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트코인 매수' 외치던 부자아빠 저자...시세 하락에 매도
관련 기사 목록 4개
기사 본문
로버트 기요사키, 225만 달러 규모 비트코인 매도 '부자 아빠 가난한 아빠'로 잘 알려진 로버트 기요사키가 비트코인 보유분을 매도한 사실이 확인됐다. 불과 며칠 전까지 “비트코인은 2026년 25만 달러까지 간다”며 적극적 매수를 촉구하던 그가 시장 조정이 이어지는 시점에 되레 매도에 나선 것이다. 로버트 기요사키는 22일 자신의 소셜미디어를 통해 약 225만 달러 규모의 비트코인을 매도했다고 밝혔다. 본인이 직접 밝힌 바에 따르면 매입가는 약 6천 달러, 매도가는 약 9만 달러 수준이다. 로버트 기요사키의 이번 비트코인 매도는 규모를 떠나서 그가 최근까지 내놓은 강한 낙관론과 뚜렷한 대비를 이룬다는 점에서 주목 받고 있다. 비트코인 매도 소식을 전한 로버트 기요사키(사진=로버트 기요사키 X 캡처) 그는 이달 초 “충격적인 하락이 올 것”이라면서도 “그렇기 때문에 나는 팔지 않고 산다”고 강조했고, 비트코인 목표가를 2026년 25만 달러로 제시한 바 있다. 또한 “비트코인은 진정...
기사 본문
[주간코인전망] 챗GPT로 생성한 그림. 비트코인이 8만4000달러대로 후퇴하며 일주일 새 두자릿수 하락률을 기록했다. 미국의 기준금리 인하 가능성이 옅어지면서 가상자산 투자심리가 얼어붙고 있다. 21일 오후 5시25분(한국시간) 글로벌 가상자산 시황플랫폼 코인마켓캡에서 비트코인 가격은 전주 대비 13.1% 내린 8만4382달러로 집계됐다. 국내 거래가는 업비트 기준 1억2651만원으로 바이낸스 대비 1.57% 비싼 김치프리미엄을 형성했다. 같은 시각 이더리움은 전주 대비 14.4% 내린 2744달러에 거래됐다. 코인마켓캡 '공포와 탐욕' 지수는 100점 만점에 11점으로 집계돼 '극도의 공포' 단계를 가리켰다. 이 지수는 0에 가까울수록 투자자들이 투매에 나설 수 있음을 의미한다. 알트코인 시장은 적신호가 켜졌다. 쟁글 리서치에 따르면 시가총액 상위 100종 가운데 한 주간 가격 상승을 기록한 가상자산은 이날 오전 10시 기준 9종에 그쳤다. 12월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에서...
기사 본문
[서울=뉴시스] '부자아빠'로 알려진 로버트 기요사키 (사진=인스타그램) [서울=뉴시스]김혜경 기자 = 비트코인이 연일 약세를 보이는 가운데 베스트셀러 '부자 아빠 가난한 아빠'의 저자로 유명한 로버트 기요사키가 최근 보유 비트코인 일부를 매도했다. 기요사키는 22일(현지시간) 자신의 소셜미디어(SNS) 엑스(X)를 통해 약 225만달러(약 33억원) 규모의 비트코인을 처분했다고 밝혔다. 그는 비트코인 매입 가격은 약 6000달러(약 880만원), 매도가는 약 9만달러(약 1억 3000만원)수준이었다고 밝혔다. 그는 비트코인을 팔아 확보한 현금으로 수술 센터 두 곳을 매입하고, 옥외광고(빌보드) 사업에도 투자하고 있다고 했다. 이어 "약 225만 달러어치 비트코인을 현금화해 투자한 이 수술 센터와 옥외광고 사업이 내년 2월까지 월 약 2만7500달러(약 4000만원)의 현금흐름(소득)을 만들어낼 것으로 보인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나는 여전히 비트코인에 대해 매우 낙관적이며, 앞...
기사 본문
가상자산 대장주 비트코인이 2022년 FTX 몰락 사태 이후 최악의 월간 성적을 기록할 것으로 전망된다. /사진=픽사베이 21일(현지시간) 블룸버그통신에 따르면 이날 한때 비트코인은 24시간 전 대비 7.6% 하락한 8만0553달러까지 떨어졌다가 이후 일부 낙폭을 만회했다. 블룸버그 분석에 따르면 비트코인은 이날 11일 연속 하락세를 이어갔는데 이는 2010년 이후 최장기간이다. 데이터제공업체 코인게코에 따르면 이날 전체 가상자산 시가총액은 4월 이후 처음으로 3조달러 아래로 떨어졌다. 이달 들어 비트코인 가치는 약 4분의1이 감소했는데 블룸버그에 따르면 이는 2022년 6월 이후 가장 큰 규모다. 당시 테라폼랩스의 테라USD 스테이블코인이 붕괴했고 후속 여파로 가상자산 거래소 FTX가 몰락했다. 비트코인은 10월 초의 사상 최고치에서 30% 이상 하락했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행정부는 가상자산에 친화적인 정책을 도입하고 기관 투자자들이 대규모 자금 투입에도 불구하고 지난 달 발생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