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연구원 "내년 성장률 1.9%" 전망... 한은도 1.8~1.9% 상향 예상

2025년 11월 25일 수집된 기사: 4개 전체 기사: 34개
수집 시간: 2025-11-25 00:25:42
네이버에서 보기

관련 기사 목록 8개

파이낸셜뉴스 2025-11-24 15:01:11 oid: 014, aid: 0005438991
기사 본문

[파이낸셜뉴스] 내년 경제성장률 전망이 잇따라 상향 조정되는 분위기다. 산업연구원이 내년 성장률을 1.9%로 제시한 데 이어 한국은행도 조만간 전망치를 1.8~1.9% 수준으로 높일 가능성이 거론된다. 금리·물가 안정 속 소비가 회복되는 반면, 올해 급반등한 수출은 기저효과로 숨 고르기에 들어갈 것이란 분석이다. 산업연구원은 24일 내놓은 ‘2026년 경제·산업전망’에서 2026년 국내총생산(GDP) 성장률을 1.9%로 제시했다. 물가와 금리의 하향 안정화 속에 실질소득 및 가계소득이 증가하고, 정부 지원책 등이 소비 여건 개선과 소비심리 안정으로 이어질 것이란 기대다. 내년도 성장률의 원동력이 될 것으로 예상되는 소비는 전년 대비 1.7% 증가할 것으로 전망됐다. 설비투자는 기업들의 자본 조달 여건 개선, AI 관련 첨단산업 투자 수요 등으로 1.9% 증가할 것으로 관측됐다. 다만 올해 호실적을 냈던 수출은 내년에는 기저효과로 0.5% 감소할 것으로 예상됐다. 품목별로 보면 정보기...

전체 기사 읽기

뉴시스 2025-11-24 15:00:00 oid: 003, aid: 0013618076
기사 본문

산업硏, 2026년 13대 주력산업 경제·산업 전망 발표 반도체, AI 수요에 호조 지속…기저효과 4.7%↑그쳐 바이오헬스, 7.8% 수출 증가 기대…이차전지는 부진 車, 수출 0.6% 감소…현지 생산 증가에 타격 불가피 철강, 美 관세·EU쿼터까지 '설상가상'…5.0% 수출↓ [서울=뉴시스] [세종=뉴시스]손차민 기자 = 올해 역대급 반도체 수출 호실적이 기대되는 가운데, 내년엔 기저효과로 증가율이 4.7%에 그칠 것으로 전망된다. 자동차 수출 역시 현지 생산 확대와 미국의 15% 관세 부과 영향으로 올해에 이어 내년에도 부진을 지속할 것으로 보인다. 24일 산업연구원이 발표한 '2026년 경제·산업 전망'에 따르면 내년 13대 주력산업 수출은 전년 대비 0.5% 감소할 것으로 예상된다. 수출을 이끌고 있는 반도체 수요가 증가하고 있으나 G2(미국·중국) 무역 갈등, 미국의 품목 관세 확대 가능성이 내년 우리 수출의 부담 요인으로 작용해서다. 반도체를 비롯해 정보통신기기·조선·바이...

전체 기사 읽기

뉴시스 2025-11-24 15:00:00 oid: 003, aid: 0013618077
기사 본문

내년 상반기 2.2% 하반기 1.5%…민간·소비설비·건설투자↑ 세계 경제성장률도 올해보다 하락…국제유가 하락세 지속 글로벌 통상 패러다임·환율 등 한국경제 주요 리스크 예상 [평택=뉴시스] 김종택 기자 = 30일 경기 평택시 포승읍 평택항 자동차 전용부두에 선적을 기다리는 수출용 차량이 세워져 있다. 2025.10.30. jtk@newsis.com [세종=뉴시스]김동현 기자 = 산업연구원이 내년 우리나라 경제 성장률을 1.9%로 전망했다. 미국발 무역 갈등과 통상환경 불확실성에 따른 수출이 소폭 감소할 수 있지만 소비가 견조한 증가세를 보이는 등 내수가 성장 모멘텀으로 작용할 수 있다는 전망이다. 수출은 올해보다 0.5% 포인트(p) 줄어들 수 있다고 내다봤다. 주요국들의 경기 부양 기조와 글로벌 무역 불확실성이 일부 완화될 수 있지만 글로벌 경기가 부진할 수 있고 이에 따른 교역 부진 현상이 하방 압력으로 작용할 수 있다는 예상이다. 수입은 환율과 국제유가의 하향 안정세 속에서도 ...

전체 기사 읽기

뉴스1 2025-11-24 15:08:24 oid: 421, aid: 0008621921
기사 본문

수출 둔화로 환율 하락 제한…내수와 재정이 성장 견인 반도체·바이오헬스 호조…철강·정유 등 전통 산업은 부진 권남훈 산업연구원 원장이 25일 정부세종청사에서 '2026년 경제·산업 전망' 브리핑을 하고 있다. 2025.11.24 ⓒ 뉴스1 김승준 기 (세종=뉴스1) 김승준 기자 = 산업연구원(KIET)이 올해 우리나라 연간 경제성장률을 1.0%, 내년도 성장률을 1.9%로 전망했다. 올해 수출 호조에 따른 기저효과로 내년 수출은 소폭 줄어들 것으로 예상되지만, 소비 회복과 정부의 확장적 재정 기조가 내수 중심의 성장 모멘텀을 형성할 것이란 분석이다. 올해 1~11월 평균 1416.9원을 기록한 원·달러 환율은 미국의 금리 인하로 한·미 금리차가 축소되면서 2026년에는 1391.7원 수준으로 내려갈 것으로 예측됐다. 권남훈 산업연구원장은 25일 정부세종청사에서 열린 '2026년 경제·산업 전망' 브리핑에서 "2026년은 전체적으로 안정 국면에 접어들 것으로 보이지만, 반도체 의존도가...

전체 기사 읽기

세계일보 2025-11-25 06:04:20 oid: 022, aid: 0004085130
기사 본문

산업硏, 경제·산업 기상도 늘 앞섰던 日과 비슷한 수준 2026년 경제성장률 1.9% 예상 수출은 0.5% 소폭 감소할 듯 반도체·조선 등 호실적 기대 자동차·소재사업군은 ‘암울’ 핵심리스크로 ‘환율’ 등 꼽혀 한국의 올해 연간 수출액이 사상 처음으로 7000억달러를 돌파하고, 내년에도 비슷한 규모를 유지할 것이라는 전망이 나왔다. 다만 반도체·정보통신기기·조선 등은 내년에도 견고한 성장이 예상되는 반면 철강·석유화학·정유 등은 침체 국면이 이어지는 등 산업별로 희비가 엇갈릴 전망이다. 인천 연수구 인천신항 컨테이너 터미널에 컨테이너가 쌓여 있다. 연합뉴스 국책 연구기관인 산업연구원은 24일 이런 내용을 담은 ‘2026년 경제·산업 전망’ 보고서를 발표했다. 산업연구원은 올해 통관 기준 수출액이 지난해 6836억달러 대비 2.5% 증가한 7005억달러에 달할 것으로 내다봤다. 7000억달러대는 역대 가장 높은 수치로, 연간 수출 규모가 항상 한국보다 앞섰던 일본(2024년 7075억...

전체 기사 읽기

연합뉴스 2025-11-24 15:00:02 oid: 001, aid: 0015759310
기사 본문

日 수출 규모 근접…내년 경제성장률 1.9% 전망 업종별 전망 엇갈려…반도체 '성장', 자동차 '정체', 철강·석화 '위축 지속 평택항에 쌓인 수출입 컨테이너 [촬영 홍기원] (세종=연합뉴스) 차대운 기자 = '슈퍼 사이클'을 맞은 반도체 수출 호조에 힘입어 한국의 올해 연간 수출액이 사상 처음으로 7천억달러 고지를 넘어선 뒤 내년에도 비슷한 규모를 유지할 것이라는 국책 연구기관의 전망이 나왔다. 산업연구원은 24일 펴낸 '2026년 경제·산업 전망' 보고서에서 한국의 올해 연간 수출이 작년보다 2.5% 증가한 7천5억달러를 기록해 역사적 정점을 기록할 것으로 예측했다. 이어 2026년에는 올해보다 0.5% 감소한 6천971억을 나타낼 것으로 예상했다. 이 같은 전망이 현실로 된다면 한국의 연간 수출은 올해 사상 처음으로 7천억달러를 넘는다. 올해 1∼10월 누적 수출액은 5천792억달러를 기록했다. 한국의 연간 수출 규모는 1995년 1천억달러, 2004년 2천억달러, 2006년 ...

전체 기사 읽기

헤럴드경제 2025-11-24 15:24:16 oid: 016, aid: 0002562174
기사 본문

日 수출 규모 근접…내년 경제성장률 1.9% 전망 업종별 전망 엇갈려…반도체 ‘성장’, 자동차 ‘정체’, 철강·석화 ‘위축 지속 경기도 평택항에 수출용 자동차가 세워져 있다. [연합] [헤럴드경제=배문숙 기자]우리 연간 수출이 ‘슈퍼 사이클’을 맞은 반도체 수출 호조에 힘입어 사상 처음으로 7000억달러를 돌파한 것으로 전망된다. 그러나 올해 최대 실적에 대한 역(逆) 기저효과로 내년에는 0.5% 감소할 것으로 예측된다. 산업연구원은 24일 펴낸 ‘2026년 경제·산업 전망’ 보고서에서 한국의 올해 연간 수출이 작년보다 2.5% 증가한 7005억달러를 기록해 역사적 정점을 기록할 것으로 내다봤다. 이어 2026년에는 올해보다 0.5% 감소한 6971억으로 예상했다. 이 같은 전망이 현실이 된다면 한국의 연간 수출은 올해 사상 처음으로 7000억달러를 넘는다. 올해 1∼10월 누적 수출액은 5792억달러를 기록했다. 한국의 연간 수출 규모는 1995년 1000억달러, 2004년 200...

전체 기사 읽기

SBS Biz 2025-11-24 15:35:10 oid: 374, aid: 0000476577
기사 본문

일명 '슈퍼 사이클'을 맞은 반도체 부문이 현재의 수출 호조에 힘입어 내년 상반기에도 가파른 상승세를 이어가다가 하반기 수요가 점차 안정화될 것이라는 전망이 나왔습니다. 국책 연구기관인 산업연구원은 한국의 올해 연간 수출액이 사상 처음으로 7천억달러 고지를 넘어선 뒤 내년에도 비슷한 규모를 유지할 것이라고 내다봤습니다. 산업연구원은 오늘(24일) 펴낸 '2026년 경제·산업 전망' 보고서에서 한국의 올해 연간 수출이 작년보다 2.5% 증가한 7천5억달러를 기록해 역사적 정점을 기록할 것으로 예측했습니다. 이같은 전망이 현실로 된다면 한국의 연간 수출은 올해 사상 처음으로 7천억달러를 넘습니다. 올해 1∼10월 누적 수출액은 5천792억달러를 기록했습니다. 7천억달러대까지 오르면 한국의 연간 수출 규모가 한국보다 앞서던 일본과 유사한 수준이 됩니다. 다만 2026년에는 올해보다 0.5% 감소한 6천971억을 나타낼 것으로 예상했습니다. 보고서는 "수출은 미국의 관세 부과 및 지정학적 ...

전체 기사 읽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