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30대 무주택 가구 역대 최대···높아진 ‘내 집 마련’ 문턱
관련 기사 목록 12개
기사 본문
서울 시내 아파트 단지. 조태형 기자 지난해 서울에 거주하는 30대 무주택 가구 수가 관련 통계 작성 이후 가장 많았던 것으로 나타났다. 30대 가구주 4명 중 1명만이 집을 소유해 주택 소유율도 역대 최저 수준으로 떨어졌다. 결혼이 늦춰지고 서울 집값 급등과 주택 공급 부족 등이 겹치면서 첫 내 집 마련이 한층 어려워진 것으로 풀이된다. 반면 올해 서울에서 집을 가장 적극적으로 매수한 연령대도 30대로 집계됐다. 24일 국가데이터처(옛 통계청) 주택소유통계와 국가통계포털을 보면 지난해 서울에 거주하는 30대(가구주 기준) 무주택 가구는 52만7729가구로 집계됐다. 2023년보다 1만7215가구 증가하며 관련 통계가 작성된 2015년 이후 최대치를 기록했다. 같은 기간 서울의 30대 집주인 수는 3년째 감소세를 이어가고 있다. 지난해 30대 주택 소유 가구는 18만3456가구로, 전년보다 7893가구 줄어 역대 가장 적은 수준이다. 30대 무주택 가구는 30대 주택 소유 가구의 2...
기사 본문
도내 30대 무주택 가구 4만5,179 가구 2020년부터 증가세 이어와 30대 집주인은 전체 연령대 중 10%도 못미쳐 전문가들 "규제 강화와 더불어 합리적 가격 접근 가능한 공급정책 필요" 강원지역 30대 무주택 가구가 5년 연속으로 증가했다. 여기에 30대 주택 소유자는 역대 두 번째로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국가데이터처에 따르면 지난해 강원지역에 거주하는 30대(가구주 기준) 무주택 가구는 전년대비 0.2% 늘어난 4만5,179 가구였다. 도내 30~39세 무주택가구는 2020년부터 증가세를 이어오고 있다. 반면 서울의 30대 집주인은 전체 연령대 중 10% 미만에 그치며 저조한 값을 보였다. 같은 기간 30대 주택 소유가구는 3만311가구로 2023년(3만98명) 다음으로 가장 적은 값을 기록했다. 이는 전체 7.2%에 해당하는 값으로 30대 가구주 중 집주인은 10명 중 1명도 채 안된다는 의미다. 이와 같은 원인은 혼인이 늦어지고 1인가구가 늘어나는 가운데 과거보다 집값...
기사 본문
주택 소유가구는 '20만' 밑으로…주택 소유율 25.8%, 역대 최저 청년 1인 가구 10명 중 8명은 "내 집 마련 필요" 서울 30대 무주택 가구 역대 최대 (서울=연합뉴스) 김주형 기자 = 지난해 서울에 사는 30대 무주택 가구가 관련 통계 작성 이래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난 24일 서울 남산에서 바라본 아파트 밀집 지역이 안개로 뿌옇게 보인다. 2025.11.24 kjhpress@yna.co.kr (세종=연합뉴스) 송정은 기자 = 지난해 서울에 사는 30대 무주택 가구가 관련 통계 작성 이래 가장 많았다. 동시에 30대 가구주 4명 중 집주인은 1명 뿐으로, 주택 소유율이 역대 최저였다. 혼인이 늦어지고 1인가구가 늘어나는 가운데 서울 집값 급등, 공급 부족, 강화된 대출 규제로 사회 초년생의 생애 첫 내 집 마련이 어려웠기 때문으로 보인다. 24일 국가데이터처(옛 통계청) 주택소유통계와 국가통계포털에 따르면 지난해 서울에 거주하는 30대(가구주 기준) 무주택 가구는 52만7...
기사 본문
주택 소유가구는 '20만' 밑으로…주택 소유율 25.8%, 역대 최저 사진=연합뉴스 지난해 서울에 거주하는 30대 무주택 가구 수가 관련 통계 작성 이후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동시에 30대 가구주 4명 중 1명만이 집을 소유한 것으로 집계돼, 주택 소유율도 역대 최저 수준을 기록했습니다. 이 같은 변화는 혼인 시기 지연과 1인 가구 증가 속에서 서울 집값 급등, 공급 부족, 강화된 대출 규제 등이 겹치며 사회초년생의 첫 자가 마련이 더욱 어려워졌기 때문으로 분석됩니다. 오늘(24일) 국가데이터처(옛 통계청)의 주택소유통계와 국가통계포털 자료에 따르면 지난해 서울에 거주하는 30대 가구주 무주택 가구는 52만7천729가구로 집계됐습니다. 이는 전년보다 1만7천215가구 늘어난 수치로, 2015년 관련 통계가 작성된 이후 최대치입니다. 서울 30대 무주택 가구 수는 2015년 47만5천606가구에서 2018년 45만6천461가구까지 감소했다가 2019년부터 다시 증가하기 시작...
기사 본문
한국부동산원에 따르면 10월 서울 집값 상승률이 1.19%로 7년 1개월 만에 최고치를 기록했다. 사진은 17일 서울 도심 아파트 모습. 2025.11.17 문재원 기자 지난해 서울에 거주하는 30대 무주택 가구 수가 관련 통계 작성 이후 가장 많았던 것으로 나타났다. 30대 가구주 4명 중 1명만이 집을 소유해 주택 소유율도 역대 최저 수준으로 떨어졌다. 혼인 시기 지연과 1인 가구 증가에 더해 서울 집값 급등과 주택 공급 부족 등이 겹치면서 첫 내 집 마련이 한층 어려워진 것으로 풀이된다. 24일 국가데이터처(옛 통계청) 주택소유통계와 국가통계포털을 보면 지난해 서울에 거주하는 30대(가구주 기준) 무주택 가구는 52만7729가구로 집계됐다. 전년보다 1만7215가구 증가하며 관련 통계가 작성된 2015년 이후 최대치를 기록했다. 같은 기간 서울의 30대 집주인 수는 3년째 감소세를 이어가고 있다. 지난해 30대 주택 소유 가구는 18만3456가구로, 전년보다 7893가구 줄어 ...
기사 본문
4명 중 1명 소유… 전국比 10%p 낮아 한 남성이 24일 서울 남산에서 아파트 단지를 촬영하고 있다. 이날 국가데이터처에 따르면 지난해 서울 30대 무주택 가구(가구주 기준)는 전년 대비 1만7215가구(3.4%) 증가한 52만7729가구로 집계돼 관련 통계가 작성된 2015년 이후 최대를 기록했다. 이한형 기자 지난해 서울에 거주하는 30대 무주택 가구가 약 53만 가구로 집계되며 2015년 관련 통계 작성 이후 가장 높은 수준을 기록했다. 반면 서울에 집을 보유한 30대 가구는 4명 중 1명 수준에 그쳤다. 이에 무주택 가구와 주택소유 가구 간 규모 차이가 3배 가까이 벌어지며 격차가 최대치를 기록했다. 24일 국가데이터처 주택소유통계와 국가통계포털에 따르면 지난해 서울에 거주하는 30대(가구주 기준) 무주택 가구는 52만7729가구로 지난해보다 1만7215가구 늘었다. 이 수치는 2015~2018년까지 줄어들다가 문재인정부 시절인 2019년 반등한 뒤 증가 폭이 확대됐다. ...
기사 본문
주택 소유율 25.8%로 통계 작성 이래 최저 집값 급등·대출 규제에 청년 내 집 마련 '막막' ▲ 서울 시내의 부동산에 붙은 매매 안내문. 연합뉴스 자료사진 지난해 서울에 사는 30대 무주택 가구가 통계 작성 이래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30대 가구주 4명 가운데 집을 가진 이는 1명뿐일 정도로 주택 소유율은 역대 최저를 기록했다. 혼인과 취업 시기가 늦어지고 1인가구가 늘어나는 가운데 서울 집값 급등, 공급 부족, 강화된 대출 규제 등이 겹치면서 사회 초년생의 생애 첫 내 집 마련 문턱이 크게 높아진 영향으로 풀이된다. 24일 국가데이터처(옛 통계청) 주택소유통계와 국가통계포털에 따르면 지난해 서울에 거주하는 30대(가구주 기준) 무주택 가구는 52만7729가구로 집계됐다. 전년보다 1만7215가구 늘어난 것으로, 관련 통계가 작성되기 시작한 2015년 이후 최대치다. 서울 30대 무주택 가구는 2015년 47만5606가구에서 2018년 45만6461가구까지 줄었다가 이듬해...
기사 본문
지난해 서울에 사는 30대 무주택 가구가 관련 통계 작성 이래 가장 많았습니다. 동시에 30대 가구주 4명 중 집주인은 1명뿐으로, 주택 소유율이 역대 최저였습니다. 혼인이 늦어지고 1인가구가 늘어나는 가운데 서울 집값 급등, 공급 부족, 강화된 대출 규제로 사회 초년생의 생애 첫 내 집 마련이 어려웠기 때문으로 보입니다. 오늘(24일) 국가데이터처(옛 통계청) 주택소유통계와 국가통계포털에 따르면 지난해 서울에 거주하는 30대(가구주 기준) 무주택 가구는 52만 7천729가구로 집계됐습니다. 전년보다 1만 7천215가구 증가하며 관련 통계가 작성된 2015년 이후 최대치를 기록했습니다. 서울 30대 무주택 가구는 2015년 47만 5천606가구에서 2018년 45만 6천461가구까지 줄었다가 이듬해부터 6년 연속 늘었습니다. 무주택가구 증가 폭은 2021년 3천 가구대에서 2022년 1만 5천 가구대, 2023년과 지난해 1만 7천 가구대로 커졌습니다. 특히 작년 증가 폭은 역대 가...
기사 본문
내집 마련 30대 가구주 3년째 감소 주택 소유율 25.8%로 내리막길 “취업-결혼 늦어지고 서울 집값 급등 정부 대출 규제 강화까지 겹친 탓” 지난해 서울에 사는 30대 무주택 가구가 통계 작성 이후 가장 많은 약 53만 가구로 나타났다. 서울에 내 집 마련을 성공한 30대 가구주는 약 18만 명으로 3년째 감소하고 있다. 생애 첫 취업과 혼인이 갈수록 늦어지는 상황에서 서울 집값 급등으로 30대의 서울 집 마련이 갈수록 어려워지는 것으로 풀이된다. 24일 국가통계포털(KOSIS)에 따르면 지난해 서울에 거주하는 30대(가구주 기준) 무주택 가구는 52만7729가구로 집계됐다. 전년(51만514가구) 대비 1만7215가구 증가한 수치로, 관련 통계 작성이 시작된 2015년 이후 최대다. 서울 거주 30대 무주택 가구는 2018년(45만6461가구) 이후 6년 연속 늘고 있다. 서울에 사는 40대와 50대 무주택 가구 수가 2015년 각각 41만837가구, 36만5961가구에서 지난...
기사 본문
서울 30대 무주택, 작년 53만가구…역대 제일 많았다 [연합뉴스 자료사진] 지난해 서울에 사는 30대 무주택 가구가 관련 통계 작성 이래 가장 많았습니다. 동시에 30대 가구주 4명 중 집주인은 1명 뿐으로, 주택 소유율이 역대 최저였습니다. 혼인이 늦어지고 1인가구가 늘어나는 가운데 서울 집값 급등, 공급 부족, 강화된 대출 규제로 사회 초년생의 생애 첫 내 집 마련이 어려웠기 때문으로 보입니다. 오늘(24일) 국가데이터처(옛 통계청) 주택소유통계와 국가통계포털에 따르면 지난해 서울에 거주하는 30대(가구주 기준) 무주택 가구는 52만7729가구로 집계됐습니다. 재작년보다 1만7215가구 증가하며 관련 통계가 작성된 2015년 이후 최대치를 기록했습니다. 서울 30대 무주택 가구는 2015년 47만5606가구에서 2018년 45만6461가구까지 줄었다가 이듬해부터 6년 연속 늘었습니다. 무주택가구 증가 폭은 2021년 3천가구대에서 2022년 1만5천가구대, 2023년과 지난해 ...
기사 본문
뉴스1 [서울경제] 지난해 서울에 사는 30대 무주택 가구가 관련 통계 작성 이래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30대 4명 중 1명만 집을 가진 것으로 나타나 주택 소유율도 역대 최저치를 찍었다. 혼인과 취업 시기가 늦어지고 1인가구가 늘어나는 사회 흐름 속에서 집값 급등·공급 부족·대출 규제 강화가 겹치며 사회 초년생의 첫 내 집 마련이 더 어려워졌다는 분석이 나온다. 24일 국가데이터처(옛 통계청) 주택소유통계와 국가통계포털에 따르면 지난해 서울에 거주하는 30대 무주택 가구는 52만7729가구로 집계됐다. 전년 대비 1만7215가구가 늘어난 수치로, 2015년 통계 작성 이후 최대 규모다. 서울의 30대 무주택 가구는 2015년 47만5606가구에서 2018년 45만6461가구까지 감소했다가 2019년부터 6년 연속 증가했다. 증가 폭도 갈수록 커져 2021년 3000가구대에서 2022년 1만5000대, 2023년·2024년에는 1만7000대로 뛰었다. 특히 지난해 증가 폭은 ...
기사 본문
“가격 치솟지, 대출 잠기지”… 공급 막힌 서울 청년 한 세대, 통째로 시장 밖으로 밀려났다 서울 30대의 주거 현실은 더는 경고 단계가 아니었습니다. 집을 못 사는 게 아니라, 아예 들어갈 수 없는 시장으로 굳어진 상황입니다. 지난해 서울 30대 무주택 가구는 52만 7,729가구. 2015년 통계 작성 이후 가장 많았습니다. 같은 해 집을 가진 30대는 18만 3,456가구로, 오히려 통계 이래 가장 적었습니다. 무주택은 6년 연속 늘고, 소유는 3년 연속 줄어 격차는 3배 가까이 벌어졌습니다. 이는 어느 해나 반복되는 시장 변동이 아니라, 서울의 주거 구조가 청년을 밀어내는 방향으로 재편됐다는 신호입니다. 서울 30대는 집을 ‘안 산 것’이 아니라 살 수 있는 조건 자체가 사라졌습니다. ■ 무주택 52만 7,000가구… 숫자보다 무서운 건 ‘증가 속도’ 24일 국가데이터처 주택소유통계에 따르면, 지난해 서울 30대 무주택 가구는 전년보다 1만 7,215가구 증가했습니다. 2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