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하선-서경덕, '김치의 날' 맞아 '김치의 미래' 영상 제작

2025년 11월 22일 수집된 기사: 4개 전체 기사: 26개
수집 시간: 2025-11-22 04:46:23
네이버에서 보기

관련 기사 목록 4개

아시아경제 2025-11-21 10:14:51 oid: 277, aid: 0005682716
기사 본문

'과학의 힘, 김치의 미래를 열다' 영상 일부. 서경덕 교수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산하 세계김치연구소 글로벌 홍보대사인 서경덕 성신여대 교수와 배우 박하선이 의기투합해 영상 '과학의 힘, 김치의 미래를 열다'를 공개했다. 이번 영상은 22일 '김치의 날'을 맞아 세계김치연구소와 공동 제작했으며, 4분 30초 분량의 한국어 버전을 먼저 공개한 후 차츰 다국어로 확대할 예정이다. 영상의 주요 내용은 김치는 이제 단순한 발효식품을 넘어 바이오, 의료, 화장품 등 다양한 산업과 접목될 미래 핵심 자원으로 거듭나고 있다는 점을 소개하고 있다. '과학의 힘, 김치의 미래를 열다' 영상 일부. 서경덕 교수 특히 글로벌 시대에 한국 김치가 종주국의 위치를 이어 나가기 위해서는 전통과 첨단 과학기술을 융합해 나가야 한다는 점을 강조하고 있다. 이번 일을 기획한 서 교수는 "김치가 한국의 대표 음식을 넘어 항비만, 항암 등 다양한 건강 기능성으로 '글로벌 슈퍼푸드'로 인정받는 다는 점을 알리고 싶었다"고...

전체 기사 읽기

중앙SUNDAY 2025-11-22 00:02:10 oid: 353, aid: 0000053734
기사 본문

━ 김치에 숨겨진 과학 해마다 11월부터 12월까진 집집마다 김장을 담기 위한 어머니들의 손길이 분주해진다. ‘김장 담기’는 한국의 대표 전통문화로서 2013년 유네스코 인류무형문화유산에 등재된 바 있다. 전 세계인이 K김치를 발견하는 중이다. 특히 11월 22일은 ‘김치의 날’로 재료 하나하나(11)가 모여 22가지 이상의 효능을 만들어낸다는 의미를 갖고 있다. 어디선가 “만약에 김치가 없었더라면 무슨 맛으로 밥을 먹을까…김치 없인 못살아 정말 못살아~”라고 외치는 김치 주제가가 들리는 듯하다. 한국인의 밥상에서 이처럼 문화적으로 김치의 존재감은 독보적인데, 김치에 숨겨진 과학의 힘이 국내 연구진들에 의해 속속 밝혀지면서 김치 문화에 대한 자부심은 더욱 커지고 있다. 최근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산하 세계김치연구소는 주요 연구 성과들을 발표했다. 김치종균 개발 프로젝트를 통해서다. 김치종균이란 김치 발효를 촉진하고 품질을 균일하게 유지하기 위해 인위적으로 선별된 우수한 유산균이다. 우선...

전체 기사 읽기

서울경제 2025-11-20 18:16:08 oid: 011, aid: 0004558370
기사 본문

◆'김치명인' 이하연 봉우리영농조합법인 대표 사기로 김치공장 잃고도 20여년 연구 명인 타이틀 이어 '김치의 날'제정 주도 세계인의 음식···전통방식 전수 중요 입맛 안맞아도 '김치엔 젓갈' 가르쳐 젊은층 사먹는 것보다 안먹어 더 걱정 문화유산과 손맛의 기억 지키는 게 소명 김치 명인 이하연 봉우리영농조합법인 대표가 서울경제신문과의 인터뷰에서 “김치는 과학이고 기본에 충실해야 한다”고 강조하고 있다. 권욱 기자 [서울경제] 김치가 세계인의 식탁에 오르는 시대다. 단순한 발효 음식에서 한국을 대표하는 문화유산이자 ‘K푸드’의 상징으로 자리 잡기까지 그 저변에는 오랜 세월을 김치 연구에 바친 장인이 있다. 바로 2014년 농림축산식품부로부터 ‘김치 명인(대한민국식품명인 제58호)’으로 지정된 이하연 봉우리영농조합법인 대표다. 서울 역삼동과 을지로에서 한정식당 ‘봉우리’를 운영하는 그는 사기 피해로 김치 공장을 잃고도 다시 땅을 파 항아리를 묻으며 김치 연구의 길을 걸었다. 김치의 날(1...

전체 기사 읽기

머니투데이 2025-11-21 16:05:02 oid: 008, aid: 0005281571
기사 본문

제6회 김치의 날 기념식 개최 농림축산식품부는 21일 서울 종로구 국립민속박물관에서 제6회 김치의 날 기념식을 개최했다고 밝혔다. 식품명인 제38호 유정임(70) 씨가 포기김치를 담그는 행사를 진행한 가운데 송미령 농식품부 장관과 홍문표 농수산식품유통공사(aT) 사장, 김치은 대한민김치협회회장, 자원봉사자 50명이 시연에 함께했다. /사진=이수현 기자 올해로 여섯 번째를 맞이한 '김치의 날'을 기념하는 행사가 성황리에 열렸다. K-푸드의 전 세계적인 열풍 속에서 우리 전통식품인 김치의 글로벌 경쟁력을 재확인한 자리였다. 농림축산식품부는 21일 서울 종로구 국립민속박물관에서 '제6회 김치의 날 기념식'을 개최했다고 밝혔다. 김치의 날(11월 22일)은 지난 2020년 식품 분야 최초로 제정된 법정기념일이다. 한국의 전통 발효식품인 김치의 우수성을 알리고 김치산업의 발전을 도모한다는 취지로 열린다. 올해 기념식엔 정부부처 관계자와 김치·식품업계 종사자 등 200여 명이 참석했다. 송미령...

전체 기사 읽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