워킹맘 역대 최대지만…어린 자녀 둔 여성 32% 직장 떠나

2025년 11월 21일 수집된 기사: 4개 전체 기사: 54개
수집 시간: 2025-11-21 04:15:01
네이버에서 보기

관련 기사 목록 8개

뉴시스 2025-11-20 12:00:00 oid: 003, aid: 0013611887
기사 본문

국가데이터처, 2025년 상반기 기혼여성 고용현황 기혼여성 고용률 사상 최고지만…육아기 단절 집중 경력단절 10년 이상이 42.1%…직장 복귀 장벽 여전 [서울=뉴시스] 전진우 기자 (뉴시스DB) [세종=뉴시스]임하은 기자 = 미성년 자녀와 함께 사는 기혼여성 5명 중 1명이 경력단절을 경험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6세 이하 어린 자녀를 둔 여성은 3명 중 1명꼴로 직장을 다니다 관뒀다. 국가데이터처는 20일 이런 내용을 담은 '2025년 상반기 지역별고용조사 기혼여성의 고용현황'을 발표했다. 올해 4월 기준 15~54세 기혼 여성 740만3000명 가운데 경력단절여성은 110만5000명이다. 결혼, 임신·출산, 육아, 자녀교육, 가족돌봄 등을 이유로 직장을 그만둔 여성이 이에 해당한다. 기혼여성의 고용이 확대되면서 경력단절 비중은 감소세다. 경력단절 규모는 1년 전보다 11만명 줄었고, 비중도 14.9%로 1.0%포인트(p) 낮아졌다. 이는 2014년 관련 통계 집계 이후 가장...

전체 기사 읽기

중앙일보 2025-11-20 12:01:00 oid: 025, aid: 0003484072
기사 본문

금융권 회사에 다니는 오모(39)씨는 둘째 출산 후 6개월 만에 복직했다. 오씨는 둘째 출산 후 직장을 그만두는 것을 고민했지만, 다시 복직하는 길을 택했다. 오씨는 “자녀 교육비와 주택담보대출 상환 등을 고려했을 때는 직장을 계속 다니는 게 낫다고 판단했다”고 말했다. 오씨처럼 자녀를 키우면서 일을 하는 ‘워킹맘’의 고용률이 역대 최고치를 기록했다. 덕분에 결혼과 육아 등으로 직장을 그만둔 ‘경력단절여성(경단녀)’의 비율은 역대 최저 수준으로 떨어졌다. 국가데이터처에 따르면 올해 상반기 기혼여성의 고용률은 67.3%로 전년보다 1.3%포인트 상승했다. 역대 최고 수치다. 사진은 지난해 열린 2024년 부산 여성 취/창업 박람회 모습. 송봉근 기자 20일 국가데이터처가 발표한 ‘2025년 상반기 기혼여성의 고용현황’에 따르면 올해 4월 기준 15~54세 기혼여성 인구는 740만3000명으로 전년보다 25만1000명 감소했다. 이들 기혼여성 중 취업자는 498만4000명으로, 전년보다...

전체 기사 읽기

동아일보 2025-11-21 03:02:23 oid: 020, aid: 0003676056
기사 본문

경력단절 여성 비율은 줄어들어 자녀 늘수록 경력단절 비중도 증가 동아DB 올해 상반기(1∼6월) 미성년 자녀를 키우며 일을 하는 ‘워킹맘’ 비중이 64.3%로 역대 최고치를 기록했다. 어린 자녀를 둔 기혼 여성 가운데 경력 단절 여성도 줄어드는 추세지만 여전히 영유아 자녀를 둔 기혼 여성 3명 중 1명은 직장을 그만두고 있었다. 20일 국가데이터처가 발표한 ‘기혼 여성의 고용 현황’에 따르면 올 4월 기준 18세 미만 자녀와 함께 사는 15∼54세 기혼 여성(415만 명)의 고용률은 64.3%로 1년 전과 비교해 1.9%포인트 올랐다. 관련 통계 작성을 시작한 2016년 이후 가장 높은 수준이다. 고용률은 자녀가 어릴수록, 많을수록 낮아지는 경향을 보였다. 국가데이터처 관계자는 “자녀 수와 연령에 따른 고용률 격차는 점차 축소되고 있지만 자녀가 6세 이하 영유아인 경우 고용률이 60%를 밑도는 등 구조적인 흐름은 이어지고 있다”고 말했다. 미성년 자녀와 함께 사는 기혼여성 중 경력 ...

전체 기사 읽기

서울경제 2025-11-20 16:10:07 oid: 011, aid: 0004558259
기사 본문

◆상반기 기혼여성 고용현황 18세 이하 자녀 둔 여성 취업 증가 영유아 키우는 女 고용도 크게 늘어 男 육휴 5.2만명 돌파···매년 상승세 국가데이터처 "육아·돌봄정책 효과" 20일 서울 강남구 SETEC에서 열린 취업·채용 박람회를 찾은 구직자가 안내책자를 살펴보고 있다. 연합뉴스. [서울경제] 고등학생(18세) 이하 자녀를 키우면서 직장이나 사업장을 운영하는 기혼 여성의 비중이 통계 작성 이래 최고치를 나타냈다. 올해 육아휴직 사용자 3명 중 1명은 남성인 것으로 집계된 가운데 여성이 일하는 비중이 늘면서 ‘아빠는 일하고 엄마는 아이를 본다’는 우리 사회 육아 인식이 달라지고 있다는 분석이 나온다. 국가데이터처가 20일 발표한 ‘2025년 상반기 지역별 고용 조사 기혼 여성의 고용 현황’ 결과에 따르면 올해 상반기 미성년 자녀와 함께 사는 기혼 여성(15~54세)의 경력단절 비율은 21.3%로 지난해보다 1.4%포인트 하락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2014년 관련 통계 작성 이...

전체 기사 읽기

매일경제 2025-11-21 05:53:10 oid: 009, aid: 0005593830
기사 본문

중고생 자녀 둔 여성 고용률 70% 첫 돌파 고물가로 살림살이 팍팍해지자 교육비 부담 커져 취업전선에 여성친화 일자리 증가도 한몫 보건·사회복지업에 많이 취직 경단녀 비율은 15% 역대 최저 기사 이해를 돕기 위한 AI 이미지 [챗GPT] # 두 명의 자녀를 둔 40대 초반 김 모씨는 지난해까지 전업주부로 지내다가 올해 초 지역 복지센터의 요양보호사 교육을 받고 일터에 복귀했다. 고물가와 자녀 교육비에 대한 부담이 커지면서 더는 한 사람의 소득으로는 살림이 어렵다고 판단해서다. 김씨처럼 일과 가사를 병행하는 이른바 ‘워킹맘’이 급증하고 있다. 이에 반해 결혼, 출산, 육아, 가족 돌봄 등으로 인해 경제 활동을 중단한 ‘경력 단절 여성(경단녀)’은 역대 최저 수준으로 낮아졌다. 물가 급등과 학원비 등 지출에 대한 부담으로 가계 살림이 팍팍해지면서 ‘맞벌이는 필수’란 인식이 확산하고, 보건·복지 분야 일자리가 큰 폭 늘어나면서 경력 단절 여성을 중심으로 고용 수요를 흡수하고 있다는 진단...

전체 기사 읽기

서울경제 2025-11-21 05:31:18 oid: 011, aid: 0004558444
기사 본문

◆상반기 기혼여성 고용현황 18세 이하 자녀 둔 여성 취업 증가 영유아 키우는 女 고용도 크게 늘어 男 육휴 5.2만명 돌파···매년 상승세 국가데이터처 "육아·돌봄정책 효과" 19일 오후 대전시 유성구 도룡동 대전컨벤션센터에서 열린 '2025 KB굿잡 대전 일자리 페스티벌'에서 구직자가 채용 게시대를 확인하고 있다. 연합뉴스. [서울경제] 올해 상반기 18세 미만 자녀를 둔 기혼여성의 고용률이 통계 작성 이후 역대 최고치를 기록하면서 기혼여성의 노동시장 이탈이 눈에 띄게 줄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경력단절여성 규모 역시 최저 수준으로 떨어지면서 아이를 낳아도 일을 하는 여성들이 늘어나고 있다는 분석이 나온다. 국가데이터처가 20일 발표한 ‘2025년 상반기 지역별 고용 조사 기혼 여성의 고용 현황’ 결과에 따르면 올해 상반기 미성년 자녀와 함께 사는 기혼 여성(15~54세)의 경력단절 비율은 21.3%로 지난해보다 1.4%포인트 하락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2014년 관련 통계...

전체 기사 읽기

경향신문 2025-11-20 17:44:00 oid: 032, aid: 0003410104
기사 본문

재택근무 중인 워킹맘과 아이의 모습. Gettyimages/이매진스 올해 상반기 워킹맘 고용률이 64.3%로 역대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미성년 자녀를 둔 기혼여성 중 경력 단절을 겪은 비중은 21.3%로 역대 가장 적었다. 경력 단절 현상이 다소 완화되는 추세가 나타나고 있지만 6세 이하 어린 자녀를 둔 여성 3명 중 1명꼴로 직장을 관두는 것으로 나타났다. 주요국과 비교하면 경력 단절 현상이 여전하다는 지적이다. 국가데이터처가 20일 발표한 ‘2025년 상반기 지역별 고용조사 기혼여성의 고용현황’을 보면, 올해 상반기(4월) 기준 18세 미만 미성년 자녀와 함께 사는 15~54세 기혼여성 중 취업자는 266만9000명, 고용률은 64.3%로 나타났다. 워킹맘 고용률은 지난해보다 1.9%포인트 늘어 2016년 관련 통계를 작성한 이후 최고치를 기록했다. 워킹맘 고용률이 늘면서 경력 단절 여성 비율은 역대 최저치로 떨어졌다. 올 상반기 기준 미성년 자녀와 사는 기혼여성 중 경력...

전체 기사 읽기

노컷뉴스 2025-11-20 12:02:20 oid: 079, aid: 0004087997
기사 본문

인식 개선·정책 효과도 있지만 애초 혼인하고 출산하는 여성 자체가 감소 여성 일자리 증가도 원인…애초 15~54세 여성과 기혼여성 등 고용률 모두 증가 국가데이터처 제공 올해 상반기 경력단절여성의 수와, 15~54세 기혼여성 중 경단녀가 차지하는 비중이 모두 역대 최저기록을 경신했다. 국가데이터처가 20일 발표한 '2025년 상반기 지역별고용조사 기혼여성의 고용 현황'에 따르면 지난 4월 기준 15~54세 기혼여성 740만 3천 명 중 경력단절여성은 110만 5천 명으로 전년보다 11만 명 감소했다. 또 15~54세 기혼여성 중 경력단절여성 비율도 14.9%로 전년대비 1.0%p 하락했다. 경력단절여성의 수와 비율 모두 2014년 관련 통계를 작성하기 시작한 이후 가장 낮은 수준이다. 연령계층별로 경력단절여성을 나눠보면 40~44세(30만 5천 명), 35~39세(23만 4천 명), 45~49세(19만 6천 명) 순으로 많아서 40대 초반에 경력단절 상태에 놓인 여성이 가장 많았다....

전체 기사 읽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