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년 취업 대책 경제성장전략에 담아 발표”

2025년 11월 22일 수집된 기사: 4개 전체 기사: 15개
수집 시간: 2025-11-22 02:26:37
네이버에서 보기

관련 기사 목록 4개

서울신문 2025-11-21 15:08:11 oid: 081, aid: 0003594248
기사 본문

기재부, ‘일자리 전담반 TF’ 개최 이형일 1차관 “청년 고용책 마련” 이형일 1차관 - 이형일 기획재정부 1차관이 21일 정부서울청사에서 ‘2025년 11월 일자리 전담반 회의’를 주재하고 있다. 2025. 11. 21. 기획재정부 제공 이형일 기획재정부 1차관은 21일 “ 기업·관계부처 등과 함께 청년 취업에 실질적으로 도움이 되는 정책 과제를 발굴해 경제성장전략을 통해 구체화하겠다”고 밝혔다. 이 차관은 이날 오전 정부서울청사에서 주재한 관계부처 합동 ‘일자리 전담반’(TF) 회의에서 “ 쉬었음·구직 청년에 대한 맞춤형 고용서비스를 강화하겠다” 며 이렇게 말했다. TF는 산업·인구구조 변화, 경기적 요인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하면서 청년층의 고용 부진이 장기화하고 있다고 진단했다. 이 차관은 “인공지능(AI)·초혁신 성장을 통해 신산업 분야에서 청년이 선호하는 일자리를 창출하고, AI 교육 또는 직업훈련을 대폭 확대해 청년의 취업 역량 향상을 뒷받침하겠다”면서 “AI 분야 벤처...

전체 기사 읽기

뉴시스 2025-11-21 13:30:00 oid: 003, aid: 0013614352
기사 본문

이형일 기재부 1차관, 일자리TF 회의 주재 고용률 역대 최고에도 제조·건설업·청년 고용 부진 지속 "산업·인구구조 변화, 기업 채용 관행 등으로 어려움 지속" "청년 취업에 실질적으로 도움이 되는 정책과제 찾을 것" 이형일 기획재정부 1차관이 21일 정부서울청사에서 관계부처 합동 일자리 전담반(TF) 회의를 주재하고 있다.(사진 : 기재부 제공) 2025.11.21. *재판매 및 DB 금지 [세종=뉴시스] 안호균 기자 = 정부가 청년층의 취업 역량 향상을 위해 인공지능(AI) 교육과 직업훈련을 대폭 확대하고 조만간 발표할 2026년 경제성장전략에 청년들의 취업에 실질적으로 도움이 될 수 있는 방안을 담을 계획이다. 정부는 21일 정부서울청사에서 이형일 기획재정부 1차관 주재로 관계부처 합동 일자리 전담반(TF) 회의를 열어 최근 고용상황을 점검하고 청년 고용정책 추진 현황과 향후 방안을 논의했다. 국가데이터처의 10월 고용동향에 따르면, 최근 고용 지표는 내수 회복 등의 영향으로 ...

전체 기사 읽기

데일리안 2025-11-21 15:29:13 oid: 119, aid: 0003028178
기사 본문

내년 경제성장전략에 청년고용 대책 포함 이형일 기획재정부 1차관. ⓒ뉴시스 [데일리안 = 김성웅 기자] 청년층 고용 부진이 장기화되는 가운데, 정부가 AI·신산업 분야 중심의 맞춤형 직업훈련을 대폭 확대하고 2026년 경제성장전략에 청년 취업을 실질적으로 돕는 방안을 담을 계획이라고 밝혔다. 정부는 21일 정부서울청사에서 이형일 기획재정부 1차관 주재로 관계부처 합동 일자리 전담반(TF) 회의를 열었다. 최근 청년 고용 상황과 고용정책 추진 현황, 직접일자리 사업 추진 상황 등을 논의했다. 국가데이터처가 지난 12일 공개한 10월 고용동향에 따르면 내수 회복의 영향으로 서비스업 일자리가 늘면서 15세 이상 고용률은 63.4%로 역대 최고치를 기록했다. 한국의 15~64세 고용률도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평균과의 격차가 크게 줄었고, 계절조정 실업률은 8~9월 연속 2%대 중반으로 OECD 회원국 가운데 가장 낮았다. 그러나 제조업·건설업에서는 고용 부진이 이어지고, 청년층(15~...

전체 기사 읽기

헤럴드경제 2025-11-21 13:31:10 oid: 016, aid: 0002561260
기사 본문

쉬었음 청년 40만명대 고착…AI·직업훈련·일경험 중심 ‘정밀 대응’ 가동 청년층 취업자가 16만명 이상 줄고, 고용률도 18개월째 떨어진 것으로 나타난 12일 서울의 한 대학교에서 학생들이 취업 게시판을 살펴보고 있다. [연합] [헤럴드경제=김용훈 기자] 청년층 고용 부진이 장기화하면서 정부가 AI·신산업과 연계한 청년 맞춤형 고용대책을 강화한다. 서비스업 중심의 고용 증가로 전체 고용률은 견조하지만, 쉬었음 상태 청년이 40만명대를 유지하는 등 취약계층의 고용 애로가 구조화되고 있다는 진단에서다. 기획재정부는 21일 이형일 기획재정부 1차관 주재로 정부서울청사에서 ‘일자리 전담반(TF)’ 회의를 열고 ▷최근 고용동향 점검 ▷청년 고용정책 추진현황 ▷맞춤형 고용서비스 강화 방안 등을 논의했다. 국가데이터처의 10월 고용동향에 따르면 10월 고용률(15세 이상)은 63.4%로 역대 최고치를 기록했다. 내수 회복이 이어지며 서비스업 중심의 고용 확대가 지속된 영향이다. 한국의 15~6...

전체 기사 읽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