엔비디아 '깜짝 실적'에도 뉴욕증시 급락…'AI 거품론' 여전
관련 기사 목록 4개
기사 본문
기술주 '나스닥' 장중 변동폭 최근 들어 가장 커 엔비디아 개장 직후 급등…결국 3.11% 하락해 리사 쿡 "자산 가격 크게 하락할 가능성 커져" 연합뉴스 전날 엔비디아의 '어닝 서프라이즈'(깜짝 실적)에도 불구하고 20일(현지시간) 뉴욕 증시는 'AI 투자 거품'에 대한 불안감 등의 영향으로 급락으로 장을 마쳤다. 이날 우량주 벤치마크인 S&P 500 지수는 전 거래일보다 1.56% 하락했고, 블루칩을 모아놓은 다우존스 지수는 전장에 비해 0.84% 떨어졌다. 특히 기술주 중심의 나스닥 지수는 2.15%나 급락했다. 나스닥의 장중 변동 폭도 최근 들어 가장 컸다. 전날 시장 전망치를 크게 웃도는 '깜짝 실적'을 발표했던 엔비디아는 이날 개장 직후 급등하는 듯 했으나 결국 3.11% 하락으로 장을 마감했다. 올해 강세를 이어왔던 팔런티어와 로빈후드가 이날 각각 5.85%, 10.11% 떨어진 것을 비롯해 매그니피센트 7을 포함한 주요 기술주가 일제히 약세를 보였다. 시장에서는 "AI...
기사 본문
뉴욕 증시 3대 지수 모두 하락 엔비디아 3.15%·마이크론 10.87% 하락 美증시 영향에 코스피도 하락 출발 할 듯 코스피가 엔비디아의 깜짝 실적에 힘입어 4000선을 회복, 4004.85로 장을 마친 지난 20일 서울 중구 신한은행 딜링룸에서 딜러들이 업무를 보고 있다. [신한은행 제공] [헤럴드경제=정윤희 기자] 미국 증시에서 3대 지수가 일제히 하락하면서 코스피 역시 영향을 받을 것으로 예상된다. 21일 코스피는 전날 상승분을 반납할 것이라는 전망이 나온다. 전날 코스피는 최대 인공지능(AI) 반도체 기업 엔비디아의 깜짝 실적에 힘입어 1.92% 상승하며 사흘 만에 4000선을 재탈환했다. 지수는 전장 대비 101.46포인트(2.58%) 오른 4030.97로 출발해 한때 4059.37까지 올랐으나 장 마감 직전 상승세가 다소 꺾여 4004.85에 장을 마쳤다. 엔비디아의 시장 기대를 넘어서는 실적이 ‘AI 거품론’을 걷어내면서 반도체 업종을 중심으로 투자 심리를 자극했다. ...
기사 본문
코스피, 엔비디아 호실적에 4,000선 회복 (서울=연합뉴스) 이진욱 기자 = 20일 오후 서울 중구 하나은행 본점 딜링룸 현황판에 코스피 지수가 표시돼 있다. 이날 코스피는 엔비디아의 호실적에 힘입어 4,000선을 재탈환했다. 2025.11.20 cityboy@yna.co.kr (서울=연합뉴스) 임은진 기자 = 21일 코스피는 미국 증시에서 주가지수가 하락한 영향에 전날의 상승분을 반납할 것으로 전망된다. 전날 코스피는 최대 AI(인공지능) 반도체 기업 엔비디아의 깜짝 실적에 힘입어 1.92% 상승하며 사흘 만에 4,000선을 재탈환했다. 엔비디아의 시장 기대를 넘어서는 실적은 AI 거품론을 걷어내면서 반도체 업종을 중심으로 투자 심리를 자극했다. 특히 그간 '팔자'로 코스피 하락을 주도했던 외국인 투자자는 이날 유가증권시장에서 6천412억원, 코스피200선물시장에서 4천739억원 각각 순매수하며 지수 반등을 이끌었다. 간밤 미국 뉴욕 증시에서 3대 주가지수는 기술주 투매 속에 동...
기사 본문
뉴욕증권거래소. (사진=연합뉴스) 뉴욕증시 3대 지수가 기술주 투매 속에 동반 약세로 마감했다. 장 초반에는 엔비디아의 ‘깜짝 실적’ 효과로 급등했지만 인공지능(AI) 거품 우려가 재부상하면서 상승 폭을 모두 반납했다. 미국 연방준비제도(Fed) 고위 인사의 자산 가격 급락 가능성 경고도 투자심리를 위축시켰다. 20일(현지시간) 뉴욕증권거래소(NYSE)에서 다우존스30산업평균지수는 전장 대비 386.51포인트(0.84%) 내린 4만5752.26에 거래를 마쳤다.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 500지수는 103.40포인트(1.56%) 하락한 6538.76, 나스닥 종합지수는 486.18포인트(2.16%) 급락한 2만2078.05로 마감했다. 필라델피아 반도체 지수는 4.77%나 떨어졌다. 뉴욕증시는 장 초반 엔비디아의 ‘빅 서프라이즈’ 실적을 발판 삼아 급등했다. 나스닥지수는 장중 2.58%, S&P 500지수는 1.93%, 다우지수는 1.56%까지 치솟았다. 여기에 미국 9월 고용보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