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NK금융그룹, 4년 연속 한국ESG기준원 ESG 통합등급 'A'
관련 기사 목록 8개
기사 본문
사회 부문 3년 연속 A+, 환경 부문 2년 연속 A+ BNK금융지주 본사. BNK금융그룹 제공 BNK금융그룹은 한국ESG기준원(KCGS)이 발표한 'KCGS ESG 평가 및 등급 공표'에서 4년 연속 ESG(환경·사회·지배구조) 통합등급 A를 획득했다고 21일 밝혔다. 사회(S) 부문에서는 3년 연속 A+ 등급을 획득했다. BNK금융그룹은 지역경제 활성화, 금융소비자 보호, 산업재해 예방 활동 강화 등 사회적 가치 창출 활동을 위해 다양한 활동을 펼쳐왔다. 특히 중소기업·소상공인 금융지원 확대, 취약계층 맞춤형 금융상품 제공, 사회적 약자를 위한 금융지원 등은 정부의 지역경제 활성화 및 포용 금융 확대 정책과 부합하는 대표적 성과로 평가 받고 있다. 또 올해 '부울경 지역형 생산적금융' 사업을 추진하면서 ING와 '글로벌 지속가능성 강화 및 선진 해양금융 협업을 위한 전략적 파트너십(MOU)'을 체결, 해상풍력·신재생에너지·선박금융 등 지역 주요 프로젝트에 지속가능 해양금융 비즈니...
기사 본문
사회 부문 3년 연속 A+ 획득 "지역형 생산·녹색금융 확대" BNK금융그룹(회장 빈대인)이 한국ESG기준원(KCGS) ESG 평가 종합등급 A를 받았다. BNK는 '2025년 KCGS ESG 평가 및 등급 공표'에서 ESG 통합등급 4년 연속 A를 획득했다고 21일 알렸다. 사회(S) 부문에서 3년 연속 A+ 등급을 획득한 것은 지역 기반 금융기관으로 BNK가 지속적으로 추진해 온 지역상생·포용금융 노력이 정부 정책 방향과 부합한 실질적인 성과로 인정받은 결과이다. BNK금융그룹은 지역경제 활성화, 금융소비자 보호, 산업재해 예방 활동 강화 등 사회적 가치 창출 활동을 위해 다양한 활동을 이어왔다. 중소기업·소상공인 금융지원 확대, 취약계층 맞춤형 금융상품 제공, 사회적 약자를 위한 금융지원 등은 정부의 지역경제 활성화 및 포용금융 확대 정책과 부합하는 대표적 성과로 평가된다. 올해 본격 추진 중인 '부울경 지역형 생산적금융' 사업은 지역 미래산업과 금융을 연결하는 ESG 비즈니스...
기사 본문
33개 회원사 중 15곳 BNK와 협업 뷰티·해양 데이터 기업 등 투자 성과 BNK금융그룹이 스타트업 육성 프로그램 ‘Storage B’ 회원사와 함께 부산 영도 스페이스 원지에서 멤버십 데이 네트워킹을 진행하고 있다. /BNK금융 제공 BNK금융그룹이 스타트업·핀테크와의 협업 생태계를 본격적으로 확장하고 있다. BNK금융(회장 빈대인)은 20일 Storage B 회원사를 부산으로 초청해 ‘멤버십 데이’ 네트워킹 행사를 열었다고 밝혔다. Storage B는 BNK금융그룹이 2023년부터 운영하는 스타트업·핀테크 육성 프로그램으로, 발굴부터 투자·비즈니스 연계까지 이어지는 ‘풀사이클 지원 모델’을 지향한다. BNK금융은 지난해 18개, 올해 15개 스타트업을 선발해 총 33개 회원사를 운영 중이며, 이 가운데 15개 기업은 BNK 계열사와 협업을 진행하고 있다. 특히 뷰티테크 기업 라이브엑스(LIVE X)와 해양 빅데이터 기업 맵시(MAPSEA) 2곳은 BNK벤처투자의 투자를 유치하는...
기사 본문
BNK금융그룹 [BNK금융그룹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부산=연합뉴스) 민영규 기자 = BNK금융그룹은 한국ESG기준원(KCGS)이 발표한 'KCGS ESG 평가 및 등급 공표'에서 4년 연속 ESG(환경·사회·지배구조) 통합등급 A를 획득했다고 21일 밝혔다. 특히 사회(S) 부문에서는 3년 연속 A+ 등급을 획득했다. BNK금융그룹은 올해 '부울경 지역형 생산적금융' 사업을 추진하면서 ING와 '글로벌 지속가능성 강화 및 선진 해양금융 협업을 위한 전략적 파트너십(MOU)'을 체결해 해상풍력·신재생에너지·선박금융 등 지역 주요 프로젝트에 지속가능 해양금융 비즈니스를 발굴할 계획이다. BNK금융그룹은 환경(E) 부문에서도 2년 연속 A+ 등급을 획득했다. 녹색금융 확대 등 기후변화 대응 체계를 강화하고, 자연자본 리스크 관리체계를 단계적으로 도입해 기후·환경 리스크 평가 역량을 키운 점이 높이 평가됐다. 지배구조(G) 부문에서 BNK금융그룹은 이사회 중심의 투명한 의사결정 ...
기사 본문
BNK금융지주가 한국ESG기준원(Korea Institute of Corporate Governance and Sustainability·KCGS)에서 발표한 '2025년 KCGS ESG 평가 및 등급 공표'에서 ESG 통합등급 4년 연속 A를 획득했다고 21일 밝혔다. 특히 사회(S) 부문에서 3년 연속 A+ 등급을 획득한 것은 지역 기반 금융기관으로서 지속적으로 추진해 온 지역상생·포용금융 노력이 정부 정책 방향과 부합한 실질적인 성과로 인정받은 결과라고 BNK금융은 설명했다. 환경(E) 부문에서도 2년 연속 A+ 등급을 획득했다. BNK금융은 금융배출량 측정 시스템과 ESG데이터 플랫폼을 고도화, SBTi 기반 감축목표 설정, 녹색금융 확대 등 기후변화 대응 체계를 강화해 왔다. 또한 TNFD 기반의 자연자본 리스크 관리체계를 단계적으로 도입하며 기후·환경 리스크 평가 역량을 제고하고 있다. 지배구조(G) 부문 역시 이사회 중심의 투명한 의사결정 체계 유지, 내부통제·준법경영관...
기사 본문
BNK금융 BNK금융그룹(회장 빈대인)은 한국ESG기준원(KCGS)에서 발표한 '2025년 KCGS ESG 평가 및 등급 공표'에서 환경·사회·지배구조(ESG) 통합등급 4년 연속 A를 획득했다고 21일 밝혔다. 특히 사회(S) 부문에서 3년 연속 A+ 등급을 획득한 것은 지역 기반 금융기관으로서 BNK가 지속적으로 추진해 온 지역상생·포용금융 노력이 정부 정책 방향과 부합한 실질적인 성과로 인정받았다는 설명이다. 환경(E) 부문에서도 2년 연속 A+ 등급을 획득했다. BNK금융그룹은 금융배출량 측정 시스템과 ESG데이터 플랫폼을 고도화, SBTi 기반 감축목표 설정, 녹색금융 확대 등 기후변화 대응 체계를 강화해 왔다. 지배구조(G) 부문 역시 이사회 중심의 투명한 의사결정 체계 유지, 내부통제·준법경영관리 강화, 국제 기준에 부합하는 지속가능경영 체계 고도화를 추진하면서 A등급을 유지했다. BNK금융지주 관계자는 “사회 부문 3년 연속 A+ 등급은 금융권 최고 수준의 평가 등급으...
기사 본문
혁신 공간 ‘스페이스 원지’서 네트워킹·협업 강화… 핀테크 산업 발전 기여 BNK금융그룹(회장 빈대인)은 20일 스타트업과 핀테크 육성 프로그램인 'Storage B' 회원사를 부산으로 초청해 멤버십 데이 행사를 진행했다. Storage B는 스타트업과 핀테크 기업을 발굴하고 육성하며 협업과 투자 기회를 제공함으로써 BNK금융그룹의 혁신 사업모델과 신규 수익원을 창출하고, 국내 핀테크 산업 발전에 기여하기 위한 프로그램이다. BNK금융그룹이 부산서 스타트업·핀테크 회원사 초청 ‘Storage B 멤버십 데이’를 개최하고 기념촬영하고 있다. BNK금융 제공 이 행사에는 부산을 비롯한 수도권 지역의 Storage B 회원사와 BNK금융지주·계열사 임직원이 함께 참여해 네트워킹을 진행했다. 행사는 부산 영도 연안에 위치한 '스페이스 원지'에서 열려, 100년이 넘은 항만창고를 개조한 이 공간은 부산의 근대 역사와 혁신의 의미를 동시에 담아 프로그램 참여 스타트업과 잘 어울리는 장소로 평가...
기사 본문
20일 부산 영도 복합문화공간 '스페이스 원지'에서 열린 멤버십 데이 행사에서 참석자들이 단체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BNK금융그룹 제공 BNK금융그룹은 20일 스타트업, 핀테크 육성 프로그램인 '스토리지 B(Storage B)' 회원사를 부산으로 초청, 멤버십 데이 행사를 진행했다고 밝혔다. Storage B는 스타트업, 핀테크에 대한 발굴, 육성, 협업, 투자를 통해 BNK금융그룹의 혁신 사업모델 및 신규 수익원을 창출하고 국내 핀테크 산업발전에 기여하기 위한 일환으로 BNK 금융그룹이 운영하는 스타트업, 핀테크 육성 프로그램이다. Storage B 회원사는 부산 지역을 포함한 수도권 지역까지 다양하게 분포하고 있다. 이날 행사에는 BNK금융지주 및 계열사 임직원이 함께 참석해 네트워킹을 진행했다. 이날 행사는 영도 연안에 위치한 '스페이스 원지'에서 열렸다. 이 곳은 100년이 넘은 항만창고를 개조한 곳으로 부산의 근대역사와 함께 변화에 따른 혁신의 의미를 지니고 있어 혁신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