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트코인 9만달러 붕괴, 남의 일 아니다…금융권 연결 고리 ‘부각’ [투자360]
관련 기사 목록 4개
기사 본문
유동성 연결된 가상자산, 더 이상 ‘외딴섬’ 아냐 6주간 1.2조달러 증발…코인 조정이 남긴 경고 [로이터] [헤럴드경제=경예은 기자] 가상자산 가격이 급락하면서 전통 금융시장 또한 영향을 받을 수 있다는 우려가 커지고 있다. 업계에서는 코인 시장이 더이상 금융권과 분리된 영역이 아니라는 점에 주목하고 있다. 20일(현지시간) 로이터통신은 코인게코 추정치를 인용해 “가상자산 시장 전체 가치는 3조2000억달러로 하루 거래대금은 약 1970억달러 수준”이라고 보도했다. 그러면서 가상자산이 글로벌 금융시장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여전히 작지만 규제당국은 충격이 번질 가능성을 주시하고 있다고 로이터는 전했다. 최근 가상자산 시장은 큰 폭의 조정을 받았다. 비트코인은 이번 주 4월 이후 처음으로 9만 달러 아래로 떨어졌다. 이날 코인마켓캡에 따르면 오전 7시20분 현재 비트코인 가격은 8만7777달러를 기록하고 있다. 지난 6주 동안 전체 가상자산 시장에서는 약 1조2000억달러의 시가총액이 ...
기사 본문
강한 美 고용지표에 금리 인하 기대 약화 비트코인 [사진 연합뉴스] [이코노미스트 우승민 기자] 대표 암호화폐 비트코인이 20일(현지 시간) 8만6000달러 선까지 밀리며 7개월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다. 예상보다 강한 미국 고용지표로 금리 인하 기대가 후퇴하고 위험자산 회피 심리가 커지면서 매도세가 강화된 가운데, AI 관련 투자심리 위축이 겹치며 암호화폐 시장 전반이 약세를 보였다. 보도에 따르면 비트코인은 이날 8만6325.81달러까지 떨어지며 4월21일 이후 최저치를 찍었다. 이후 소폭 반등해 8만7000달러 선에서 거래되고 있다. 전날 8만8000달러 선까지 하락한 뒤 9만2000달러 선까지 회복했으나 다시 밀렸다. 투자자들이 위험자산 노출을 줄이고 다음 달 연방준비제도(Fed.연준)의 추가 금리 인하 가능성을 저울질하면서 매도 압력이 커진 것으로 보인다. 이날 발표된 미국의 고용지표가 예상보다 강력한 것으로 나타나면서 금리 인하에 대한 기대가 약화했다. 9월 11만9000개...
기사 본문
비트코인 가격이 9만 달러 밑으로 내려오면서 8만6000달러 수준으로 밀렸다. 미국 고용지표 호조로 금리인하 가능성이 줄어들었다. 위험자산에 대한 투자심리가 위축된 것으로 풀이된다. 글로벌 가상자산 시황 중계 플랫폼 코인마켓캡에 따르면 21일 오전 8시39분 기준 24시간 전 대비 5% 하락한 8만6793.93달러를 기록했다. 비트코인은 전날 8만8000달러 선까지 하락한 후 9만2000달러 선까지 회복했다. 하지만 다시 하락세로 전환하면서 8만6000달러 선까지 밀리기도 했다. 올해 4월21일 이후 최저치기도 하다. 이와 함께 다른 가상자산도 하락세다. 이더리움은 5.85% 밀리면서 2839.31달러를 기록했다. 리플(XRP)도 4.71% 빠졌다. 이 밖에 바이낸스코인(BNB), 솔라나(SOL) 등도 1~2% 하락을 기록하고 있다. 가상자산의 가격 하락은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의 금리인하 가능성 감소 때문으로 풀이된다. 20일(현지시간) 발표된 미국의 9월 비농업 신규 고용은 ...
기사 본문
IM증권은 비트코인이 약세 국면에 진입했다고 21일 분석했다. 비트코인은 최근 9만 달러 밑으로 내려와 8만6000선까지 밀렸다. 양현경 IM증권 연구원은 "비트코인 반감기 사이클 측면에서 '조정 국면 진입에 대한 내러티브' 또한 확산되고 있다"며 "가상자산은 통상 비트코인 반감기 이후 1년~1년 6개월 사이에 최고점을 경신하고 조정국면에 진입하는 모습이 나타난다"고 말했다. 이어 "이는 1차 반감기, 2차 반감기 및 3차 반감기 모두 동일하게 나타난 현상"이라며 "4차 반감기가 지난 4월20일이었다는 점을 감안한다면 현재 가상자산 시장이 조정국면에 진입했다고 볼 수 있다"고 평가했다. 그러면서 하락의 원인으로 미국 정부 셧다운 여파로 단기자금시장의 유동성 경색 유발을 꼽았다. 그는 "미국 연방정부 셧다운 장기화가 단기자금시장의 유동성 축소를 유발했다"며 "실제로 최근 재무부 일반계정(TGA) 잔고는 10월 중 9400억달러로 급등하면서 시중의 단기 유동성을 실질적으로 흡수하는 역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