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주거용 오피스텔 인기…한 달 만에 낙찰률 10%P 올라
관련 기사 목록 8개
기사 본문
경매 인사이트 '10·15 안정화 대책' 영향 주거용 오피스텔 반사이익 LTV 70%까지 대출 가능 경매시장에서 서울 주거용 오피스텔 낙찰이 늘고 있다. ‘10·15 주택시장 안정화 대책’ 이후 나타난 현상이다. 아파트 대신 규제가 덜한 오피스텔로 주거 수요가 일부 이동할 것이란 기대가 반영되고 있다는 설명이다. 23일 경·공매 정보업체 지지옥션에 따르면 지난달 서울 주거용 오피스텔 529실이 경매에 나와 171실이 새 주인을 찾았다. 낙찰률(경매 진행 건수 대비 낙찰 건수 비율)은 32.3%로 9월(21.5%)보다 10.8%포인트 올랐다. 지난해 6월(32.3%) 이후 1년여 만의 최고치다. 이주현 지지옥션 전문위원은 “규제 강화로 반사이익이 기대되는 오피스텔에 관심이 커지고 있다”고 말했다. 주거용 오피스텔은 준주택으로 분류된다. 주택을 대상으로 한 이번 규제에서 제외돼 담보인정비율(LTV) 70%까지 대출받을 수 있다. 갭투자(전세 끼고 매매)를 막는 실거주 의무도 없다. 2년...
기사 본문
10.15 규제 수혜…서울 오피스텔 매매가 역대 최고 찍었다 11월 오피스텔 1.23%↑, 2년 7개월래 최고 상승 "아파트 대체재 성격의 대형 오피스텔 가격 상승" 10.15 규제 전후로 오피스텔 거래 72% 급증 [이데일리 최정희 기자] 이재명 정부 들어 6.27 규제와 10.15 규제를 모두 피해갔던 서울 오피스텔의 매매 가격이 역대 최고치를 찍었다. 특히 방 2개 이상으로 아파트를 대체할 만한 대형 평형의 오피스텔을 중심으로 매매 가격이 오르고 있다. 10.15 규제 전후로 서울 오피스텔 매매 건수도 70% 이상 급증했다. 서울 시내의 한 부동산 앞에 오피스텔 가격 안내문이 붙어 있다.(사진=뉴시스) 출처: KB부동산 대형 오피스텔 6% 올라, 2022년 9월 이후 최고 상승 24일 KB부동산에 따르면 서울 오피스텔 평균 매매가격은 11월 3억 598만원을 기록해 역대 최고가를 기록했다. 2022년 10월 종전 최고가 3억 553만원을 넘어섰다. 11월 서울 오피스텔 매매가격...
기사 본문
자료=KB부동산 10·15 주택시장 안정화 대책 이후 서울 전역이 규제지역, 토지거래허가구역 지정으로 아파트를 대상으로 한 규제가 강화된 가운데 상대적으로 규제가 덜한 오피스텔로 아파트 수요가 유입되는 분위기다. 서울 대형 면적 오피스텔을 중심으로 가격 강세가 이어지고 있다. 23일 KB국민은행 KB부동산이 발표한 11월(조사기준 10월 13일) KB오피스텔 통계에 따르면 전국 오피스텔 매매가격은 0.04% 상승했다. 전월(-0.03%) 대비 소폭 반등하면서 하락 5개월 만에 상승 전환했다. 서울 오피스텔 매매가격 변동률은 0.38%로 전월보다 오름폭이 확대됐다('25년 5월 0.05%→6월 0.11%→7월 0.11%→8월 0.16%→9월 0.13%→10월 0.09%→11월 0.38%). 세부 권역별로 살펴보면 서남권(0.69%), 동남권(0.30%), 서북권(0.14%), 동북권(0.11%), 도심권(0.01%) 순으로 상승률이 높았다. 서남권은 영등포구 여의도동 일대 주상복합 단...
기사 본문
KB부동산 오피스텔 통계 10·15 여파 '대형' 강세 전월 대비 1.03% 올라 이달 서울 오피스텔 매매가격이 KB부동산 기준으로 전월 대비 상승 폭을 키운 것으로 나타났다. 정부의 고강도 규제인 10·15 대책 이후 갈 곳 잃은 매수세가 오피스텔로 몰리는 이른바 '풍선효과'가 심화하는 것으로 풀이된다. 23일 KB부동산이 발표한 11월 오피스텔 통계(지난 10일 기준)에 따르면 서울 오피스텔 매매가격은 전월 대비 0.38% 올랐다. 지난 10월 상승률이 0.09%에 그쳤던 것과 비교하면 오름폭이 4배 이상 커진 셈이다. 이로써 서울 오피스텔 가격은 올해 2월부터 10개월 연속 상승세를 이어가게 됐다. 대형 오피스텔 1.03% 급등…아파트 수요 유입 서울 강남구 도곡동 타워팰리스. 연합뉴스 이번 상승세의 특징은 '아파트를 대체할 수 있는' 대형 평형이 주도했다는 점이다. 면적별 상승률을 보면 대형 오피스텔이 1.03% 급등하며 가장 높은 오름세를 보였다. 중대형이 0.43%, 초소...
기사 본문
10·15대책 영향에 대형 강세 뚜렷 규제 덜한 오피스텔로 수요 이동 서울 여의도 63빌딩에서 바라본 강남북 집합건물(아파트·다세대·연립·오피스텔) 모습. 사진=연합뉴스 이달 서울 오피스텔 매매가격이 KB부동산 기준으로 오름폭을 확대했다. 23일 KB부동산이 발표한 11월 오피스텔 통계(11월10일 기준)에 따르면 서울 오피스텔 매매가격은 10월 대비 0.38% 증가했다. 상승폭은 전월(0.09%)보다 0.29%포인트 확대됐다. 서울 오피스텔 매매가격은 올 2월 이후 10개월째 상승세를 타고 있다. 권역별로는 서남권(0.69%), 동남권(0.3%), 서북권(0.14%), 동북권(0.11%), 도심권(0.01%) 순으로 상승률이 높았다. 서남권은 영등포구 여의도동 일대 주상복합 단지 내 오피스텔 매매가격이 올라 상승을 주도했다. 동남권은 강남구 도곡동 일대 타워팰리스 등 고가 오피스텔 대형 면적을 중심으로 강세를 보였다. 10·15 부동산 대책으로 서울에서 아파트를 매입할 때 강화된 ...
기사 본문
10·15대책 영향에 대형 강세 뚜렷…전월대비 1.03%↑ (서울=연합뉴스) 임기창 기자 = 11월 서울 오피스텔 매매가격이 KB부동산 기준으로 오름폭을 확대한 것으로 나타났다. 오피스텔 [연합뉴스 자료사진] 23일 KB부동산이 발표한 11월 오피스텔 통계(11월10일 기준)에 따르면 서울 오피스텔 매매가격은 10월 대비 0.38% 올랐다. 상승폭은 전월(0.09%)보다 0.29%포인트 확대됐다. 서울 오피스텔 매매가격은 올 2월 이후 10개월째 상승 중이다. 권역별로는 서남권(0.69%), 동남권(0.30%), 서북권(0.14%), 동북권(0.11%), 도심권(0.01%) 순으로 상승률이 높았다. 서남권은 영등포구 여의도동 일대 주상복합 단지 내 오피스텔 매매가격이 올라 상승을 주도했고, 동남권은 강남구 도곡동 일대 타워팰리스 등 고가 오피스텔 대형 면적을 중심으로 강세를 보였다. 면적별로는 대형이 1.03%로 가장 높은 상승률을 보였고 이어 중형(0.56%), 중대형(0.43%)...
기사 본문
전용면적 85㎡ 초과 매매가격 10월, 전월대비 0.44% 올라 중소형 면적 상승률과 격차 뚜렷 대출규제·주택 수 산정 제외 등에 아파트 대신 실거주 차선책으로 [서울경제] 10·15 부동산 대책으로 서울에서 아파트를 매입할 때 강화된 대출규제 등이 적용되는 가운데 규제 대상이 아닌 오피스텔 대형 면적 가격이 지난달 크게 상승했다. 23일 한국부동산원 통계에 따르면 지난달 서울의 전용면적 85㎡ 초과 오피스텔 매매가격지수는 전월 대비 0.44% 상승했다. 부동산원이 표본을 확대하고 재설계한 지난해 1월 이후 최고 상승률이다. 같은 달 △40㎡ 이하가 0.06% △40㎡ 초과~60㎡ 이하가 0.09% △60㎡ 초과~85㎡ 이하는 0.20% 상승한 것과 비교하면 대형 면적 상승률은 두드러진다. 85㎡ 초과 면적 매매가격은 올 3월 -0.05%에서 4월 0.06%로 상승 전환한 뒤 계속 오름세를 이어갔다. 상승 폭은 8월 0.41%까지 올랐다가 9월 0.17%로 줄어든 뒤 10월 다시 0...
기사 본문
서울 서남권·동남권 강세…대형 오피스텔 상승률 '1.03%' 서울 시내 한 부동산에 오피스텔 매물 게시돼 있다. (자료사진) /뉴스1 ⓒ News1 김도우 기자 (서울=뉴스1) 황보준엽 기자 = 서울 오피스텔 매맷값 상승 폭이 확대됐다. 특히 대형 오피스텔 가격 상승이 크다. 10·15 부동산 대책 이후 아파트 대출 규제가 강화된 탓에 매수 수요가 오피스텔로 이동한 영향으로 분석된다. 23일 KB부동산 월간 오피스텔 통계에 따르면 이달 10일 기준 전국 오피스텔 매맷값 변동률은 0.04%로 집계됐다. 지난달 -0.03%에서 반등하며 5개월 연속 하락 흐름을 끊었다. 수도권은 0.16%로 보합에서 상승 전환했다. 서울은 0.38%를 기록해 전월(0.09%) 대비 상승 폭이 확대됐다. 서울 권역별 상승률은 △서남권 0.69% △동남권 0.30% △서북권 0.14% △동북권 0.11% △도심권 0.01% 등으로 나타났다. 특히 서남권과 동남권이 강세를 보이며 가격 상승을 주도했다. 면적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