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도체·車가 이끈 수출 증가세…이달 20일까지 8.2%↑(상보)
관련 기사 목록 8개
기사 본문
관세청, 11월 1~20일 수출입 현황 이달 20일까지 수출이 8%가 넘는 증가세를 보였다. 한국 수출의 주력 품목인 반도체와 자동차가 전체 수출 증가세를 이끌었다. 관세청은 11월 1~20일 수출액이 385억달러로 전년 동기 대비 8.2% 늘었다고 21일 밝혔다. 경기 평택항에 컨테이너가 쌓여 있다. 강진형 기자 조업일수는 15.5일로 지난해 같은 기간과 같았다. 이를 고려한 일평균 수출액은 24억8000만달러로 8.2% 증가했다. 품목별로는 전년 동기 대비 반도체(26.5%)와 승용차(22.9%), 선박(2.3%) 등이 증가했고 석유제품(-19.3%)과 자동차 부품(-8.1%) 등은 감소했다. 반도체 수출 비중은 25.3%로 3.7%포인트 커졌다. 양대 수출국인 중국(10.2%)과 미국(5.7%)으로의 수출이 모두 증가했다. 유럽연합(EU·4.9%)과 말레이시아(29.3%) 등도 수출이 늘었다. 반면 베트남(-2.5%)과 일본(-3.9%), 인도(-6.5%) 등은 줄었다. 이달 ...
기사 본문
반도체 비중, 전체 수출의 25.3%...車 22.9%↑·철강 9.2%↓ 대중국 수출 10.2%↑, 전체의 21.4%...무역수지, 24억달러 흑자 경기도 평택항에 수출용 자동차가 세워져 있는 모습. [연합] [헤럴드경제=배문숙 기자]11월 1~20일 우리나라 수출이 반도체와 승용차 등 주력 수출 품목의 호전으로 전년 동기 대비 8% 넘게 증가했다. 감소세를 이어오던 미국 수출도 전년 동기 대비 5.7% 늘었다. 21일 관세청에 따르면 이달 1~20일 수출액은 385억달러(통관 잠정치)로 작년 같은 기간보다 8.2% 증가했다. 이 기간 조업일수는 15.5일로 지난해와 동일하며, 일평균 수출액은 24억8000만달러로 역시 8.2% 늘었다. 이로써 우리 수출은 지난 6월부터 이달까지 6개월 연속 플러스 행진을 이어갈 것으로 전망된다. 품목별로는 주력 수출 상품인 반도체(26.5%)와 승용차(22.9%)가 20% 넘게 늘며 수출 증가를 이끌었다. 특히 반도체는 수출 비중이 1년 전 약 5...
기사 본문
경기도 평택항에 수출용 자동차가 세워져 있는 모습. 연합뉴스 한국의 수출이 오름세를 이어가며 올해 연간 수출액 7000억 달러 돌파가 가시권에 들어섰다. 미국의 관세 정책 등 대외 통상 환경이 불확실한 가운데, 반도체와 선박 등 핵심 수출 품목이 호조를 보이며 사상 최대 실적 굳히기에 들어간 모습이다. 관세청이 21일 발표한 ‘11월 1~20일 수출입 현황(잠정)’에 따르면 이 기간 수출액은 385억 달러로, 지난해 같은 기간(356억 달러)보다 8.2% 증가했다. 조업일수(15.5일)가 지난해와 동일해 일평균 수출액 역시 같은 비율로 증가했다. 품목별로는 반도체(26.5%)와 승용차(22.9%)가 20% 이상 늘며 수출 증가를 견인했다. 선박 수출도 2.3% 증가했다. 특히 반도체 수출은 이 기간 98억 달러를 기록하며 전체 수출의 25.3%를 차지했다. 1년 전보다 비중이 3.7%포인트 확대된 것이다. 인공지능(AI)과 데이터센터 투자 확대로 고부가 메모리 수요가 빠르게 늘고 있...
기사 본문
관세청, 11월 1~20일 수출입 집계 반도체·승용차 20%대 증가하며 실적 견인 대미수출 5.7% 늘며 관세 불확실성 덜어내 [이데일리 정두리 기자] 이달 중순까지 반도체와 자동차, 선박 등의 수출 호조세로 수출액이 전년 동기보다 8% 이상 늘었다. 한미간 관세협상이 마무리된 가운데 대미 수출도 확대 기조를 보이고 있다. 이 같은 추세라면 6개월 연속 플러스 흐름이 이어질 전망이다. 사진=연합뉴스 관세청은 이달 1~20일 수출액이 385억달러(통관기준 잠정치)로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8.2% 증가했다고 21일 밝혔다. 같은 기간 조업일수를 고려한 하루평균 수출액은 22억 9000만달러에서 24억 8000만달러로 전년대비 8.2% 늘었다. 조업일수는 15.5일로 지난해와 동일하다. 품목별로 보면 반도체가 호황을 이어간 가운데, 승용차와 선박 등의 수출이 늘어났다. 반도체 수출은 97억 5200만달러로 전년대비 26.5% 증가했다. 이는 전체 수출 비중의 25.3%로, 전년보다 3.7...
기사 본문
관세청 집계…일평균 수출액도 증가세 美 관세 영향에도 대미·대중 수출 늘어 반도체는 27% 증가…무역수지도 흑자 부산항 신선대부두에 수출용 컨테이너가 가득 쌓여 있는 모습. 사진은 기사 내용과 직접적인 관련이 없음. 연합뉴스 이달 1~20일 수출액이 1년 전 같은 기간보다 8%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반도체와 승용차 등 주력 업종이 호조세를 보인 데 따른 결과다. 관세청은 이달 들어 20일까지 수출액(통관 기준 잠정치)이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8.2% 증가한 384억7300만 달러로 집계됐다고 21일 밝혔다. 조업일수를 고려한 일평균 수출액도 8.2% 늘었다. 이 기간 조업일수는 15.5일로 지난해(15.5일)와 같았다. 월간 기준 국내 수출액은 지난 2월(1.0%) 3월(3.1%) 4월(3.7%) 연속으로 증가세(전년 동월 대비)를 보이다 5월(-1.3%) 마이너스로 돌아선 바 있다. 하지만 6월(4.3%)에는 다시 늘었고 7월(5.9%) 8월(1.3%) 9월(12.7%) 10월...
기사 본문
1~20일 대미 수출 67.8억달러…車 파업·폭설 기저효과로 5.7% 증가 반도체·車 수출↑, 석유제품·차부품↓…증가세 지속 여부 불확실 경기 평택시 포승읍 평택항에 수출용 차량이 세워져 있다. 2025.11.14/뉴스1 ⓒ News1 김영운 기자 (세종=뉴스1) 김승준 박찬수 기자 = 11월 1~20일 대미 수출액이 67억 7600만 달러로 전년 동기 대비 5.7% 증가하며 깜짝 반등했다. 지난해 11월 자동차 생산 차질로 대미 수출이 줄었던 기저효과로 승용차 수출이 크게 늘었지만, 전체 11월 수출 증가세가 이어질지는 불확실하다. 21일 관세청에 따르면 1~20일 수출은 전년 동기 대비 8.2% 증가한 385억 달러를 기록했다. 조업일수(15.5일)를 고려한 일평균수출액은 24억 8000만 달러로 전년동기(15.5일)대비 8.2% 증가했다. 품목별로 보면 반도체(26.5%), 승용차(22.9%), 선박(2.3%) 등은 증가했지만, 석유제품(-19.3%), 자동차 부품(-8.1%)...
기사 본문
관세청, 11월1~20일 수출입 현황 반도체 26.5%·승용차 22.9%↑ 이달 들어 20일까지의 수출이 주력 품목인 반도체와 자동차 호조에 8%가 넘는 증가세를 보였다. 정부는 11월 전체적으로도 이 같은 증가세가 이질 것으로 전망했다. 11월에도 수출이 플러스를 보이는 경우 한국 수출은 6개월 연속 증가하게 된다. 관세청은 11월1~20일 수출액이 385억달러로 전년 동기 대비 8.2% 늘었다고 21일 밝혔다. 조업일수는 15.5일로 지난해 같은 기간과 같았다. 이를 고려한 일평균 수출액은 24억8000만달러로 역시 8.2% 증가했다. 경기 평택항에 컨테이너가 샇여 있다. 강진형 기자 품목별로는 전년 동기 대비 반도체(26.5%)와 승용차(22.9%), 선박(2.3%) 등이 증가했다. 석유제품(-19.3%)과 자동차 부품(-8.1%) 등은 감소했다. 반도체 수출 비중은 25.3%로 3.7%포인트 커졌다. 양대 수출국인 중국(10.2%)과 미국(5.7%)으로의 수출이 모두 증가했다...
기사 본문
반도체 26.5%, 승용차 22.9% 증가…일평균수출액 8.2% 늘어 수입 361억달러로 3.7%↑…기계류 13.6%↑, 무역 흑자 24억 달러 10월 기준 5개월 연속 수출 증가세가 11월 하순까지 이어지고 있다.(자료사진) /뉴스1 (대전ㆍ충남=뉴스1) 박찬수 기자 = 10월 기준 5개월 연속 수출 증가세가 11월 하순까지 이어지고 있다. 대 미국 수출도 증가한 가운데 반도체, 승용차, 선박 수출이 호조를 보였다. 수입도 증가한 가운데 10월 기준 9개월 연속 무역수지 흑자 기조가 유지됐다. 21일 관세청에 따르면 1~20일 수출은 전년동기대비 8.2% 증가한 385억 달러를 기록했다. 전년동기대비 반도체(26.5%), 승용차(22.9%), 선박(2.3%) 등이 증가한 가운데 석유제품(-19.3%), 자동차 부품(-8.1%)은 줄었다. 미국(5.7%), 중국(10.2%), 유럽연합(4.9%) 등으로의 수출이 증가했지만 베트남(-2.5%), 일본(-3.9%)은 감소했다. 조업일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