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30 청년 새 일자리 12만 개 줄어...역대 최소 수준

2025년 11월 24일 수집된 기사: 4개 전체 기사: 21개
수집 시간: 2025-11-24 00:15:02
네이버에서 보기

관련 기사 목록 4개

YTN 2025-11-23 08:26:23 oid: 052, aid: 0002276987
기사 본문

2030 청년층의 새 일자리가 1년 만에 12만 개 가까이 줄면서 역대 최소 수준을 기록했습니다. 국가통계포털을 보면 임금 근로 일자리 가운데 2030 세대 신규채용은 2분기 기준 240만 8천 개로,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11만 6천 개 감소했습니다. 이 수치는 지난 2018년 관련 통계가 작성된 이래 2분기 기준 가장 적은 수준이며 3년째 감소세가 이어졌습니다. 특히 기업체 신설이나 사업 확장으로 새롭게 생긴 일자리를 뜻하는 '신규 채용'은 20대 이하와 30대 모두 역대 최소치를 기록했습니다. 업종별로는 건설업과 제조업에서 '30대 이하' 신규 일자리가 1년 전보다 8만 개 줄어 전체 청년층 일자리 감소분의 70%를 차지했습니다.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02-398-8585 [메일] social@ytn.co.kr


연합뉴스 2025-11-23 05:53:05 oid: 001, aid: 0015757135
기사 본문

20·30대 비정규직 257만명…10년 새 44만5천명 늘어 3분기 '쉬었음' 73만명, 역대 최대…정부 '일자리전담반' 가동 끝 모를 청년 고용 한파 (서울=연합뉴스) 이동해 기자 = 지난 10월 20일 서울 시내 한 대학교 취업 게시판 앞을 학생들이 지나고 있다.2025.10.20 eastsea@yna.co.kr (세종=연합뉴스) 이준서 안채원 기자 = 신규채용 일자리가 줄고 비정규직 비중이 늘어나는 등 청년층 고용 부진이 갈수록 심화하고 있다. 비교적 안정적인 일자리로 꼽히는 제조업과 건설업 고용이 부진을 면치 못하는 데다가, 인구 변화와 구조적인 흐름까지 청년 일자리에 타격을 가하고 있다. 질 좋은 일자리를 기다리며 노동시장을 이탈하는 청년이 더 늘지 않도록 정부의 고용 안정성 강화 대책이 필요하다는 의견이 나온다. 20·30 임금근로자 10명 중 3명꼴 '비정규직'…10년새 기간제 54만명↑ 23일 국가데이터처(옛 통계청)의 국가통계포털(KOSIS)에 따르면, 올해 8월 기...

전체 기사 읽기

헤럴드경제 2025-11-23 08:52:11 oid: 016, aid: 0002561587
기사 본문

20·30대 비정규직 257만명…10년 새 44만5000명 늘어 3분기 ‘쉬었음’ 73만명, 역대 최대…정부 ‘일자리전담반’ 가동 서울의 한 대학교에서 학생들이 취업 게시판을 살펴보고 있다. [연합] [헤럴드경제=배문숙 기자]‘2030’ 청년층 임금근로자 10명 중 3명 이상은 비정규직으로 조사됐다. 질 좋은 일자리를 기다리며 노동시장을 이탈하는 청년이 더 늘지 않도록 정부의 고용 안정성 강화 대책이 필요하다는 의견이 나온다. 23일 국가데이터처(옛 통계청)의 국가통계포털(KOSIS)에 따르면, 올해 8월 기준 20·30대 임금근로자 811만명 가운데 비정규직은 257만명(31.7%)에 달했다. 비정규직 비중은 2004년 이후로 21년만에 가장 높다. 좁은 취업 문을 뚫고 들어가도 일자리 안정성을 보장받기 어렵다는 뜻이다. 최근 10년간 변화는 더욱 극명하다. 20·30대 정규직은 2015년 612만8000명에서 올해 554만1000명으로 58만7000명 줄어든 반면, 비정규직은 같...

전체 기사 읽기

연합뉴스 2025-11-23 05:53:00 oid: 001, aid: 0015757134
기사 본문

'30대 이하' 임금근로 신규채용 241만개…제조·건설 고용부진 끝 모를 청년 고용 한파 (서울=연합뉴스) 이동해 기자 = 청년층 고용률이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가장 긴 내리막을 걷고 있는 가운데 20일 서울 시내 한 대학교 취업 게시판의 모습. 국가데이터처(옛 통계청)에 따르면 지난달 청년층 고용률은 45.1%로, 1년 전보다 0.7%포인트(p) 하락하며 17개월 연속 감소세를 기록했다. 2025.10.20 eastsea@yna.co.kr (세종=연합뉴스) 이준서 안채원 기자 = 2030 청년층의 임금근로 새 일자리가 역대 최소 규모로 줄었다. 23일 국가통계포털(KOSIS)에 따르면, 임금근로 일자리 중 2030세대 신규채용은 2분기 기준 240만8천개로, 작년 같은 기간보다 11만6천개 감소했다. 2018년 관련 통계 작성 이래 2분기 기준 가장 적은 수준이다. 2분기 기준으로는 2022년 279만3천개에서 2023년 272만5천개, 지난해 252만4천개 등으로 3년째 감소세를...

전체 기사 읽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