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대은행 가계대출 창구 닫히나… 총액 목표치 33% 초과

2025년 11월 24일 수집된 기사: 4개 전체 기사: 35개
수집 시간: 2025-11-24 02:18:07
네이버에서 보기

관련 기사 목록 8개

파이낸셜뉴스 2025-11-23 18:44:19 oid: 014, aid: 0005438570
기사 본문

사실상 올해 총량관리 실패 이달에만 7조8953억 늘어 KB·하나 등 신규대출 중단 대체 경로 2금융권도 '빗장' 시중은행들이 가계대출 총량관리에 실패하면서 창구를 걸어 잠그고 있다. 4대 시중은행의 가계대출 총액은 당초 금융당국에 제출한 목표치보다 30% 이상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사정은 2금융권도 마찬가지다. 시중은행의 '대체 경로'인 저축은행과 상호금융도 비대면 창구를 닫은 상태다. 금융당국은 시중은행에 가계대출 총량관리를 압박하는 한편 내년부터는 2금융권에도 총량 목표치를 요구할 전망이다. 23일 금융권에 따르면 이달 들어 KB국민·신한·하나·우리 등 4대 은행의 가계대출(정책대출 제외) 증가 폭은 총 7조8953억원(20일 기준)으로 집계됐다. 당초 금융당국에 제출한 가계대출 증가액 한도보다 32.7% 많은 수치다. 금융당국은 지난 6월 서울 집값 급등과 금리인하로 가계부채가 급증하자 총량관리에 나섰다. 정책대출을 제외한 전 금융권의 가계대출 총량목표를 계획 대비 절반 수...

전체 기사 읽기

연합뉴스 2025-11-23 06:01:01 oid: 001, aid: 0015757155
기사 본문

모두 목표초과…KB·하나 올해 실행분 막고 신한·우리도 "쏠림 심하면 중단" 가계대출 증가속도 4개월만에 최고…'빚투' 등에 신용대출 4년4개월만에 최대폭↑ 은행 창구 (서울=연합뉴스) 신현우 기자. 2025.10.15 nowwego@yna.co.kr (서울=연합뉴스) 신호경 한지훈 민선희 기자 = 주요 시중은행 다수가 사실상 올해 가계대출 총량 관리에 실패하면서 연말 가계대출 창구가 상당 부분 닫힐 가능성이 커졌다. 은행들은 일단 올해 실행분 주택 관련 대출부터 막고 있는데, 만약 수도권 집값이 기대와 달리 뚜렷하게 진정되지 않을 경우 내년 초 새 연간 가계대출 총량 목표가 설정되더라도 쉽게 대출 문턱을 낮추기 어려울 것으로 예상된다. "10·15 전 주택거래 대출에 빚투 신용대출도 많아 총량관리 어려워" 23일 금융권에 따르면 4대 은행(KB국민·신한·하나·우리)에서 올해 들어 이달 20일까지 늘어난 가계대출(정책대출 제외)은 총 7조8천953억원으로 집계됐다. 당초 이들 은행이...

전체 기사 읽기

중앙일보 2025-11-24 00:01:02 oid: 025, aid: 0003484673
기사 본문

━ 연말 대출 한파 현실화 ‘대출 절벽’이 눈앞으로 다가왔다. 연말을 앞두고 주요 시중은행의 가계대출 증가액이 연간 공급 목표 대비 30%를 초과하면서다. 은행은 내년 대출 한도 축소 등 페널티를 피하기 위해 대출 빗장을 걸 수밖에 없다. 23일 KB국민·신한·하나·우리은행에 따르면 올해 들어 이달 20일까지 늘어난 가계대출 증가 폭(정책대출 제외)은 7조8953억원으로 나타났다. 이는 금융당국과 약속한 연간 증가액 한도(5조9493억원)보다 32.7% 많다. ‘6·27 대출 규제’ 당시 올 하반기 대출 총량 목표를 연초 계획 대비 50% 깎은 영향도 있다. 은행별로 목표치와 비교하면 최소 9.3%에서 최대 59.5% 초과했다. 5대 시중은행으로 넓히면, NH농협은행 정도만 아직 총량 관리에 여유가 있다. NH농협은행의 가계대출 증가액은 이달 20일 기준 1조8000억원으로 연간 목표치(2조1200억원)의 약 85% 수준이다. 하지만 안심할 순 없다. 뜨거워진 ‘빚투’(빚내서 투자)...

전체 기사 읽기

국민일보 2025-11-24 00:54:09 oid: 005, aid: 0001816225
기사 본문

KB 오늘부터 대면 주담대도 중단 하나銀, 내일부터 주담대 막기로 “빚투 열풍 신용대출 수요 안 꺾여” 연합뉴스 KB국민·신한·하나·우리 4대 은행의 올해 가계대출 창구가 조만간 닫힐 전망이다. 금융 당국이 주택 시장 수요를 억제하겠다며 가계대출 총량 관리제의 한도를 줄인 여파다. 다음 달로 예정된 정부의 주택 공급 대책 등에도 수도권 집값 진정세가 뚜렷하지 않을 경우 가계대출 총량 관리제는 내년에도 빠듯하게 운영될 공산이 크다. 23일 금융권에 따르면 4대 은행의 올해 1월 1일부터 이달 20일까지 가계대출 증가분은 7조8953억원이다. 올해 목표 증가액(5조9493억원) 대비 33% 더 많다. 이는 올해 목표치가 낮아진 결과다. 목표치는 금융 당국이 6·27 부동산 대책을 내놓을 당시 ‘하반기 목표치를 올해 초 설정한 것의 절반으로 깎으라’고 요구한 데 따라 축소됐다. 한 은행권 관계자는 “은행 대부분이 하반기 목표치가 갑자기 줄어들 줄 모르고 상반기에 많은 가계대출을 내줬다”고...

전체 기사 읽기

서울경제 2025-11-24 05:01:10 oid: 011, aid: 0004559177
기사 본문

4대銀, 올 가계대출 7.8조 늘어 목표치 33% 초과···조절 불가피 단위 농협은 대출한도 1조 남아 일부선 1금융권 수준 금리 제공 카뱅·케뱅도 주담대 신청 늘어 [서울경제] KB국민과 하나은행 등 주요 시중은행이 가계대출을 중단하면서 단위 농업협동조합과 인터넷은행으로 대출 수요가 몰리고 있다. 시장에서는 정부의 과도한 대출 옥죄기에 실수요자들의 불편이 커지고 있다는 지적이 나온다. 23일 금융계에 따르면 지역 농협의 경우 올해 가계대출 총량 목표치 기준 30~40%가량의 여유가 있다. 금액으로 따지면 1조 원 정도된다. 이에 일부 단위 농협은 시중은행과 비슷한 금리로 대출에 나서고 있다. 서울 지역 단위 농협만 해도 최근 3개월 신규 취급 주택담보대출 평균금리가 약 4.3%다. 용산과 마포·종로 등을 담당하는 서서울농협의 금리가 연 3.88%로 가장 낮았고 남서울농협과 강남농협은 각각 4.04%였다. 21일 기준 4대 은행(KB국민·신한·하나·우리)의 은행채 5년물 기준 혼합형...

전체 기사 읽기

서울신문 2025-11-24 05:03:08 oid: 081, aid: 0003594549
기사 본문

증가액 7조 8953억… 빚투 등 영향 연말 대출 창구 조기 마감 가능성 4대 시중은행의 가계대출 증가 속도가 올해 총량 목표를 크게 넘어서면서 연말 대출 창구가 사실상 조기 마감될 가능성이 커지고 있다. 10·15 대책 이전 주택거래의 잔여 실행과 ‘빚투’ 등 투자성 수요가 겹치며 총량 관리가 한계에 가까워진 영향 탓이다. 23일 금융권에 따르면 KB국민·신한·하나·우리은행의 올해 가계대출 증가액(정책대출 제외)은 지난 20일 기준 7조 8953억원으로, 금융당국에 제출한 목표치(5조 9493억원)를 32.7% 초과했다. 하반기 총량 목표를 절반 수준으로 낮추라는 당국 요청에 따라 재산정한 수치였지만, 실제 증가 속도는 이를 훌쩍 넘어섰다. 4개 은행 모두 개별 목표를 초과한 가운데 초과율은 최소 9.3%에서 최대 59.5%까지다. 5대 은행 전체로 보면 NH농협은행만 증가 여력이 남아 있는데, 증가액은 1조 8000억원으로 목표치(2조 1200억원)에 미치지 못했다. 총량 부담이...

전체 기사 읽기

이데일리 2025-11-23 17:35:09 oid: 018, aid: 0006170020
기사 본문

가계대출 올해 총량 대부분 소진 주담대 증가폭, 6월의 6분의 1로 '풍선효과' 신용대출까지 취급 멈춰 "숫자맞추기 규제에 실수요자 자금난" [이데일리 최정훈 김형일 기자] 주요 시중은행이 올해 부여된 가계대출 총량을 대부분 소진하면서 대출 창구를 잇달아 닫고 있다. 10·15 대책 이전 증가한 주택 거래가 시차를 두고 주택담보대출로 반영되고 있는 데다 국내외 주식 등 자산 투자 목적의 신용대출 수요가 급증한 영향이다. 가계대출 총량규제가 연말로 갈수록 강하게 작동하면서 시중은행권 전반에 ‘대출 절벽’ 우려가 현실화하고 있다. 주택담보대출(주담대)과 전세대출뿐 아니라 규제 풍선효과로 수요가 급증한 신용대출까지 사실상 연내 취급이 멈추는 분위기다. [이데일리 문승용 기자] 6월 5.7조 늘던 주담대, 11월 1조도 안돼 23일 금융권에 따르면 5대 시중은행(국민·신한·하나·우리·농협)의 주담대 잔액은 지난 20일 기준 611조 7523억원으로 집계됐다. 9월 608조 9848억원, 1...

전체 기사 읽기

한국경제 2025-11-23 17:38:20 oid: 015, aid: 0005214872
기사 본문

Cover Story 신용대출 금리 낮은 곳은 신용 1~3등급도 대출금리 年 5% 부담 카카오뱅크 중신용대출 최저 年 3.5%로 1억 대출 신한·우리 3억까지 빌려줘 농협 'NH첫시작엔대출' 직장인 1개월차도 돈 빌려 신용카드·급여이체 등 조건 달성해야 우대금리 연내 자금 조달 계획 땐 하루라도 빠른 대출 유리 시장금리가 좀처럼 꺾이지 않으면서 신용대출과 마이너스통장 금리 역시 하루가 다르게 올라가고 있다. 주요 은행의 신용대출 금리는 연 4~5%대다. 간편한 대출 수단인 마이너스통장에 붙는 이자 부담은 더 커졌다. 다만 조건에 따라 연 3%대 금리로 대출이 가능한 상품도 있다. 은행별로 꼼꼼하게 비교하면 이자 부담을 줄일 수 있다. 그래픽=김하경 기자 커지는 이자 부담 23일 금융권에 따르면 국민 신한 하나 우리 농협 등 국내 5대 은행의 지난 21일 신용대출 금리(홈페이지 공시 기준)는 평균 연 3.79~5.31%로 이달 들어 0.16~0.25%포인트 올랐다. 신용대출보다 금리가...

전체 기사 읽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