(1억5459만달러) 대비 3.1% 증가했다. 김치는 수출과 수입액이 동반 증가하면서 무역수지가 2207만달러 적자다. 이는 지난해 같은 기간(2001만달러)보다 10.3% 확대된 수치다. 김치 수출액은 지난해 1억6357만달러로 역대 최고를 기록했다. 이는 지난 2017년(8139만달러)의 두 배에 이...

전체 기사 읽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