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15 대책 한 달 만에… 서울 아파트값 상승폭 다시 확대
관련 기사 목록 4개
기사 본문
10·15 부동산 대책 시행 이후 한동안 감소세를 이어가던 서울 아파트 매매 가격 상승 폭이 다시 커진 것으로 나타났다. 대출규제 강화와 2년 실거주 의무로 거래가 위축되고 매물은 줄었지만 갈수록 규제의 힘이 빠지는 것 아니냐는 이야기가 나온다. 20일 서울 시내 한 부동산에 인근 아파트 월세·전세 매물 안내문이 붙어 있다. /뉴스1 20일 한국부동산원이 발표한 11월 셋째 주(11월 17일 기준) 주간 아파트 가격 동향에 따르면 서울 아파트 평균 매매가격은 직전 주 대비 0.20% 올랐다. 10·15 대책 발표 직후인 10월 셋째 주(10월20일 기준) 0.50%를 기록하며 정점을 찍은 서울 아파트 매매 가격 상승률은 10월 넷째 주 0.23%, 11월 첫째 주 0.19%, 11월 둘째 주 0.17% 등 감소세를 이어왔다. 하지만 이번 주 다시 상승률이 반등한 것이다. 한국부동산원은 “매수 문의가 감소하고 관망세가 지속되는 가운데 재건축 추진 단지 및 정주 여건이 양호한 선호 단지...
기사 본문
10·15규제 후 거래 줄었지만 서울 아파트 0.20% 상승 상승폭 4주만에 다시 확대 강남·한강벨트 등 다시 신고가 경기 의왕도 4년 만에 최대폭 당정 "공급 관련법 신속처리" 서울 아파트값 상승폭이 4주 만에 다시 확대됐다. 10·15 규제로 서울 전 지역과 경기 12곳이 규제지역과 토지거래허가구역으로 묶인 여파로 거래가 위축돼왔으나 한강벨트 등 선호 지역을 중심으로 신고가 계약이 이어지면서 상승 흐름이 유지되고 있다. 수도권 공급 부족으로 인한 불안 심리가 여전히 강한 가운데 규제에 대한 시장 내성도 더 세졌다는 평가가 나온다. 한국부동산원이 20일 발표한 11월 셋째 주(17일 기준) 주간 아파트 가격 동향에 따르면 서울 아파트 매매가격은 전주 대비 0.2% 상승해 직전 0.17%보다 오름폭이 커졌다. 서울 아파트값 상승률은 대책 발표 직전 주당 0.27%에서 발표 직후인 10월 셋째 주 0.5%에 달해 고점을 찍었다. 이후 10월 넷째 주 0.23%, 11월 첫째 주 0.1...
기사 본문
규제 한달…오름폭 커진 서울 아파트값 둔화세 이어오다 이번주 반등 강남·성동서 신고가도 잇따라 김윤덕 "이르면 연내 공급 대책" 서울 아파트값 상승폭이 ‘10·15 부동산 대책’ 시행 이후 4주 만에 다시 커졌다. 거래가 급감하는 가운데 규제에 내성이 생겨 매수심리가 꺾이지 않아서다. 업계에서는 정부가 집값 안정을 위해 공급 대책을 서둘러야 한다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20일 한국부동산원에 따르면 이번주(지난 17일 기준) 서울 아파트 매매가는 0.20% 올랐다. 10·15 대책 후 3주간 상승률이 둔화하다가 전 주(0.17%) 대비 상승세가 커졌다. 서울 대부분 자치구에서 오름폭이 커졌다. 지난주 0.13% 올랐던 강남구는 이번주 0.24%로 0.11%포인트 뛰었다. 용산구(0.31%→0.38%), 양천구(0.27%→0.34%), 송파구(0.47%→0.53%), 성동구(0.37%→0.43%) 등도 상승세가 가팔라졌다. 이번 반등은 거래 침체 속에서도 이전보다 매매가가 높은 상승 ...
기사 본문
4주만에 반등… 송파 0.53% 최고 전세는 매물부족으로 상승세 지속 10·15 부동산대책 시행 이후 지난주까지 3주간 축소되던 서울 아파트 가격 상승폭이 반등했다. 특히 41주 연속 상승세를 이어가면서 역대 네번째 장기 상승랠리를 기록했다. 한국부동산원이 20일 발표한 '11월 3주(17일 기준) 주간 아파트가격 동향'에 따르면 서울 아파트 매매가격은 전주(0.17%)보다 0.03%p 오른 0.20% 상승을 보였다. 이는 올해 41주 연속 상승으로, 지난해(40주) 기록을 넘어섰다. 부동산원 통계 기준 2020년(85주), 2017년(59주), 2014년(52주)에 이어 역대 네번째 장기상승 기록이다. 서울 자치구별 상승률을 보면 송파구가 0.53%로 가장 높았고 △성동구(0.43%) △용산구(0.38%) △양천구(0.34%) △동작구(0.30%) △영등포구(0.26%) △강남구(0.24%) 순이었다. 25개 자치구 중 15곳이 전주 대비 상승했고 4곳은 유지, 6곳은 하락세를 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