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15 대책에도 '한강벨트' 여전…"서울 아파트 매매가 상승률 5년여만 최고"
관련 기사 목록 4개
기사 본문
기사의 이해를 돕기 위한 자료 이미지로 직접적 연관은 없습니다. 경기일보DB 이달 서울 아파트 매매가격이 5년여 만에 최고 상승률을 기록했다. 다만 10·15 부동산 대책 이후 최근까지 진행된 정부·민간 부동산 통계들이 조사 기관마다 다른 수치를 내놓고, 통계 추세마저 다른 상황이어서 시장 혼선이 발생할 수 있다는 우려점이 상존한다. 23일 KB부동산이 발표한 ‘11월 전국 주택가격 동향 결과’에 따르면 서울 아파트 매매가격은 전월 대비 1.72% 올라 2020년 9월(2.00%) 이후 5년2개월 만에 가장 큰폭으로 올랐다. 올해 최고 상승률(1.46%)을 기록한 지난달보다 상승폭이 0.26%포인트 커졌고, 18개월 연속으로 상승세가 이어지는 것으로 조사됐다. KB부동산 제공 이번 조사는 지난 10일 기준, 서울 전역과 경기도 12개 지역을 규제지역(조정대상지역·투기과열지구)과 토지거래허가구역으로 묶은 10·15 대책 발표 이후의 상황이 반영됐다. 강화된 대출규제와 2년 실거주 의무...
기사 본문
전월대비 1.72%↑…동작·성동 등 한강벨트 중심 오름폭 커 (서울=연합뉴스) 임기창 기자 = KB부동산 조사 기준으로 이달 서울 아파트 매매가격이 5년여 만에 최고 상승률을 기록한 것으로 나타났다. 23일 KB부동산이 발표한 11월 전국 주택가격 동향에 따르면 서울 아파트 매매가격은 전월 대비 1.72% 올라 2020년 9월(2.00%) 이후 5년2개월 만에 가장 큰폭으로 올랐다. [KB부동산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올해 최고 상승률(1.46%)을 기록한 지난달보다 상승폭이 0.26%포인트 커졌고, 18개월 연속으로 상승세가 이어지고 있다. 이번 조사는 11월10일 기준으로, 서울 전역과 경기도 12개 지역을 규제지역(조정대상지역·투기과열지구)과 토지거래허가구역으로 묶은 10·15 대책 발표 이후 상황이 반영됐다. 강화된 대출규제와 2년 실거주 의무 부여로 거래가 위축되고 매물이 감소한 가운데서도 향후 가격 상승 기대감 등으로 소수 매물이 높은 가격에 거래되면서 상승폭이 확...
기사 본문
전월대비 1.72%↑…동작·성동 등 ‘한강벨트’ 오름폭 커 서울 중구 남산에서 바라본 아파트 단지. 2025.11.16 홍윤기 기자 KB부동산 조사 기준으로 이달 서울 아파트 매매 가격이 5년여 만에 가장 큰 폭의 상승률을 기록한 것으로 나타났다. 23일 KB부동산이 발표한 11월 전국 주택가격 동향에 따르면 서울 아파트 매매가격은 전월 대비 1.72% 올라 2020년 9월(2.00%) 이후 5년 2개월 만에 최고 상승률을 나타냈다. 앞서 1.46%를 기록해 올해 최고 상승률을 보였던 지난달보다 상승 폭이 0.26%포인트 커졌다. KB부동산 조사 기준으로 18개월 연속 상승세가 이어지고 있다. 이번 조사는 11월 10일 기준으로, 서울 전역과 경기도 12개 지역을 규제지역(조정대상지역·투기과열지구)과 토지거래허가구역으로 묶은 10·15 대책 발표 이후 상황이 반영됐다. 강화된 대출 규제와 2년 실거주 의무 부여로 거래가 위축되고 매물이 줄어들자 향후 가격 상승 기대감이 커진 소수 매...
기사 본문
동작구(3.94%), 성동구(3.85%), 광진구(3.73%) 등 전국 주택 전세 0.21%↑…서울 0.31%, 경기 0.28% [서울=뉴시스] 그래프는 시도별 주택매매가격 변동률. 2025.11.23. (사진=KB부동산 제공) photo@newsis.com *재판매 및 DB 금지 [서울=뉴시스] 홍찬선 기자 = 11월 서울 아파트 매매가격이 전달보다 1.72% 오르면서 2020년 9월 이후 최고 상승률을 기록했다. 23일 KB부동산이 발표한 11월(조사기준 11월10일) 전국주택가격동향 자료에 따르면 전국 주택 매매가격 변동률은 전월(조사기준 10월13일) 대비 0.3% 상승했다. 주택 유형별로 아파트(0.41%), 연립주택(0.09%)은 상승, 단독주택(0.00%)은 보합을 기록했다. 서울 주택 매매가격은 전월 0.96% 대비 상승폭을 키웠다, 경기는 지난달(0.11%)보다 상승률이 높아졌고 인천은 전월(-0.08%) 하락에서 상승으로 전환했다. 5개 광역시는 울산(0.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