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전자, 내년 D램 영업익 60조 '서프라이즈'…목표가 15만원"-KB
관련 기사 목록 4개
기사 본문
삼성전자 평택캠퍼스 P4 공장./사진=임형택 기자 KB증권은 21일 삼성전자에 대해 "D램 공급 부족의 최대 수혜를 볼 것"이라며 "내년 D램 영업이익은 전년보다 2.3배 급증한 60조원에 달할 것"으로 전망했다. 투자의견 '매수'와 목표주가 15만원은 유지했다. 이 증권사 김동원 리서치본부장은 "올 4분기 현재 D램 공급 부족이 심화하고 있다"며 "삼성전자가 1z D램 이하 범용 생산라인을 1b D램으로 공정 전환할 것으로 예상돼 내년 D램 비트 출하량 개선을 통한 서프라이즈(깜짝 실적)가 기대된다"고 분석했다. 이어 "전체 D램 캐파(생산능력)의 70%를 범용 D램 생산에 할당하고 있는 만큼 내년 더블데이터레이트(DDR)5 마진이 5세대 고대역폭메모리(HBM3E)를 웃돌 것"으로 전망했다. 그러면서 "오는 2027년까지 D램 시장이 공급자 우위로 재편될 것"이라며 "삼성전자는 적어도 향후 2년간 범용 D램과 HBM의 가격 협상력을 동시에 높일 것"이라고 강조했다. 내년 엔비디아 ...
기사 본문
서울 서초구 삼성전자 서초사옥에서 직원들이 분주하게 움직이고 있다.2025.10.14/뉴스1 ⓒ News1 박지혜 기자 (서울=뉴스1) 한유주 기자 = KB증권은 21일 삼성전자(005930)에 대해 내년 D램 공급 부족의 최대 수혜가 예상된다고 전망했다. 목표주가는 15만원, 투자의견은 '매수'를 유지했다. 김동원 KB증권 연구원은 "4분기 D램 공급 부족이 심화하는 가운데 내년 D램 비트 출하량 개선을 통한 실적 서프라이즈가 기대된다"며 이같이 밝혔다. 그는 "전체 D램 캐파의 70%를 범용 D램 생산에 할당하고 있는 삼성전자는 내년 DDR5 마진이 HBM3E를 상회할 것으로 보여 범용 D램 공급 부족의 최대 수혜가 기대된다"며 "내년 삼성전자 D램 영업이익은 전년 대비 2.3배 증가한 60조 원에 이를 것으로 예상된다"고 덧붙였다. 2027년 양산 예정인 HBM4 역시 엔비디아 품질 인증 과정이 순조롭게 진행될 것으로 내다봤다. 김 연구원은 "삼성전자 HBM4는 1c D램과 4...
기사 본문
[이데일리 원다연 기자] KB증권은 21일 삼성전자(005930)에 대해 D램 실적 서프라이즈가 기대된다며, ‘매수’ 투자의견과 목표가 15만원을 유지한다고 밝혔다. 전일 종가는 10만 600원이다. 김동원 KB증권 연구원은 “4분기 현재 D램 공급 부족이 심화되고 있는 가운데, 삼성전자가 1z D램 이하 레거시 생산라인을 1b D램으로 공정 전환할 것으로 예상돼 내년 D램 비트 출하량 개선을 통한 실적 서프라이즈가 기대된다”고 밝혔다. 김 연구원은 “특히 전체 D램 캐파의 70%를 범용 D램 생산에 할당하고 있는 삼성전자는 내년 DDR5 마진이 HBM3E를 상회할 것으로 보여 범용 D램 공급 부족의 최대 수혜가 기대된다”며 “2027년까지 D램 시장이 공급자 우위로 재편되며 삼성전자는 적어도 향후 2년간 범용 D램과 HBM의 가격 협상력을 동시에 높일 전망”이라고 했다. 이어 “따라서 2026년 삼성전자 D램 영업이익은 전년대비 2.3배 증가한 60조원에 이를 것으로 예상된다”고 ...
기사 본문
내년 1c D램 생산 8배 확대 "가성비 높은 D램 수요 커진다" 내년 이천 1c D램 생산 능력 300㎜ 웨이퍼 월 2만→16만장 엔비디아용 HBM4에 들어가는 10㎚ 5세대 D램 증설도 진행 AI 트렌드 학습→추론 이동 판도 변화에 30조 투자 승부수 SK하이닉스가 최첨단 범용 D램인 10나노미터(㎚·1㎚=10억분의 1m) 6세대 D램(1c D램) 생산능력을 내년에 여덟 배 이상 늘린다. 인공지능(AI)의 중심축이 고성능 메모리가 필요한 ‘학습’에서 ‘추론’(서비스)으로 옮겨가면서 고대역폭메모리(HBM)보다 가성비가 높은 최첨단 범용 D램 수요가 커지고 있다는 판단에서다. SK하이닉스는 1c D램 기반 최신 그래픽 D램(GDDR7)과 저전력 D램 모듈(SOCAMM2) 생산량을 늘려 엔비디아 등 빅테크 주문에 대응하기로 했다. ◇내년 1c D램 14만 장 전환 투자 20일 반도체업계에 따르면 SK하이닉스는 내년 경기 이천캠퍼스에서 공정 전환을 통해 1c D램 생산능력을 300㎜(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