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3조 빚 내서라도 올라타자"…불장에 '빚투' 작년보다 50% 증가
관련 기사 목록 4개
기사 본문
국내 증시가 연초 대비 급등세를 이어가며 신용융자 잔액이 23조 원을 넘어선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해 말 대비 49% 급증한 금액이다. 금융투자협회와 한국거래소는17일 “레버리지 투자 확대에 따른 위험이 커지고 있다”며 투자자들의 주의를 당부했다.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코스피 지수는 연초(2398.94포인트) 대비 52%, 코스닥 지수는 26% 상승했다. 같은 기간 투자자 예탁금은 57조 원에서 80조 원으로 불어나고, 코스피 시가총액도 3000조 원을 넘어섰다. 신용융자 잔액은 전년 말 15조 8000억 원에서 49% 급증하며 23조 원대를 돌파했다. 금투협과 거래소는 이러한 상승세가 단기 급등주의 레버리지 매매로 이어질 수 있다고 우려했다. 신용융자는 증거금만으로 주식을 매수해 투자 규모를 확대할 수 있는 반면, 주가 하락 시 손실이 증폭되는 위험이 크다. 금투협은 “일부 투자자에게는 적합하지 않은 투자 기법”이라며 “면밀한 투자 판단과 위험 인식이 반드시 선행돼야 한다”고 강조했...
기사 본문
금융투자협회와 한국거래소가 최근 주가 상승과 함께 ‘빚투’(빚내서 투자)가 늘고 있다며 주의를 당부했다. 17일 금투협과 거래소에 따르면 신용거래융자 잔고가 전년 말(15조8000억원) 대비 49%가량 증가해 23조원을 넘어섰다. 신용거래융자는 고객이 증권사에서 돈을 빌려 주식을 사는 행위로, 상승장 때 대출을 지렛대(레버리지) 삼아 수익을 늘리는 것이 목적이다. 단 시장 상황이 예측과 다를 경우 손실이 급격히 확대될 수 있다. 두 기관은 이 같은 투자가 증시 변동성에 취약하다고 지적했다. 융자금으로 산 주식이 대출 담보가 되는데, 담보 가치가 하락하면 증권사에 의해 낮은 가격에 청산될 수 있다. 주가 하락 후 상승 기회가 오더라도 이를 활용하지 못하게 되는 것이다. 두 기관은 “최근 미·중 갈등 등 대외적 변수와 주식시장의 지속적 상승에 따른 단기조정 가능성 등이 제기돼 시장 변동성이 확대되고 있다”며 “이런 시기일수록 신용융자 활용을 신중히 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높...
기사 본문
16일 오후 서울 중구 하나은행 본점 딜링룸 전광판에 증시 종가가 표시되고 있다. /조선DB 한국거래소와 금융투자협회는 최근 국내 증시가 급격히 상승하면서 ‘빚투’(빚내서 투자) 사례가 늘고 있다며 투자자와 증권사에 주의를 당부했다. 거래소와 금투협은 17일 공동 보도자료를 내고 “신용융자 규모가 지난해 말(15조8000억원)보다 약 49% 증가해 23조원을 넘어섰다”며 “최근 주가 상승 등으로 인한 거래 규모 확대와 연동돼 신용융자를 포함한 증시 주변 자금이 전반적으로 증가했다”고 밝혔다. 신용거래융자는 고객이 증권사에서 돈을 빌려 주식을 사는 행위로, 상승장 때 대출을 지렛대(레버리지) 삼아 수익을 늘리는 것이 목적이다. 이때 산 주식은 대출 담보가 된다. 주가가 내려가 담보 가치가 하락하면 주식이 증권사에 의해 반대 매매될 가능성이 커진다. 지난달 말 기준 신용융자 잔액은 23조5000억원에 달한다. 거래소와 금투협은 투자 성향과 자금 성격을 고려해 신용융자 등 레버리지 투자를...
기사 본문
[조주연 디지털팀 기자 shscja123@naver.com] 청년층 및 50·60대 신용거래융자 늘어…손실 확대·변동성 취약 위험 금융투자협회와 한국거래소 자료에 따르면, 신용거래융자 잔고는 지난해 말(15조8000억원) 대비 49%가량 증가해 23조원을 넘어섰다. 사진은 연일 상승 중인 코스피 현황판 모습 ⓒ연합뉴스 금융투자협회와 한국거래소는 최근 주가 상승세와 함께 '빚투'(빚내서 투자) 사례가 늘고 있다며 투자자에게 각별한 주의를 당부했다. 금투협과 거래소는 17일 공동 보도자료를 내고 "신용거래융자 잔고가 지난해 말(15조8000억원) 대비 49%가량 증가해 23조원을 넘어섰다"며 이처럼 밝혔다. 신용거래융자는 고객이 증권사에서 돈을 빌려 주식을 사는 행위로, 상승장 때 대출을 지렛대(레버리지) 삼아 수익을 늘리는 것이 목적이다. 단 이때 산 주식은 대출 담보가 되며, 주가가 내려가 담보 가치가 하락하면 주식이 증권사에 의해 강제 매도(반대 매매)될 위험성이 있다. 최근 국내...