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세 충격 딛고 대미 수출 5.7% 증가… 반도체·자동차가 견인
관련 기사 목록 4개
기사 본문
관세청, 11월 1~20일 수출입 현황 전체 수출 8.2% 증가하며 ‘호조세’ 반도체 26.5%· 승용자 22.9% 증가 경기 평택시 포승읍 평택항에 수출용 자동차가 늘어선 모습. 연합뉴스 11월 중순까지 대미 수출이 관세 충격을 딛고 5.7% 증가했다. 전체 수출도 8.2% 늘었다. 반도체와 승용차 수출이 20%대 증가율을 기록하며 수출 호조를 이끌었다. 21일 관세청에 따르면 이달 1일부터 20일까지 수출액은 385억 달러로 지난해보다 8.2% 증가했다. 지난해와 조업일 수가 15.5일로 같아, 조업일수를 고려한 일평균 수출액도 24억 8000만 달러를 기록하며 8.2% 상승했다. 반도체 26.5%, 승용차 22.9%씩 증가하며 전체 수출 증가를 이끌었다. 특히 인공지능(AI) 수요 등으로 인해 ‘슈퍼 사이클’에 접어든 반도체 수출이 전체 수출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25.3%로, 1년 전보다 3.7% 포인트 확대됐다. 선박 수출도 2.3% 늘었다. 반면 석유제품은 19.3%, 자동...
기사 본문
반도체 비중, 전체 수출의 25.3%...車 22.9%↑·철강 9.2%↓ 대중국 수출 10.2%↑, 전체의 21.4%...무역수지, 24억달러 흑자 경기도 평택항에 수출용 자동차가 세워져 있는 모습. [연합] [헤럴드경제=배문숙 기자]11월 1~20일 우리나라 수출이 반도체와 승용차 등 주력 수출 품목의 호전으로 전년 동기 대비 8% 넘게 증가했다. 감소세를 이어오던 미국 수출도 전년 동기 대비 5.7% 늘었다. 21일 관세청에 따르면 이달 1~20일 수출액은 385억달러(통관 잠정치)로 작년 같은 기간보다 8.2% 증가했다. 이 기간 조업일수는 15.5일로 지난해와 동일하며, 일평균 수출액은 24억8000만달러로 역시 8.2% 늘었다. 이로써 우리 수출은 지난 6월부터 이달까지 6개월 연속 플러스 행진을 이어갈 것으로 전망된다. 품목별로는 주력 수출 상품인 반도체(26.5%)와 승용차(22.9%)가 20% 넘게 늘며 수출 증가를 이끌었다. 특히 반도체는 수출 비중이 1년 전 약 5...
기사 본문
경기도 평택항에 수출용 자동차가 세워져 있는 모습. 연합뉴스 한국의 수출이 오름세를 이어가며 올해 연간 수출액 7000억 달러 돌파가 가시권에 들어섰다. 미국의 관세 정책 등 대외 통상 환경이 불확실한 가운데, 반도체와 선박 등 핵심 수출 품목이 호조를 보이며 사상 최대 실적 굳히기에 들어간 모습이다. 관세청이 21일 발표한 ‘11월 1~20일 수출입 현황(잠정)’에 따르면 이 기간 수출액은 385억 달러로, 지난해 같은 기간(356억 달러)보다 8.2% 증가했다. 조업일수(15.5일)가 지난해와 동일해 일평균 수출액 역시 같은 비율로 증가했다. 품목별로는 반도체(26.5%)와 승용차(22.9%)가 20% 이상 늘며 수출 증가를 견인했다. 선박 수출도 2.3% 증가했다. 특히 반도체 수출은 이 기간 98억 달러를 기록하며 전체 수출의 25.3%를 차지했다. 1년 전보다 비중이 3.7%포인트 확대된 것이다. 인공지능(AI)과 데이터센터 투자 확대로 고부가 메모리 수요가 빠르게 늘고 있...
기사 본문
관세청, 11월 1~20일 수출입 집계 반도체·승용차 20%대 증가하며 실적 견인 대미수출 5.7% 늘며 관세 불확실성 덜어내 [이데일리 정두리 기자] 이달 중순까지 반도체와 자동차, 선박 등의 수출 호조세로 수출액이 전년 동기보다 8% 이상 늘었다. 한미간 관세협상이 마무리된 가운데 대미 수출도 확대 기조를 보이고 있다. 이 같은 추세라면 6개월 연속 플러스 흐름이 이어질 전망이다. 사진=연합뉴스 관세청은 이달 1~20일 수출액이 385억달러(통관기준 잠정치)로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8.2% 증가했다고 21일 밝혔다. 같은 기간 조업일수를 고려한 하루평균 수출액은 22억 9000만달러에서 24억 8000만달러로 전년대비 8.2% 늘었다. 조업일수는 15.5일로 지난해와 동일하다. 품목별로 보면 반도체가 호황을 이어간 가운데, 승용차와 선박 등의 수출이 늘어났다. 반도체 수출은 97억 5200만달러로 전년대비 26.5% 증가했다. 이는 전체 수출 비중의 25.3%로, 전년보다 3.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