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편 혼자 벌어선 애 못 키워요"…워킹맘 늘더니 '깜짝' 결과

2025년 11월 21일 수집된 기사: 4개 전체 기사: 54개
수집 시간: 2025-11-21 04:47:49
네이버에서 보기

관련 기사 목록 4개

한국경제 2025-11-20 15:49:11 oid: 015, aid: 0005214011
기사 본문

"혼자 벌면 역부족"…워킹맘 고용률 64%, '역대 최고' 국가데이터처, 기혼 여성 고용 현황 발표 기사 내용과 사진은 관계 없음./사진=게티이미지뱅크 고등학생 이하 자녀를 키우며 직장에 다니거나 가게를 운영하는 '워킹맘' 비율이 64%로 집계됐다. 관련 통계를 작성한 2016년 이후 최고 수준이다. 20일 국가데이터처가 발표한 '2025년 상반기 지역별 고용조사 기혼 여성의 고용 현황'에 따르면, 18세 미만 자녀와 함께 사는 기혼여성(15~54세) 중 취업자는 266만9000명, 고용률은 64.3%로 집계됐다. 워킹맘 고용률은 2020년 55.5%를 기록한 뒤 5년 연속 높아지고 있다. 올해도 작년보다 1.9%포인트 상승했다. 워킹맘 고용률은 자녀가 어리거나 많을수록 낮았다. 자녀가 6세 이하인 기혼 여성 고용률은 57.7%였다. 자녀가 7~12세인 경우에는 66.1%, 13~17세인 경우에는 70.4%로 고용률이 높아졌다. 또 자녀가 1~2명인 경우의 고용률은 64.6%이었지만...

전체 기사 읽기

중앙일보 2025-11-20 12:01:00 oid: 025, aid: 0003484072
기사 본문

금융권 회사에 다니는 오모(39)씨는 둘째 출산 후 6개월 만에 복직했다. 오씨는 둘째 출산 후 직장을 그만두는 것을 고민했지만, 다시 복직하는 길을 택했다. 오씨는 “자녀 교육비와 주택담보대출 상환 등을 고려했을 때는 직장을 계속 다니는 게 낫다고 판단했다”고 말했다. 오씨처럼 자녀를 키우면서 일을 하는 ‘워킹맘’의 고용률이 역대 최고치를 기록했다. 덕분에 결혼과 육아 등으로 직장을 그만둔 ‘경력단절여성(경단녀)’의 비율은 역대 최저 수준으로 떨어졌다. 국가데이터처에 따르면 올해 상반기 기혼여성의 고용률은 67.3%로 전년보다 1.3%포인트 상승했다. 역대 최고 수치다. 사진은 지난해 열린 2024년 부산 여성 취/창업 박람회 모습. 송봉근 기자 20일 국가데이터처가 발표한 ‘2025년 상반기 기혼여성의 고용현황’에 따르면 올해 4월 기준 15~54세 기혼여성 인구는 740만3000명으로 전년보다 25만1000명 감소했다. 이들 기혼여성 중 취업자는 498만4000명으로, 전년보다...

전체 기사 읽기

동아일보 2025-11-21 03:02:23 oid: 020, aid: 0003676056
기사 본문

경력단절 여성 비율은 줄어들어 자녀 늘수록 경력단절 비중도 증가 동아DB 올해 상반기(1∼6월) 미성년 자녀를 키우며 일을 하는 ‘워킹맘’ 비중이 64.3%로 역대 최고치를 기록했다. 어린 자녀를 둔 기혼 여성 가운데 경력 단절 여성도 줄어드는 추세지만 여전히 영유아 자녀를 둔 기혼 여성 3명 중 1명은 직장을 그만두고 있었다. 20일 국가데이터처가 발표한 ‘기혼 여성의 고용 현황’에 따르면 올 4월 기준 18세 미만 자녀와 함께 사는 15∼54세 기혼 여성(415만 명)의 고용률은 64.3%로 1년 전과 비교해 1.9%포인트 올랐다. 관련 통계 작성을 시작한 2016년 이후 가장 높은 수준이다. 고용률은 자녀가 어릴수록, 많을수록 낮아지는 경향을 보였다. 국가데이터처 관계자는 “자녀 수와 연령에 따른 고용률 격차는 점차 축소되고 있지만 자녀가 6세 이하 영유아인 경우 고용률이 60%를 밑도는 등 구조적인 흐름은 이어지고 있다”고 말했다. 미성년 자녀와 함께 사는 기혼여성 중 경력 ...

전체 기사 읽기

서울경제 2025-11-20 16:10:07 oid: 011, aid: 0004558259
기사 본문

◆상반기 기혼여성 고용현황 18세 이하 자녀 둔 여성 취업 증가 영유아 키우는 女 고용도 크게 늘어 男 육휴 5.2만명 돌파···매년 상승세 국가데이터처 "육아·돌봄정책 효과" 20일 서울 강남구 SETEC에서 열린 취업·채용 박람회를 찾은 구직자가 안내책자를 살펴보고 있다. 연합뉴스. [서울경제] 고등학생(18세) 이하 자녀를 키우면서 직장이나 사업장을 운영하는 기혼 여성의 비중이 통계 작성 이래 최고치를 나타냈다. 올해 육아휴직 사용자 3명 중 1명은 남성인 것으로 집계된 가운데 여성이 일하는 비중이 늘면서 ‘아빠는 일하고 엄마는 아이를 본다’는 우리 사회 육아 인식이 달라지고 있다는 분석이 나온다. 국가데이터처가 20일 발표한 ‘2025년 상반기 지역별 고용 조사 기혼 여성의 고용 현황’ 결과에 따르면 올해 상반기 미성년 자녀와 함께 사는 기혼 여성(15~54세)의 경력단절 비율은 21.3%로 지난해보다 1.4%포인트 하락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2014년 관련 통계 작성 이...

전체 기사 읽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