쿠팡, 4500명 고객 정보 털리고도 12일간 몰랐다
관련 기사 목록 8개
기사 본문
쿠팡이 고객 4500여명의 개인 정보가 유출됐는데도 12일간 이를 알아채지 못한 것으로 나타났다. 잇따른 개인 정보 유출 사고에 이용자들의 불안감이 커지고 있는 상황에서 피해 고객들에게 정확한 유출 시점을 알리지 않아 심각성을 축소했다는 비판도 나온다. 21일 국회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장 최민희 의원실이 한국인터넷진흥원(KISA)에서 받은 침해 사고 신고서에 따르면, 쿠팡은 고객 정보에 무단 접근이 발생한 시점에 대해 지난 6일 오후 6시 38분으로 추정된다고 신고했다. 하지만 침해 사실을 인지한 시점은 18일 오후 10시 52분이라고 적었다. 무단 접근 사고가 발생하고도 12일이 지나서야 이를 인지했다는 것이다. 쿠팡에서 고객 4천500여명의 이름과 이메일 등 개인정보가 노출되는 사고가 발생했다. 쿠팡은 20일 고객들에게 "18일 고객 개인정보가 비인가 조회된 것으로 확인됐다"며 "조회된 정보는 이름, 이메일 주소, 배송지 주소록(전화번호·주소), 최근 5건의 주문 정보로 확인했...
기사 본문
쿠팡에서 고객 4천 5백여 명의 이름과 전화번호 등 개인정보가 노출되는 사고가 발생해 개인정보보호위원회가 조사에 들어갔습니다. 쿠팡은 고객 민원 접수로 개인정보 유출 조사에 들어갔던 걸로 확인됐습니다. “쿠팡 16일 밤 ‘개인정보 노출’ 고객 민원 접수” 쿠팡은 지난 16일 밤 10시쯤 개인정보가 노출됐다는 고객 민원을 접수한 것으로 오늘(21일) 더불어민주당 김남근 의원실을 통해 확인됐습니다. 쿠팡은 이후 내부 대응팀 검증을 거쳐 지난 18일 밤 개인정보 노출 사실을 최종 확인했습니다. 쿠팡은 제3자가 사전에 획득한 인증 정보를 이용해 주문·배송 관련 페이지에 접속한 뒤 고객 4천5백여 명의 이름과 이메일·전화번호 등 개인정보와 배송지 주소록·최근 주문 5건 등 주문 정보에 접근한 것을 확인했다고 밝혔습니다. 이후 쿠팡은 19일 해당 인증 정보에 대해 차단 조치했다고 설명했습니다. 최민희의원실로부터 입수한 쿠팡 침해사고 신고서를 보면 쿠팡의 계정 정보에 무단 접근이 발생한 건 지난...
기사 본문
쿠팡에서 고객 4500여명의 이름과 이메일 등 개인정보가 노출되는 사고가 발생했다. 쿠팡은 20일 고객들에게 '18일 고객 개인정보가 비인가 조회된 것으로 확인됐다'며 '조회된 정보는 이름, 이메일 주소, 배송지 주소록(전화번호·주소), 최근 5건의 주문 정보로 확인했다'고 공지했다. 사진은 21일 서울 시내 쿠팡 차량 차고지. 연합뉴스 쿠팡이 고객 4500여명의 개인정보가 유출된 침해사고가 발생하고도 열흘 넘게 이를 알아채지 못한 것으로 드러났다. 21일 연합뉴스 등에 따르면 국회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장 최민희 의원실이 한국인터넷진흥원(KISA)으로부터 제출받은 침해사고 신고서에서 쿠팡은 지난 6일 오후 6시 38분 자사 계정 정보에 대한 무단 접근이 발생했다고 보고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침해 사실을 인지한 시점은 12일이 지난 18일 오후 10시 52분으로 기록돼 있다. 쿠팡은 신고서에 "유효한 인증 없이 4536개의 계정 프로필에 접근한 기록이 발견됐다"며 "초기 조사 ...
기사 본문
쿠팡 "서명된 액세스 토큰 악용해 접근" 쿠팡서 고객 4천500여명 정보 노출…정부에 신고 (서울=연합뉴스) 한종찬 기자 = 쿠팡에서 고객 4천500여명의 이름과 이메일 등 개인정보가 노출되는 사고가 발생했다. 쿠팡은 20일 고객들에게 "18일 고객 개인정보가 비인가 조회된 것으로 확인됐다"며 "조회된 정보는 이름, 이메일 주소, 배송지 주소록(전화번호·주소), 최근 5건의 주문 정보로 확인했다"고 공지했다. 사진은 21일 서울 시내 쿠팡 차량 차고지. 2025.11.21 saba@yna.co.kr (서울=연합뉴스) 박형빈 기자 = 쿠팡이 고객 4천500여명의 개인정보가 유출된 침해사고가 발생하고도 열흘 넘게 이를 알아채지 못한 것으로 드러났다. 21일 국회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장 최민희 의원실이 한국인터넷진흥원(KISA)으로부터 제출받은 침해사고 신고서에 따르면 쿠팡은 지난 6일 오후 6시 38분 자사 계정 정보에 대한 무단 접근이 발생했다고 보고했다. 그러나 침해 사실을 인지한...
기사 본문
11월 6일 침해·18일 파악… 고객 통지는 20일에야 이뤄져 21일 서울 시내 쿠팡 차량 차고지. 연합뉴스 국내 이커머스 기업 쿠팡이 고객 4500여명의 개인정보가 유출되는 침해사고가 발생하고도 열흘 넘게 이를 인지하지 못한 것으로 확인됐다. 21일 국회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장 최민희 의원실이 한국인터넷진흥원(KISA)으로부터 제출받은 침해사고 신고서에 따르면, 쿠팡은 지난 6일 오후 6시 38분 자사 계정 정보에 대한 무단 접근이 발생했다고 신고했다. 그러나 쿠팡이 침해 사실을 실제로 파악한 시점은 12일이 지난 18일 오후 10시 52분으로 기록돼 있다. 쿠팡은 이튿날인 20일 피해 고객에게 "11월 18일 고객님의 개인정보가 비인가 조회된 것으로 확인됐다"고 문자메시지를 보내 유출 사실을 통지했다. 이 때문에 쿠팡이 침해사고를 장기간 인지하지 못했을 뿐 아니라, 고객에게 정확한 유출 발생 시점을 알리지 않은 것 아니냐는 비판이 제기된다. 현행 정보통신망법은 사업자가 침해사고...
기사 본문
[서울=뉴시스] 이영환 기자 = 21일 오전 서울 송파구 쿠팡 본사에 쿠팡 로고가 보이고 있다. 쿠팡은 지난 20일 고객을 대상으로 "제3자가 비인가 접근을 통해 4500여명 고객 계정의 배송 정보(성명·이메일·전화번호·주소), 최근 5건 주문 이력을 조회한 것을 지난 18일 확인했다"고 밝혔다. 2025.11.21. 20hwan@newsis.com /사진=이영환 쿠팡에서 고객 4500여 명의 이름과 전화번호 등 개인정보가 노출되는 사고가 발생해 개인정보보호위원회가 조사에 나섰다. 쿠팡은 고객 민원 접수로 개인정보 유출 조사에 나섰으며 실제 침해 사고 발생 시점부터 사고 인지 시점까지 상당 기간의 공백이 발생한 것으로 나타났다. 21일 김남근 더불어민주당 의원실에 따르면 쿠팡은 지난 16일 밤 10시쯤 개인정보가 노출됐다는 고객 민원을 접수한 것으로 확인됐다. 이후 쿠팡은 내부 대응팀 검증을 거쳐 지난 18일 밤 개인정보 노출 사실을 최종 확인했다. 쿠팡은 제3자가 사전에 획득한...
기사 본문
▲쿠팡서 고객 4,500여명 정보 노출…정부에 신고 [연합뉴스] 쿠팡이 고객 4,500여명의 개인정보가 유출된 침해사고가 발생하고도 열흘 넘게 이를 알아채지 못한 것으로 드러났습니다. 21일 국회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장 최민희 의원실이 한국인터넷진흥원(KISA)으로부터 제출받은 침해사고 신고서에 따르면 쿠팡은 지난 6일 오후 6시 38분 자사 계정 정보에 대한 무단 접근이 발생했다고 보고했습니다. 그러나 침해 사실을 인지한 시점은 12일이 지난 18일 오후 10시 52분으로 기록돼 있습니다. 앞서 쿠팡은 전날 피해 고객들에게 "11월 18일, 고객님의 개인정보가 비인가 조회된 것으로 확인됐다"고 문자메시지를 보내 노출 사실을 알렸습니다. 이에 쿠팡이 침해를 당하고도 열흘 넘게 이를 파악하지 못했을 뿐 아니라 고객에게도 정확한 유출 시점을 제대로 알리지 않았다는 비판이 나옵니다. 정보통신망법은 사업자가 침해사고를 알게 된 때부터 24시간 이내 당국에 신고하도록 규정합니다. 쿠팡은 이...
기사 본문
쿠팡이 고객 4500여 명의 개인정보 유출 사고가 발생하고도 열흘 넘게 이를 알아채지 못한 것으로 드러났습니다. 오늘(21일) 국회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장 최민희 의원실이 한국인터넷진흥원(KISA)으로부터 제출받은 침해사고 신고서에 따르면 쿠팡은 지난 6일 오후 6시 38분쯤 자사 계정 정보에 대한 무단 접근이 발생했다고 보고했습니다. 그러나 침해 사실을 인지한 시점은 12일이 지난 18일 오후 10시 52분이었습니다. 앞서 쿠팡은 어제(20일) 피해 고객들에게 "11월 18일 고객님의 개인정보가 비인가 조회된 것으로 확인됐다"고 문자메시지를 보내 노출 사실을 알렸습니다. 정보통신망법은 사업자가 침해사고를 알게 된 때부터 24시간 이내 당국에 신고하도록 규정합니다. 쿠팡은 이튿날 오후 9시 35분 신고해 기한을 넘기지는 않았습니다. 한편 쿠팡은 신고서에 "유효한 인증 없이 4536개의 계정 프로필에 접근한 기록이 발견됐다"며 "초기 조사 결과 서명된 액세스 토큰을 악용해 접근한 것...