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15 대책 후 규제지역 아파트 전셋값 2%대 급등
관련 기사 목록 8개
기사 본문
[앵커] 지난달 발표된 10·15 부동산 대책 이후 규제 지역 아파트 전셋값이 크게 올랐습니다. 이른바 '갭 투자'가 막히며 전세 매물은 줄었지만, 수요는 오히려 늘어난 영향인데요. 취재기자 연결해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김태민 기자, 한 달 사이 아파트 전셋값 상승률이 어떻게 집계됐습니까? [기자] 네 지난달 발표된 '10·15 주택시장 안정화 대책' 후 규제지역 아파트 전셋값이 2% 넘게 급등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부동산 중개·분석업체 집토스가 국토교통부 실거래가 공개 데이터를 토대로 규제 대상에 포함된 서울 21개 구와 경기도 12개 시·구를 살펴봤는데요, 전셋값 평균 가격 상승률이 서울 지역은 2.8%, 경기도는 2.0%로 각각 집계됐습니다. '삼중 규제'가 모두 시행된 지난달 20일을 기준으로 전후 한 달 동안 동일 단지, 동일 면적에서 1건 이상 전세 거래가 발생한 아파트를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입니다. 같은 방식으로 분석한 아파트 매매가 상승률이 1.2%였던 것을 고려하...
기사 본문
20일 서울 시내 한 부동산에 인근 아파트 월세·전세 매물 안내문이 붙어 있다. 뉴스1 곧 중학생이 되는 아들을 둔 40대 이모씨는 아이 교육을 위해 서울 강동구 전세를 알아 보고 있지만 전셋값이 작년에 비해 1억원 가까이 올라 고민이 많다. 이씨는 “지하철역과 가까운 대단지 아파트는 지난달 규제 이후 전셋값이 계속 오름세”라며 “전세 대출도 줄어 이사를 해야할지 망설여진다”고 말했다. 10·15 부동산 대책 시행 이후 규제지역으로 편입된 서울·경기 아파트 전세가격이 한 달 새 2% 넘게 오른 것으로 나타났다. 강서구·은평구·노원구·강동구 등 중저가 지역의 아파트 전셋값이 상대적으로 많이 올라 타격이 큰 모습이다. 23일 부동산 중개·분석업체 집토스가 국토교통부 실거래가 공개 데이터를 토대로 10·15 대책 시행 전후 아파트 전셋값을 분석한 결과, 규제지역(조정대상지역·투기과열지구)과 토지거래허가구역으로 추가된 서울 21개 구의 평균 전세가격이 대책 시행 전보다 2.8% 상승했다. ...
기사 본문
집토스 분석…신규 토허구역 지정된 서울 21개구 2.8% 상승 R114·KB·부동산원 주간 통계치·추세 각기 달라 시장 혼선 전세 매물 사라진 부동산 [연합뉴스 자료사진] (서울=연합뉴스) 홍국기 기자 = 10·15 주택시장 안정화 대책 시행 이후 규제 대상에 편입된 지역의 아파트 전셋값이 한 달 새 2% 넘게 급등한 것으로 나타났다. 23일 부동산 중개·분석업체 집토스가 국토교통부 실거래가 공개 데이터를 토대로 10·15 대책 시행 전후 아파트 전셋값을 분석한 결과에 따르면 규제지역(조정대상지역·투기과열지구)과 토지거래허가구역으로 추가된 서울 21개 구와 경기도 12개 시·구의 평균 가격이 대책 시행 전보다 각각 2.8%, 2.0% 상승했다. 분석은 '삼중 규제'(조정지역·투과지구·토허구역)가 모두 시행된 지난달 20일을 기준으로 대책 시행 전(9.20∼10.19)과 시행 후(10.20∼11.19) 각각 한 달간을 기준으로 동일 단지·동일 면적에서 각 1건 이상 전세 거래가 발생한...
기사 본문
전세 매물 사라진 부동산 [연합뉴스 자료사진] 10·15 주택시장 안정화 대책 시행 이후 규제 대상에 편입된 지역의 아파트 전셋값이 한 달 새 2% 넘게 급등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오늘(23일) 부동산 중개·분석업체 집토스가 국토교통부 실거래가 공개 데이터를 토대로 10·15 대책 시행 전후 아파트 전셋값을 분석한 결과, 규제지역(조정대상지역·투기과열지구)과 토지거래허가구역으로 추가된 서울 21개 구와 경기도 12개 시·구의 평균 가격이 대책 시행 전보다 각각 2.8%, 2.0% 상승했습니다. 분석은 '삼중 규제'(조정지역·투과지구·토허구역)가 모두 시행된 지난달 20일을 기준으로 대책 시행 전(9.20∼10.19)과 시행 후(10.20∼11.19) 각각 한 달간을 기준으로 동일 단지·동일 면적에서 각 1건 이상 전세 거래가 발생한 아파트(1층 이하는 제외)를 대상으로 진행됐습니다. 앞서 집토스는 같은 방식으로 10·15대책 시행 이후 한 달간 규제지역·토허구역으로 편입된 지역의 ...
기사 본문
━ 부동산 대책 그 후 한달 서울 아파트 매매가격이 5년여 만에 가장 큰 폭으로 상승했다. 10·15 주택시장 안정화 대책 이후 전셋값도 한 달 새 2% 넘게 오르는 등 매매와 전세시장이 함께 불안해지고 있다. 23일 KB부동산이 발표한 11월 전국 주택가격 동향에 따르면 서울 아파트 매매가격은 전월 대비 1.72% 올랐다. 문재인 정부 때인 2020년 9월(2.00%) 이후 5년2개월 만에 가장 많이 올랐다. 올해 최고 상승률을 기록했던 지난달(1.46%)보다 상승 폭이 0.26%포인트 커졌다. 서울 전역과 경기도 12개 지역을 규제지역으로 묶었지만, 주택 공급 부족에 따른 가격 상승 기대감 등으로 10·15 부동산 대책 후에도 소수 매물이 높은 가격에 거래되면서 상승 폭이 단기 급등한 것으로 분석된다. 지역별로 동작구(3.94%)가 가장 높은 상승률을 보였고 성동(3.85%)·광진(3.73%)·마포(3.41%)·송파(2.74%)·중(2.70%)·강동(2.35%) 등 한강벨트 권역...
기사 본문
▲ 10.15 부동산 대책 10·15 주택시장 안정화 대책 시행 이후 규제 대상에 편입된 지역의 아파트 전셋값이 한 달 새 2% 넘게 급등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부동산 중개·분석업체 집토스가 국토교통부 실거래가 공개 데이터를 토대로 10·15 대책 시행 전후 아파트 전셋값을 분석한 결과에 따르면 규제지역(조정대상지역·투기과열지구)과 토지거래허가구역으로 추가된 서울 21개 구와 경기도 12개 시·구의 평균 가격이 대책 시행 전보다 각각 2.8%, 2.0% 상승했습니다. 분석은 '삼중 규제'(조정지역·투과지구·토허구역)가 모두 시행된 지난달 20일을 기준으로 대책 시행 전(9.20∼10.19)과 시행 후(10.20∼11.19) 각각 한 달간을 기준으로 동일 단지·동일 면적에서 각 1건 이상 전세 거래가 발생한 아파트(1층 이하는 제외)를 대상으로 했습니다. 앞서 집토스는 같은 방식으로 10·15대책 시행 이후 한 달간 규제지역·토허구역으로 편입된 지역의 아파트값 상승률(1.2%)을 도...
기사 본문
집토스 분석…서울 21개구 2.8% 상승 R114·KB·부동산원 각기 달라 시장 혼선 10·15 주택시장 안정화 대책 시행 이후 규제 대상 지역의 아파트 전셋값이 한 달 새 2% 이상 급등한 것으로 나타났다. 23일 부동산 중개·분석업체 집토스가 국토교통부 실거래가를 분석한 결과, 10·15 대책으로 규제지역과 토지거래허가구역에 편입된 지역 전셋값이 크게 올랐다. 서울 21개 구 전셋값은 평균 2.8%, 경기도 12개 시·구는 평균 2.0% 상승했다. 앞서 집토스가 분석한 규제지역·토허구역 편입 지역의 매매가격 상승률이 1.2%였던 점을 고려하면, 서울의 경우 전셋값 상승률이 매매가 상승률의 두 배를 상회한 것이다. 전셋값 상승률이 매매가의 2배 웃돌아 정부가 서울 전역과 경기 일부 지역에 3중 규제를 적용하기로 한 '주택시장 안정화 대책'이 발표된 이후 전세 물향이 사라질수 있다는 우려가 나오고 있다. 지난달 16일 서울 마포의 한 부동산 매물 안내판의 전세 안내물에 엑스(X)표...
기사 본문
서울 21개 구 2.8%·경기 12개 시·구 2.0%↑ 10·15 대책 이후 규제지역으로 추가된 지역의 아파트 전셋값이 한 달 사이 2% 이상 상승했다. /박헌우 기자 [더팩트ㅣ김정산 기자] 10·15 대책 이후 규제지역으로 추가된 지역의 아파트 전셋값이 한 달 사이 2% 이상 상승한 것으로 확인됐다. 갭투자 차단 조치가 시행되면서 전세 매물이 줄어든 영향이다. 전세 거래 가격이 전반적으로 상승 흐름을 보이고 있다. 23일 부동산 중개·분석업체 집토스는 국토교통부 실거래가 공개 자료를 기반으로 10·15 대책 시행 전후 전세 거래를 비교한 결과, 규제지역과 토지거래허가구역으로 편입된 서울 21개 구의 전셋값이 평균 2.8%, 경기 12개 시·구는 2.0% 상승했다고 발표했다. 분석 대상은 동일 단지·동일 면적에서 각각 1건 이상 전세 거래가 발생한 아파트로 1층 이하는 제외했다. 해당 분석에서 집토스는 삼중 규제 기준일을 지난달 20일로 설정하고 대책 시행 전 한 달과 시행 후 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