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폐가 된 스테이블코인, 금융의 판을 흔든다

2025년 10월 18일 수집된 기사: 4개 전체 기사: 10개
수집 시간: 2025-10-18 02:08:03
네이버에서 보기

관련 기사 목록 4개

매일경제 2025-10-17 16:57:09 oid: 009, aid: 0005574720
기사 본문

통화혁명 가능성을 본 책 2권 달러·유로·금 등 실물자산에 1대1 가치 연동해 안정성 확보 빅테크 기업들도 발행에 나서고 튀르키예 등 인플레 심한 나라선 가치 폭락한 자국화폐보다 선호 지난 7월 18일 미국 워싱턴 DC 백악관 집무실에서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지니어스법'에 서명한 뒤 문서를 들어 보이고 있다. AFP연합뉴스 "인터넷 탄생 이후 금융 기술에서 일어난 가장 위대한 혁명." 지난 7월 18일.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기자회견에서 스테이블코인을 이렇게 규정했다. 미국에서 최초로 제정된 가상화폐 법안인 지니어스법에 서명한 직후였다. 지니어스법은 스테이블코인을 제도권으로 편입시키는 신호탄이었다. 트럼프 대통령이 코인 1개당 1달러로 가치가 고정돼 있는 가상화폐인 스테이블코인을 '위대한 혁명'으로까지 추켜세워준 이유는 무엇일까. 스테이블 코인의 모든 것 조진형·이정환 지음 매일경제신문사 펴냄, 1만9000원 언론인 출신 조진형 경인교대 사회과교육과 교수와 이정환 ...

전체 기사 읽기

KBS 2025-10-17 17:58:58 oid: 056, aid: 0012048906
기사 본문

올해 세계 금융계에서 가장 주목받은 단어, 바로 '스테이블 코인(stable coin)'이다. 비트코인과 이더리움이 1세대 가상화폐라고 한다면 스테이블 코인은 1세대 가상화폐가 가진 급격한 가격 변동성을 말 그대로 '안정적(stable)'으로 만든 다음 세대 가상화폐이다. 가격이 안정적이라니, 비트코인의 수천 배 가격 상승을 염두에 두고 스테이블 코인에 관심을 가진 사람이라면 크게 낙담할 수 있을 것이다. 하지만 스테이블 코인이 가져올 금융과 화폐의 새로운 미래는, 비트코인을 넘어설 수 있다는 게 전문가들의 전망이다. 우리는 지금 왜 스테이블 코인에 주목해야 하며, 스테이블 코인은 어떤 변화를 가져올 것인가? ■ 국경을 자유롭게 넘나드는 디지털 통화, '달러 스테이블 코인' 스테이블 코인은 비트코인과 비슷한 성격을 가진 탈중앙화된 디지털 가상 화폐지만 코인 하나를 달러나 유로 같은 법정통화, 혹은 금 같은 실물자산과 연동시켜 놓았다. 현재 스테이블 코인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것은 달러...

전체 기사 읽기

뉴시스 2025-10-16 17:44:48 oid: 003, aid: 0013539659
기사 본문

법정화폐-가상자산 교환 수요↑ 금리 인하 기조 속 헤지 자산으로 부각 【서울=뉴시스】CNBC뉴스는 17일(현지시간) IBM이 금융기술 스타트업인 ‘스트롱홀드(Stronghold)’와 공동으로 미국 달러화와 연동한 가상화폐 “스트롱홀드 USD(Stronghold USD)”의 출시를 준비하고 있다고 보도했다. IBM은 이날 가상화폐 리플의 창업자이자 스텔라의 공동창업자인 제드 맥케일럽(Jed McCaleb)과 스텔라 플랫폼을 기반으로 한 ‘스테이블 코인’을 출시하는 실험을 하고 있다고 발표했다. <출처: CNBC> 2018.07.17. [서울=뉴시스]이지영 기자 = 연내 두 차례 기준금리 인하가 예상되는 가운데 글로벌 스테이블코인에 자금이 몰리고 있다. 법정화폐와 가상자산을 매개하는 수단인 스테이블코인을 통해 유동성을 확보하려는 움직임으로 해석된다. 16일 업계에 따르면 이날 오후 4시 디파이라마 기준 글로벌 스테이블코인 시가총액(시총)은 3072억달러(약 435조원)을 기록했다. 올해...

전체 기사 읽기

한국경제 2025-10-17 17:15:12 oid: 015, aid: 0005198353
기사 본문

안도걸 의원, 한국은행 자료 분석 사용처 부족해 예금 토큰 전환액 16.9억원 중 6.9억원만 쓰여 안 의원 "스테이블 코인 안착을 위해 비은행권 발행 제도화 필요" 안도걸 더불어민주당 의원. /사진=연합뉴스 한국은행이 주도하고 7개 시중은행이 참여한 중앙은행 디지털화폐(CBDC) 사업에서 일반 참가자들이 예치한 원화 스테이블코인(예금 토큰)이 반도 쓰이지 못한 것으로 나타났다. 편의점·카페·배달앱 등 제휴 사용처가 부족한 것이 원인으로 꼽혔다. 정치권에선 국회에 계류 중인 관련법을 조속히 통과시켜 결제 지원 업체를 늘려야 한다는 지적이 제기됐다. 17일 국회 기획재정위원회 소속 안도걸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한은에서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지난 4~6월 진행된 한은의 CBDC 시범 사업 ‘프로젝트 한강’에서 발생한 예금 토큰 전환액은 16억4000만원이다. 현금을 예금 토큰으로 바꾼 총액이다. 이 중 실제 결제된 토큰은 6억9000만원(42.1%)으로 집계됐다. 한은과 금융당국이 20...

전체 기사 읽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