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날로 인기 치솟는 한국 김”… 연 수출액, 사상 처음 10억 달러 넘어
관련 기사 목록 4개
기사 본문
품질 경쟁력 등 높아지면서 목표였던 2027년보다 2년 빨리 달성 해외 소비자 입맛 맞춘 김스낵, 조미김 개발 등도 실적 개선 끌어 일본 매장에 진열된 한국산 김. 우리나라 김을 찾는 해외 소비자가 지속해 늘면서 연간 수출액이 사상 처음으로 10억 달러를 넘어섰다. ‘K-푸드 열풍’을 끌고 가는 주역으로 자리 잡았다는 평가가 나온다. 23일 해양수산부에 따르면 올해 김 수출액은 지난 20일을 기준으로 할 때 10억1500만 달러(약 1조5000억 원)로 집계됐다. 2023년과 2024년의 김 수출액은 각각 7억9300만 달러, 2024년 9억9700만 달러였다. 애초 업계 등에서는 2027년이 돼야 10억 달러를 돌파할 것으로 예상했으나 시기가 2년이나 앞당겨졌다. 해수부는 우리나라 김(K-GIM)의 품질 경쟁력이 갈수록 높아지면서 전 세계의 수요가 함께 늘어난 것이 이 같은 성과를 이뤄낸 원인으로 풀이한다. 또 일본, 미국, 중국 등 기존에 판매가 활발했던 지역 외에 최근 몇 년 ...
기사 본문
김 수출 실적 10억달러 사상 첫 돌파 물량부족에 김값 상승…2년만에 35%↑ 미국 유명 래퍼 카디비가 최근 라이브 방송에서 고추참치에 밥을 비벼 김에 싸 먹으며 “한국인들은 미쳤다”라고 감탄하고 있다. [카디비 인스타그램 라이브] ‘K-밑반찬’ 대표주자 김이 세계인의 식탁으로 침투하고 있다. 올해 한국의 김 수출액이 역대 처음으로 10억 달러를 돌파했다. 2025년 대(對)세계 김 수출 실적. [해수부] 23일 해양수산부(이하 해수부)에 따르면, 지난 20일 기준 김 수출 금액은 10억1500만 달러(약 1조5000억원)로,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13.2% 증가하며 역대 최고치를 기록했다. 연간 김 수출액은 2023년 7억9300만 달러, 지난해 9억9700만 달러를 기록했으나, 올해는 일찌감치 10억 달러 고지를 넘어섰다. 해수부는 이 같은 성과에 대해 “우리나라 김의 품질 경쟁력이 높아짐과 동시에 전 세계적 수요도 함께 증가한 결과”라고 분석했다. 김 수출 증가세를 견인한 지역...
기사 본문
3일 서울의 한 대형마트에서 외국인 관광객들이 김을 구매하고 있다. 뉴스1 서양권에서 ‘바다의 잡초’로 천대받던 '김'이 ‘라면’을 잇는 글로벌 푸드로 자리 잡았다. 해양수산부는 2025년 한국의 김 수출 실적이 10억불을 넘기며 역대 최대 실적을 돌파했다고 23일 밝혔다. 올해 김 수출액은 지난 20일 기준 10억1500만 달러(약 1조5000억원)로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13.2% 증가해 역대 최고치를 기록했다. 연간 김 수출액은 지난 2023년 7억9300만 달러, 지난해 9억9700만 달러로 매년 늘어나다 올해 10억 달러를 넘었다. 해수부는 이같은 김 수출액 증가에 대해 우리나라 김(K-GIM)의 품질 경쟁력이 전 세계적 수요와 함께 증가한 결과로 분석했다. 김 소비가 급증하고 있는 북미와 유럽을 비롯한 주요 해외시장에서의 판매 증가가 김 수출을 견인했다. 미국 시장 김 수출액은 지난 20일까지 2억2000만 달러로 지난해 동기보다 15.3% 증가했다. 일본 시장 수출액은 ...
기사 본문
20일 기준 10억 1500만 달러, 작년동기 대비 13%↑ 미국·일본·중국서 인기…김 제품 ‘국제 규격화’ 박차 올해 한국의 김 수출액이 역대 처음으로 10억 달러를 돌파했다. 연합뉴스 미국, 일본 등 해외에서의 한국 김(K-GIM) 인기에 힘입어 올해 한국의 김 수출액이 역대 처음으로 10억 달러를 돌파하며 K푸드(K-Food) 수출을 선도하고 있다. 해양수산부는 올해 김 수출액이 지난 20일 기준 10억 1500만 달러(약 1조 5000억 원)로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13.2% 증가하며 역대 최고치를 기록했다고 23일 밝혔다. 우리나라 김(K-GIM)의 품질 경쟁력이 높아짐과 동시에 전 세계적 수요도 함께 증가한 결과라고 해수부는 분석했다. 최근 몇 년간 김 소비가 급증한 북미와 유럽을 비롯한 주요 해외시장의 판매 증가가 김 수출 실적을 견인했다. 올해 김 수출액을 국가별로 보면, 미국 시장은 지난 20일까지 2억 2000만달러로 작년 동기보다 15.3% 증가했다. 같은 기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