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협 "화장품·헤어케어 등 K-뷰티, 美·아세안 넘어 남미 주목"
관련 기사 목록 4개
기사 본문
무역협회 보고서…"남미 뷰티시장, 연평균 4.7% 꾸준한 성장" 서울 명동의 화장품 매장에서 쇼핑하는 외국인 [연합뉴스 자료사진] (서울=연합뉴스) 김동규 기자 = 미국과 아세안을 중심으로 한국 화장품의 수출 성장세가 두드러지는 가운데 'K-뷰티' 신시장으로 부상 중인 남미에 주목해야 한다는 주장이 나왔다. 한국무역협회 국제무역통상연구원이 24일 펴낸 '남미 뷰티 수입시장 분석 및 현지 진출 확대 방안' 보고서에 따르면 지난해 남미의 뷰티 수입은 41억3천만달러로, 2021년 이후 연평균 4.7% 가량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 품목별로는 화장품이 전체의 34.9%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했고, 향수(23.1%), 헤어케어 제품(19.4%) 등이 뒤를 이었다. 한국의 뷰티 제품 남미 수출액은 2020년 1천530만달러에서 지난해 7천20만 달러로 최근 4년 사이 4배 이상 증가했다. 이에 따라 남미 뷰티 수입 시장에서 한국의 순위 역시 17위에서 13위로 상승했고, 수입시장 점유율도 같은...
기사 본문
한국의 화장품 수출이 미국과 아세안 지역을 이어 남미 지역이 새로운 K-뷰티의 새로운 잠재 시장으로 부상하고 있다. 한국무역협회 국제무역통상연구원이 24일 발표한 ‘남미 뷰티 수입시장 분석 및 현지 진출 확대 방안’ 보고서에 따르면, 작년 남미의 뷰티 수입은 41억3000만달러로 2021년 이후 연평균 4.7%의 증가세를 보이고 있다. 품목별로는 화장품이 전체 수입의 34.9%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했으며 향수(23.1%), 헤어케어 제품(19.4%)이 뒤를 이었다. 우리나라의 대(對)남미 뷰티 수출도 호조세를 보이고 있다. 수출액은 2020년 1530만달러에서 지난해는 7020만달러로 4배 이상 증가했다. 이에 따라 남미 뷰티 수입시장 내 우리나라 순위 역시 17위에서 13위로 상승했으며, 같은 기간 수입시장 점유율도 0.7%에서 1.6%로 확대됐다. 수출 품목은 화장품이 전체의 90% 이상을 차지했고, 샴푸‧린스 등 헤어케어 제품이 6.5%로 뒤를 이었다. 국가별 수출 비중은 브...
기사 본문
친환경·숏폼·이색 원료…남미 공략 위한 맞춤 전략 제시 K-뷰티가 남미 시장에서 빠르게 외연을 넓히고 있다는 분석이 나왔다. 한국무역협회 국제무역통상연구원은 24일 발표한 '남미 뷰티 수입시장 분석 및 현지 진출 확대 방안' 보고서를 통해 2024년 남미의 뷰티 제품 수입 규모가 41억3000만달러로 집계됐다고 밝혔다. 2021년 이후 연평균 4.7% 수준의 증가세다. 품목 비중은 화장품이 34.9%로 가장 컸다. 향수는 23.1% 비중을 보였으며 헤어케어 제품은 19.4% 수준을 기록했다. 우리나라의 대남미 뷰티 수출 흐름도 확장세다. 2020년 1530만달러였던 수출액은 2024년 7020만달러로 4배 이상 늘었다. 남미 전체 뷰티 수입시장 안에서 한국의 순위는 같은 기간 17위에서 13위로 상승했다. 점유율은 0.7%에서 1.6%로 확대됐다. 한국산 수출 품목은 화장품이 전체의 90% 이상을 차지했다. 샴푸 린스 등 헤어케어 제품 비중은 6.5% 수준이다. 국가별 수출 비중은 ...
기사 본문
◆ K뷰티 위협하는 C뷰티 입술·눈화장용 제품 수출 韓 제쳐 동남아 6개국서 성장률 70~110% 대표기업 프로야 작년 매출 2조 로레알은 C뷰티 기업 지분투자도 [서울경제] 뷰티 수출액이 사상 최대치 경신 행진을 이어가며 이차전지, 가전 등을 제치고 한국의 주력 수출품목으로 등극했지만, 축포를 터트리기엔 아직 이르다는 평가가 나온다. 중국 화장품(C뷰티)가 맹추격에 나서면서 소비재 분야까지 우리나라와 경쟁하는 구도가 형성되고 있기 때문이다. 업계에서는 K뷰티가 스킨케어에 치우쳐 있어 메이크업 제품에서는 C뷰티에 밀리고 있다며 K뷰티의 주력 수출분야를 다변화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23일 뷰티 업계에 따르면, 올 1~9월 한국의 입술화장용 제품류 수출액은 4억 6668만 달러로, 같은 기간 중국의 수출액(6억 4593만 달러)을 밑돌았다. 눈화장용 제품류의 수출액 역시 한국은 1억 4836만 달러로, 중국의 4억 3937만 달러에 크게 못 미쳤다. 글로벌 소비자들의 관심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