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인 입맛 홀린 ‘K김 …’ 2025년 수출 10억 달러 첫 돌파
관련 기사 목록 4개
기사 본문
품질 경쟁력 향상 수출 급증 美 2억2000만 달러로 최다 가장 선호하는 한식은 ‘치킨’ K푸드의 인기 속에 올해 김 수출이 사상 처음으로 10억달러를 넘어섰다. 해외 소비자들이 가장 좋아하는 한식 메뉴로는 ‘한국식 치킨’이 꼽혔다. 23일 해양수산부에 따르면 지난 20일까지 김 수출은 10억1500억달러로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13.2% 증가했다. 이는 한국산 김의 품질 경쟁력이 높아지며 수요가 함께 증가한 영향이라는 것이 해수부의 분석이다. 사진=연합뉴스 최근 북미와 유럽에서는 한국산 김에 대한 수요가 급증하고 있다. 미국 시장의 김 수출액은 지난 20일까지 2억2000만달러로 전년 동기보다 15.3% 증가했다. 일본 시장 수출액은 2억1000만달러로 13.8% 늘었고, 중국 수출액은 36.6% 급증한 1억달러를 기록했다. 태국(8800만달러)과 러시아(8500만달러)도 수출국 5위권에 들었다. 연간 김 수출액은 2023년 7억9300만달러에서 지난해 9억9700만달러로 10억달...
기사 본문
젠슨 황(오른쪽) 엔비디아 최고경영자(CEO)가 지난달 30일 오후 서울 강남구 삼성역 인근 깐부치킨 매장에서 이재용(왼쪽) 삼성그룹 회장, 정의선 현대차그룹 회장과 치킨 회동을 하고 있다. [연합뉴스] K콘텐츠 열풍에 힘입어 한국 식품에 대한 외국인의 관심이 꾸준히 늘어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치킨, 김치, 라면 등 한국 식품 인지도가 전반적으로 향상됐고 재구매 의향까지 계속 증가하고 있다. 인기 수출품이 된 김은 올해를 아직 한 달여 남긴 상황에서 이미 역대 최고 수출액을 경신한 것으로 나타났다. 23일 농림축산식품부가 발표한 ‘2025년 해외 한식 소비자 조사’ 결과에 따르면 외국에서 한식 소비자들의 인지도・호감도・만족도 모두가 꾸준히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다. 한식 인지도는 68.6%, 호감도는 71.4%, 만족도는 94.2%로 조사가 실시된 이후 최고치다. 특히 ‘향후 한식을 다시 먹을 의향이 있다’고 응답한 해외 소비자가 80.6%로 지난해(76.1%)보다 상승한 점도 ...
기사 본문
한식 인지도 69%·만족도 94%로 상승…해외 소비자 조사 (서울=연합뉴스) 김윤구 기자 = 해외 소비자들이 최근 1년간 가장 자주 먹었고 가장 좋아하는 한식 메뉴는 '한국식 치킨'으로 나타났다. 농림축산식품부와 한식진흥원은 22개국 주요 도시의 소비자 1만1천명을 대상으로 한 2025년 해외 한식 소비자 조사 결과를 23일 발표했다. 비빔밥과 김치, 한국식 치킨이 세계인의 입맛을 사로잡으며 세계 시장에서 한식의 브랜드 가치가 한층 강화된 것으로 조사됐다. '가장 선호하는 한식'은 한국식 치킨이 14%를 차지했으며 김치는 9.5%, 비빔밥은 8.2% 순이다. 다음으로 불고기(5.6%), 라면(5.1%), 삼겹살구이(4.5%), 김치볶음밥(4.4%)이 뒤를 이었다. 최근 1년 동안 자주 먹은 한식은 한국식 치킨(28.3%)과 김치(28%)가 비슷했으며 비빔밥(19.9%), 라면(16.6%), 불고기(14.0%), 만두(13.3%), 김치볶음밥(12.5%) 순이었다. 한식에 대해 얼마나...
기사 본문
2025년 해외소비자 1만명 조사 김치·비빔밥·불고기 인기 꾸준 10명중 8명 "또 먹고 싶어요" 中상하이·英런던서 선호도 쑥 日도쿄선 한식 만족도 낮아 올 김 수출액 1.5조 사상 최고 K콘텐츠 열풍에 힘입어 한국 식품에 대한 외국인의 관심이 꾸준히 늘어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치킨, 김치, 라면 등 한국 식품 인지도가 전반적으로 향상됐고 재구매 의향까지 계속 증가하고 있다. 인기 수출품이 된 김은 올해를 아직 한 달여 남긴 상황에서 이미 역대 최고 수출액을 경신한 것으로 나타났다. 23일 농림축산식품부가 발표한 '2025년 해외 한식 소비자 조사' 결과에 따르면 외국에서 한식 소비자들의 인지도·호감도·만족도 모두가 꾸준히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다. 한식 인지도는 68.6%, 호감도는 71.4%, 만족도는 94.2%로 조사가 실시된 이후 최고치다. '향후 한식을 다시 먹을 의향이 있다'고 응답한 해외 소비자가 80.6%로 지난해(76.1%)보다 상승한 점도 고무적이다. 이번 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