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워킹맘’ 비중 역대 최고, ‘경단녀’는 역대 최저
관련 기사 목록 4개
기사 본문
[앵커] 육아와 직장을 병행하는 이른바 '워킹맘' 비중이 역대 최고치를 기록했습니다. 반면, 경력단절여성, 이른바 '경단녀'는 역대 최저 수준으로 줄었습니다. 박찬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올해 상반기 기준, 18세 미만 자녀와 함께 사는 15~54세 기혼여성은 415만 명입니다. 이 중 일하는 취업자는 266만여 명. 비율로 계산하면 64.3%였습니다. 미성년 자녀를 키우는 엄마 10명 중 6.4명 정도가 이른바 '워킹맘'이란 뜻입니다. 이 비율은 1년 전보다 1.9%포인트 올랐고, 통계를 낸 2016년 이후 최고치였습니다. 다만, 워킹맘 비율은 자녀 나이에 따라 차이를 보였습니다. 자녀가 만 6세 이하인 경우 워킹맘 비율은 57.7%, 7~12세는 66.1%, 13~17세는 70.4%였습니다. 미취학 자녀에 대한 육아 지원이 상대적으로 취약하단 뜻으로 해석할 수 있습니다. 자녀 수는 큰 영향을 안 줬습니다. 자녀가 1명이든 자녀 2명이든 고용률은 64.6%였습니다. 일하는...
기사 본문
재택근무 중인 워킹맘과 아이의 모습. Gettyimages/이매진스 올해 상반기 워킹맘 고용률이 64.3%로 역대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미성년 자녀를 둔 기혼여성 중 경력 단절을 겪은 비중은 21.3%로 역대 가장 적었다. 경력 단절 현상이 다소 완화되는 추세가 나타나고 있지만 6세 이하 어린 자녀를 둔 여성 3명 중 1명꼴로 직장을 관두는 것으로 나타났다. 주요국과 비교하면 경력 단절 현상이 여전하다는 지적이다. 국가데이터처가 20일 발표한 ‘2025년 상반기 지역별 고용조사 기혼여성의 고용현황’을 보면, 올해 상반기(4월) 기준 18세 미만 미성년 자녀와 함께 사는 15~54세 기혼여성 중 취업자는 266만9000명, 고용률은 64.3%로 나타났다. 워킹맘 고용률은 지난해보다 1.9%포인트 늘어 2016년 관련 통계를 작성한 이후 최고치를 기록했다. 워킹맘 고용률이 늘면서 경력 단절 여성 비율은 역대 최저치로 떨어졌다. 올 상반기 기준 미성년 자녀와 사는 기혼여성 중 경력...
기사 본문
일하는 엄마 64.3% 역대 최고 기록 경신 육아기 경력단절 여전...장기 단절도 심각 최근 6년간 기혼 여성의 고용이 지속적으로 상승하고 있지만, 미성년 자녀와 함께 사는 여성 직장인 5명 중 1명은 직장을 그만둔 것으로 나타났다. 사진은 기사의 특정 사실과 관련 없음. 클립아트코리아 최근 6년간 기혼 여성의 고용이 지속적으로 늘어나면서 경력 단절 비중이 줄고 있지만 미성년 자녀와 함께 사는 여성 직장인 5명 중 1명이 직장을 그만둔 것으로 나타났다. 국가데이터처는 이런 내용을 담은 ‘2025년 상반기 지역별 고용조사 기혼여성의 고용현황’을 20일 발표했다. 올해 4월 기준 15~54세 기혼 여성 740만3000명 중 경력단절여성은 110만5000명이다. 결혼, 임신·출산, 육아, 자녀교육, 가족 돌봄 등을 이유로 직장을 그만둔 여성이 이에 해당한다. 기혼여성의 고용이 확대되면서 최근 5년간 경력단절 비중은 감소세다. 경력단절 규모는 1년 전보다 11만명 줄었다. 비중도 14.9%...
기사 본문
중고생 자녀 둔 여성 고용률 70% 첫 돌파 고물가로 살림살이 팍팍해지자 교육비 부담 커져 취업전선에 여성친화 일자리 증가도 한몫 보건·사회복지업에 많이 취직 경단녀 비율은 15% 역대최저 두 명의 자녀를 둔 40대 초반 김 모씨는 지난해까지 전업주부로 지내다가 올해 초 지역 복지센터의 요양보호사 교육을 받고 일터에 복귀했다. 고물가와 자녀 교육비에 대한 부담이 커지면서 더는 한 사람의 소득으로는 살림을 꾸리는 게 어렵다고 판단해서다. 김씨처럼 일과 가사를 병행하는 이른바 '워킹맘'이 급증하고 있다. 이에 반해 결혼, 출산, 육아, 가족 돌봄 등을 이유로 경제 활동을 중단한 '경력 단절 여성(경단녀)'은 역대 최저 수준으로 낮아졌다. 물가 급등과 학원비 등 지출에 대한 부담으로 가계 살림이 팍팍해지면서 '맞벌이는 필수'란 인식이 확산하고, 보건·복지 분야 일자리가 큰 폭 늘어나면서 고용 수요를 흡수하고 있다는 진단이다. 20일 국가데이터처가 발표한 '2025년 상반기 지역별 고용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