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연구원, 내년 韓성장률 1.9% 전망…"수출은 0.5% 감소"

2025년 11월 25일 수집된 기사: 4개 전체 기사: 34개
수집 시간: 2025-11-25 00:46:47
네이버에서 보기

관련 기사 목록 4개

국제신문 2025-11-24 15:17:10 oid: 658, aid: 0000126977
기사 본문

'2026년도 경제·산업 전망' 보고서 발간 "통상환경 악화에도 소비 견조한 증가" 자동차 조선 철강 등 수출은 감소 전망 부산항 신선대부두에 수출용 컨테이너가 가득 쌓여 있는 모습. 사진은 기사 내용과 직접적인 관련이 없음. 연합뉴스 국책 연구기관인 산업연구원이 내년 한국의 연간 경제성장률 전망치를 1.9%로 제시했다. 미국발 통상환경 악화 등으로 수출은 소폭 감소하겠지만 내수가 성장 동력으로 작용해 1%대 후반 수준을 유지할 것이란 전망이다. 올해는 1.0% 성장할 것으로 예측됐다. 산업연구원은 24일 발간한 ‘2026년 경제·산업 전망’ 보고서에서 내년 우리나라의 실질 국내총생산(GDP)이 올해보다 1.9%(경제성장률) 늘어날 것으로 내다봤다. 시기별로는 내년 상반기과 하반기 각각 2.2%와 1.5% 성장할 전망이다. 하반기로 갈수록 성장세가 둔화하는 흐름이다. 산업연구원은 “내년 국내 경제는 미국발 무역 갈등과 관련한 불확실성이 이어지는 가운데 수출이 전년도(2025년)의 호...

전체 기사 읽기

뉴시스 2025-11-24 15:00:00 oid: 003, aid: 0013618076
기사 본문

산업硏, 2026년 13대 주력산업 경제·산업 전망 발표 반도체, AI 수요에 호조 지속…기저효과 4.7%↑그쳐 바이오헬스, 7.8% 수출 증가 기대…이차전지는 부진 車, 수출 0.6% 감소…현지 생산 증가에 타격 불가피 철강, 美 관세·EU쿼터까지 '설상가상'…5.0% 수출↓ [서울=뉴시스] [세종=뉴시스]손차민 기자 = 올해 역대급 반도체 수출 호실적이 기대되는 가운데, 내년엔 기저효과로 증가율이 4.7%에 그칠 것으로 전망된다. 자동차 수출 역시 현지 생산 확대와 미국의 15% 관세 부과 영향으로 올해에 이어 내년에도 부진을 지속할 것으로 보인다. 24일 산업연구원이 발표한 '2026년 경제·산업 전망'에 따르면 내년 13대 주력산업 수출은 전년 대비 0.5% 감소할 것으로 예상된다. 수출을 이끌고 있는 반도체 수요가 증가하고 있으나 G2(미국·중국) 무역 갈등, 미국의 품목 관세 확대 가능성이 내년 우리 수출의 부담 요인으로 작용해서다. 반도체를 비롯해 정보통신기기·조선·바이...

전체 기사 읽기

뉴시스 2025-11-24 15:00:00 oid: 003, aid: 0013618077
기사 본문

내년 상반기 2.2% 하반기 1.5%…민간·소비설비·건설투자↑ 세계 경제성장률도 올해보다 하락…국제유가 하락세 지속 글로벌 통상 패러다임·환율 등 한국경제 주요 리스크 예상 [평택=뉴시스] 김종택 기자 = 30일 경기 평택시 포승읍 평택항 자동차 전용부두에 선적을 기다리는 수출용 차량이 세워져 있다. 2025.10.30. jtk@newsis.com [세종=뉴시스]김동현 기자 = 산업연구원이 내년 우리나라 경제 성장률을 1.9%로 전망했다. 미국발 무역 갈등과 통상환경 불확실성에 따른 수출이 소폭 감소할 수 있지만 소비가 견조한 증가세를 보이는 등 내수가 성장 모멘텀으로 작용할 수 있다는 전망이다. 수출은 올해보다 0.5% 포인트(p) 줄어들 수 있다고 내다봤다. 주요국들의 경기 부양 기조와 글로벌 무역 불확실성이 일부 완화될 수 있지만 글로벌 경기가 부진할 수 있고 이에 따른 교역 부진 현상이 하방 압력으로 작용할 수 있다는 예상이다. 수입은 환율과 국제유가의 하향 안정세 속에서도 ...

전체 기사 읽기

뉴스1 2025-11-24 15:08:24 oid: 421, aid: 0008621921
기사 본문

수출 둔화로 환율 하락 제한…내수와 재정이 성장 견인 반도체·바이오헬스 호조…철강·정유 등 전통 산업은 부진 권남훈 산업연구원 원장이 25일 정부세종청사에서 '2026년 경제·산업 전망' 브리핑을 하고 있다. 2025.11.24 ⓒ 뉴스1 김승준 기 (세종=뉴스1) 김승준 기자 = 산업연구원(KIET)이 올해 우리나라 연간 경제성장률을 1.0%, 내년도 성장률을 1.9%로 전망했다. 올해 수출 호조에 따른 기저효과로 내년 수출은 소폭 줄어들 것으로 예상되지만, 소비 회복과 정부의 확장적 재정 기조가 내수 중심의 성장 모멘텀을 형성할 것이란 분석이다. 올해 1~11월 평균 1416.9원을 기록한 원·달러 환율은 미국의 금리 인하로 한·미 금리차가 축소되면서 2026년에는 1391.7원 수준으로 내려갈 것으로 예측됐다. 권남훈 산업연구원장은 25일 정부세종청사에서 열린 '2026년 경제·산업 전망' 브리핑에서 "2026년은 전체적으로 안정 국면에 접어들 것으로 보이지만, 반도체 의존도가...

전체 기사 읽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