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워킹맘' 고용률 '역대 최고'… '경단녀' 규모도 역대 최소
관련 기사 목록 4개
기사 본문
'2025년 상반기 기혼 여성 고용 현황' 30대·다자녀 엄마 고용률 증가 영향에 워킹맘 고용률 64.3%로 최고치 경신 13~17세 자녀 둔 엄마 고용률은 70% '경단녀' 비율은 14.9%로 1%P 감소 지난달 28일 인천시청에서 열린 '2025 인천 중장년·여성 채용박람회'에서 한 여성 구직자가 입사지원서를 작성하고 있다. 뉴시스 '워킹맘'의 고용률이 최고치를 경신했다. 30대와 다자녀 엄마의 고용률 증가가 원인 중 하나다. 육아 등 이유로 경력이 단절된 여성('경단녀')의 수는 역대 최소로 나타났다. 국가데이터처가 20일 발표한 '2025년 상반기 기혼 여성의 고용 현황'에 따르면, 18세 미만 자녀와 사는 15~54세 기혼 여성의 고용률은 64.3%로 지난해 같은 기간 대비 1.9% 포인트 상승했다. 관련 통계가 작성된 2016년 이래 상반기 기준 최고치다. 워킹맘의 고용률은 5년 전과 비교하면 8.8% 포인트나 상승했다. 상반기 취업자 수는 266만9,000명으로 지난해...
기사 본문
15~64세 기혼 여성 경력 단절 비중 통계 작성 이래 가장 낮은 14.9% ‘워킹맘’ 공무원이 아이들을 서울 중구 시청 직장어린이집에 맡기고 출근하기 위해 어린이집 안으로 들어가고 있다. 문화일보 자료사진 일과 가사를 병행하는 이른바 ‘워킹맘’이 급증하고 있다. 물가 급등과 학원비 등 지출에 대한 부담으로 가계 살림이 팍팍해지면서 ‘맞벌이는 필수’란 인식이 확산하는 가운데 보건·복지 분야 일자리가 큰 폭 늘어나면서 경력 단절 여성의 고용 수요를 흡수하고 있다는 평가다. 21일 국가데이터처가 발표한 ‘2025년 상반기 지역별 고용조사: 기혼 여성의 고용 현황’에 따르면 18세 미만 자녀와 함께 사는 15~54세 기혼 여성의 고용률은 64.3%로 나타났다. 2016년 관련 통계를 집계한 이후 최고 수준이다. 2020년만 해도 해당 조건의 여성 고용률은 55.5%에 불과했으나 5년 만에 10%포인트 가까이 증가했다. 같은 기간 생산가능인구의 고용률이 4.3%포인트 늘어난 것을 고려하면 ...
기사 본문
금융당국이 강도 높은 대출 옥죄기에 나서면서 시중은행들이 연말 대출 빗장을 걸어 잠그고 있다. 올해 대출 목표치를 초과할 경우 내년도 한도가 축소되는 ‘페널티’를 받을 수 있어 선제적인 관리에 들어간 것이다. 서울 시내 한 시중은행 대출 안내 현수막. 연합 ◆내년도 고강도 옥죄기 유지 21일 금융권에 따르면 금융당국은 조만간 은행권과 내년도 가계대출 공급 계획 협의에 나선다. 이후 은행권 연간 계획은 이사회를 거쳐 내년 2월쯤 확정될 것으로 보인다. 당국은 내년 가계대출 증가율을 올해와 마찬가지로 명목 국내총생산(GDP) 성장률 범위 내에서 묶는 고강도 기조를 유지한다는 방침이다. 앞서 금융당국은 집값 안정화를 위해 올해 초 설정했던 은행권 가계대출 관리 목표치를 하반기분에 한해 절반으로 줄였는데, 올해 연간 계획을 지키지 못한 은행은 내년도 대출 총량을 줄이는 페널티를 부과받는다. 통상 페널티 수준은 전년도에 목표를 초과한 규모 등을 감안해 결정된다. 일부 은행은 이미 가계대출 증...
기사 본문
◆상반기 기혼여성 고용현황 18세 이하 자녀 둔 여성 취업 증가 영유아 키우는 女 고용도 크게 늘어 男 육휴 5.2만명 돌파···매년 상승세 국가데이터처 "육아·돌봄정책 효과" 19일 오후 대전시 유성구 도룡동 대전컨벤션센터에서 열린 '2025 KB굿잡 대전 일자리 페스티벌'에서 구직자가 채용 게시대를 확인하고 있다. 연합뉴스. [서울경제] 올해 상반기 18세 미만 자녀를 둔 기혼여성의 고용률이 통계 작성 이후 역대 최고치를 기록하면서 기혼여성의 노동시장 이탈이 눈에 띄게 줄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경력단절여성 규모 역시 최저 수준으로 떨어지면서 아이를 낳아도 일을 하는 여성들이 늘어나고 있다는 분석이 나온다. 국가데이터처가 20일 발표한 ‘2025년 상반기 지역별 고용 조사 기혼 여성의 고용 현황’ 결과에 따르면 올해 상반기 미성년 자녀와 함께 사는 기혼 여성(15~54세)의 경력단절 비율은 21.3%로 지난해보다 1.4%포인트 하락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2014년 관련 통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