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가정 두 마리 토끼 잡는다"…미성년 자녀 둔 워킹맘 고용률 64% 역대 최고

2025년 11월 21일 수집된 기사: 4개 전체 기사: 55개
수집 시간: 2025-11-21 05:28:59
네이버에서 보기

관련 기사 목록 4개

강원도민일보 2025-11-20 16:08:07 oid: 654, aid: 0000152509
기사 본문

경단 44%는 육아 때문 ▲ 2025 부산 여성 일자리 페스타/연합뉴스 자료사진 올해 상반기 미성년 자녀와 함께 사는 기혼여성의 경력 단절 비율이 약 21%로 떨어지며 관련 통계 작성 이후 가장 낮은 수준을 기록했다. 일·가정 양립 정책과 사회 인식 개선이 이어지면서 워킹맘의 일터 복귀 흐름이 두드러지고 있다는 분석이다. 20일 국가데이터처(옛 통계청)가 발표한 '지역별 고용 조사: 기혼 여성(15∼54세)의 고용 현황'에 따르면 올해 상반기(4월) 기준 18세 미만 자녀와 함께 사는 경력 단절 여성은 88만5000명으로, 작년보다 8만5000명 줄었다. 경력 단절 여성 비율은 21.3%로 작년 대비 1.4%p 하락하며 2014년 통계 작성 이래 가장 낮았다. 경력 단절 여성은 결혼, 임신·출산, 육아, 자녀교육, 가족 돌봄 등을 이유로 직장을 그만둔 미취업 여성을 말한다. 데이터처는 최근 여성의 경제활동 참여 확대와 정부의 육아·출산 정책이 경력 단절 감소에 영향을 미친 것으로 분...

전체 기사 읽기

서울신문 2025-11-21 05:03:02 oid: 081, aid: 0003593956
기사 본문

‘일·가정 양립’ 사회 인식 확산 워킹맘 비중도 64% 역대 최고 경력 단절 여성 비율은 ‘최저’ 자녀 많고 어릴수록 경력 중단 올해 상반기 기혼여성 고용률과 미성년 자녀를 둔 취업자(워킹맘) 비율이 역대 최고치를 찍었다. 국가데이터처가 20일 발표한 ‘지역별 고용 조사: 기혼여성(15~54세)의 고용 현황’에 따르면 지난 4월 기준 기혼여성 고용률은 67.3%로 지난해보다 1.3% 포인트 올랐다. 관련 통계 집계를 시작한 2016년 이후 가장 높은 수치다. 미성년 자녀와 함께 사는 기혼여성 중 취업자 비율도 64.3%로 전년 대비 1.9% 포인트 높아졌다. 18세미만 자녀를 키우는 엄마 10명 중 6.4명 정도가 일하고 있다는 뜻이다. 마찬가지로 역대 가장 높았다. 반면 정부의 일·가정 양립 정책과 사회 인식 변화로 경력 단절 여성은 감소세다. 18세 미만 자녀와 함께 사는 경력 단절 여성은 88만 5000명으로 8만 5000명 줄었다. 경력 단절 여성은 결혼, 임신과 출산, 육아...

전체 기사 읽기

중앙일보 2025-11-20 12:01:00 oid: 025, aid: 0003484072
기사 본문

금융권 회사에 다니는 오모(39)씨는 둘째 출산 후 6개월 만에 복직했다. 오씨는 둘째 출산 후 직장을 그만두는 것을 고민했지만, 다시 복직하는 길을 택했다. 오씨는 “자녀 교육비와 주택담보대출 상환 등을 고려했을 때는 직장을 계속 다니는 게 낫다고 판단했다”고 말했다. 오씨처럼 자녀를 키우면서 일을 하는 ‘워킹맘’의 고용률이 역대 최고치를 기록했다. 덕분에 결혼과 육아 등으로 직장을 그만둔 ‘경력단절여성(경단녀)’의 비율은 역대 최저 수준으로 떨어졌다. 국가데이터처에 따르면 올해 상반기 기혼여성의 고용률은 67.3%로 전년보다 1.3%포인트 상승했다. 역대 최고 수치다. 사진은 지난해 열린 2024년 부산 여성 취/창업 박람회 모습. 송봉근 기자 20일 국가데이터처가 발표한 ‘2025년 상반기 기혼여성의 고용현황’에 따르면 올해 4월 기준 15~54세 기혼여성 인구는 740만3000명으로 전년보다 25만1000명 감소했다. 이들 기혼여성 중 취업자는 498만4000명으로, 전년보다...

전체 기사 읽기

서울경제 2025-11-20 16:10:07 oid: 011, aid: 0004558259
기사 본문

◆상반기 기혼여성 고용현황 18세 이하 자녀 둔 여성 취업 증가 영유아 키우는 女 고용도 크게 늘어 男 육휴 5.2만명 돌파···매년 상승세 국가데이터처 "육아·돌봄정책 효과" 20일 서울 강남구 SETEC에서 열린 취업·채용 박람회를 찾은 구직자가 안내책자를 살펴보고 있다. 연합뉴스. [서울경제] 고등학생(18세) 이하 자녀를 키우면서 직장이나 사업장을 운영하는 기혼 여성의 비중이 통계 작성 이래 최고치를 나타냈다. 올해 육아휴직 사용자 3명 중 1명은 남성인 것으로 집계된 가운데 여성이 일하는 비중이 늘면서 ‘아빠는 일하고 엄마는 아이를 본다’는 우리 사회 육아 인식이 달라지고 있다는 분석이 나온다. 국가데이터처가 20일 발표한 ‘2025년 상반기 지역별 고용 조사 기혼 여성의 고용 현황’ 결과에 따르면 올해 상반기 미성년 자녀와 함께 사는 기혼 여성(15~54세)의 경력단절 비율은 21.3%로 지난해보다 1.4%포인트 하락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2014년 관련 통계 작성 이...

전체 기사 읽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